인문대는 높은 곳에 있었다. 그곳까지 올라가는 길은 다른 세계로 통하는 문이었다.
대학 때, 그러니까 10년 조금 남짓한 시간 전은 복수전공이라는게 유행하기 시작하던 때였다. 너도나도 한 개씩은 복수전공을 하던 그 시기, 경영학과 학생의 80%는 경제학을, 나머지 10%는 행정학이나 정치학을, 나머지 10%는 그들의 선택을 관망하는 뭐 그정도의 흐름이 암묵적으로 형성대던 시기였다. 그 중 심리학을 복수전공으로 선택하고 인문대까지의 오르막을 오르던 사람은 내 기억으로 단 두명, 그 중 한명은 심리학을 전공하고 싶었으나 집안의 노골적인 압력에 이끌려 어쩔 수 없이 경영학을 선택한 재수생.. 나머지 한명은 그냥 심리학이 궁금한 ‘나’였다. 그리고 그 때, 처음 프로이트를 접했고 그의 이론을 통해 거만하게도 나를, 내 조카들을 해석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나에 대한 고민들이 시작되었던 듯 하다.
하지만 결과론적으로 나는 심리학을 복수전공하지 않았다. 마지막 1학기를 두고 불과 3학점만이 남겨진 상태에서 ‘실험심리학’이라는 과목 대신에 ‘고급회계’라는 과목을 선택함으로써 나는 내 진로를 분명히 하고야 말았다. 심리학과 경영학을 오고가며 불행히도 그 중간점을 찾지 못한 그 즈음의 나로서는 둘 중 하나를 ‘심리적’으로 포기해야만 했다. 서로 다른 시야, 서로 다른 해석방법들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란 그 때의 작기만한 나에게 너무도 버거운 것이었다. 3학점이 대단한 건 아니지만, 선택해야만 했다. 친구들 가는 쪽으로가자.. 그건 지금도 가장 후회하는 선택중의 하나로 남는다.
여튼, 한동안 사는 것에 핑계를 두고 나에 대한 고민들을 잊고 있었던 듯 하다. 강의가 내게 유익했던 건 강의자체에서 주는 내용을 넘어서 잊고 있던 고민들을 다시금 일깨워주었다는 점이다. 유예시킨 생각들을 부여잡고 집에 오는 지하철 내내 시무룩했다. 그 무의식이란게 무언지 평생 살아가면서 알 수는 있을까 싶기도 하고, 이대로 살면 안된다고, ‘심리적 골’이 있어 세상을 패턴대로 바라보게 된다고 하셨는데 그거 도대체 어떻게 바꾸나..이런저런 생각거리들을 안고 돌아오는 길..무거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천덕꾸리기같은 나의 내장들이 밥을 넣어달라고 우렁차게 소리쳐댔다. '그래..나 이대로나 계속 살았으면 좋겠다.' 라며 혼잣말을 중얼거린다. 결국, 또다시 유예시킨 그것들을 언젠가 꺼내보겠지..하며 다음 강의를 기다린다.
시간이 없어서, 다른 곳에 끄적여 놓았던 걸 잘라 붙였더니 좀 이상하게 되었습니다. 후기 안써진다고 떼써놓고 기껏 열었더니 아무도 안쓰면 민망한 공간이 될까봐 간략히 선방 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