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누구인지 뉴턴에게 물었다 - 물리학으로 나, 우리, 세상을 이해하는 법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2
김범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계물리학을 일상에 접목하여 흥미로운 결과, 의미를 대중에 소개하여 흥미를 끌었던 김범준 교수의 과학(물리학) 입문서이다. 최근 방송에 자주 출연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김상욱 교수가 있는데,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일상에서 발견하는 물리학을 이야기하는 김범준 교수도 이에 못지안은 활약할 수 있는 후보군이라 생각한다.


자신의 전공인 통계물리학을 일상한 적용한 전작 2권과는 약간 다른, 물리학 전반에 대한 책이다. 물론 자신의 특기인 일상에서 과학의 의미를 찾는 것은 변함이 없다. 과학의 의미를 발견하는 사례로 든 내용이 기존의 교양과학에서 소개된 내용과 많이 겹치기는 하지만 이에 대한 설명은 가장 차분하면서도 논리적이라 기존의 책의 설명이 부족하여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한 사람이라도 이 책은 만족스러울 것이라 느껴진다.


그리고 저자의 다른 책에서도 느꼈지만, 과학을 일상에 적용하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 나의 존재나 삶에 대한 태도, 성찰을 하는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도 흥미로운 부분이다. 철학에 대한 책이 아니라 그 분량이 많지 않지만 과학만능주의같은 그릇된 세계관으로 빠지는 것에 대한 방어 등 꼭 필요한 제언을 해주는 것도 유용한 것 같다. 과학을 잘 모르는 일반 대중(문과)이 주 대상이지만,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진로를 정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탐험 - 너머의 세계를 탐하다
앤드루 레이더 지음, 민청기 옮김 / 소소의책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탐험의 관점에서 서술한 책이다. 선사시대와 고대의 경우는 탐험의 역사가 우리가 아는 역사과 거의 동일하여 일반적인 역사책을 읽는 것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고 역시 그 중에서도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그 시대 서양인의 입장에서 갈 수 있는 곳은 거의 모두 정복하면서 동서양의 문화를 교류하게 만들었다. 인류의 탐험의 의의가 인류가 잘 모르는 곳의 문화와 재화를 얻어 새로운 부와 지식을 얻는 것이라면 알렉산드로스야 말로 탐험의 범위과 그 성취가 인류 역사상 가장 크게 성취한 인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동양의 경우는 정화의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서양과는 달리 자신의 부와 문화에 취해 문을 걸어 잠그고 발전을 꾀하지 않은 것이 무척 아쉬운데, 중국내륙과 유럽대륙의 지형적인 차이로 외부를 향한 탐험에 대한 태도가 바뀐 것을 설명한 것이 무척 흥미롭다.


탐험에 대한 태도만이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금속활자를 통한 인쇄문화의 차이도 동서양의 차이를 말해준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가 금속활자라 서양의 구텐베르크보다 200년 이상 앞섰다고 장스러워하지만, 일반인들이 읽은 만한 책자가 거의 발간되지 않았고, 서양의 경우 성경을 비롯하여 대중들이 인쇄문명의 혜택을 받았다는 점에서 서양문화가 동양을 앞지른 이유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문명의 혜택을 비교적 골고루 나누려고 노력하였다느 점이다.


콜롬버스를 대표로 하는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을 시작으로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정복과 수탈은 이 책에서 언급된 것 처럼 스스로의 야만적인 문화로 인하여 무너지기 시작했다는 것도 흥미롭니다. 총,균,쇠로 대표되는 다양한 서양문명이 아메리카 문명을 무너트린 것에 대한 설명도 있지만 내부의 야만적인 문화에 대한 불만으로 서구문명을 도우면서 잉카 등 라틴문명을 무너트리는 데 양보한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도 인상적이다. (국가나 사회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불평등 요인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다.)


극지망에 대한 탐험이야기나 우주에 대한 도전은 이 전 이야기와는 달리 아직까지 역사적 사건이라기 보다 탐험 그 자체인 것 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합리적인 생각이라기 보다는 몽상가적인 기질 때문에 화성을 간다는 엘론 머스크로 대표되는 우주에 대한 도전을 계속하는 사람이 있는 한, 인류의 탐험은 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라움의 해부 - 인지심리학자의 눈으로 소설과 영화 속 반전 읽기
베라 토빈 지음, 김보영 옮김 / 풀빛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이나 영화에서 반전의 묘미와 그 원리를 설명해주는 책으로 그 기대가 컸었다. 반전영화나 소설을 좋아하는 입장에서 이러한 작품을 쓸 수 있는 역량, 또는 원리를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다양한 작품에서 등장하는 반전의 묘미를 분석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학술적이고 어려운 책이었다.


유발 하라리가 사피엔스에서 인류의 가장 큰 특징을 이야기를 믿고 이 이야기가 인류사회를 움직이는 힘이 된다고 한 이후 (물론 그 이전에도 비슷한 설명을 한 사람이 없지는 않았지만) 상당한 양의 사회과학 서적 등이 이를 기초로 쓰여졌다고 생각한다. 이 책도 비슷한 출발점에서 시작된다. 인류는 주어진 여건 (증거) 속에서 이를 짜 맞춰 설명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이 책은 이야기한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 처럼 이야기를 강학 믿기때문에 이야기를 통해 모든 것을 설명하려고 하기 떄문이다. (어린 시절 읽은 셜록 홈즈에서 셜록 홈즈가 자신과 같이 아주 뛰어난 인물들만 가지고 있는 능력인 것 처럼 추리력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는데, 사실은 모든 인류의 습성이었다 이 책은 이야기한다.) 주어진 여건 속에서 만들어 낸 이야기와 책 속에서 이끌어 내는 이야기가 다르면 반전(뒤통수)을 느끼게 되고, 그 설명이 더 훌륭하면 (이야기를 만드는 구조가 더 좋으면)큰 재미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 이 책의 설명이다.


나 자신도 스토리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이 책의 설명에 동의하지만, 책의 주장을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드는 과정을 더 쉽게 설명해주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흥미로운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Q - 탐정 아이제아 퀸타베의 사건노트
조 이데 지음, 박미영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셜록 홈즈 류의 뛰어난 탐정을 좋아하고 즐겨 읽었는데, 최근에는 찾아서 읽지는 않았다. 이 분야에 흥미가 줄기도 했지만 보다는 그만큼 매력적인 탐정이 등장하지 않은 것도 그 이유일 것이다. 그런 이유로 새로운 탐정이 등장하는 소설보다 셜록 홈즈 같은 옛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이 다시 나오는 것 같다  영화의 경우도 비슷하게 새로운 작품보다 포와로가 등장하는 작품이 리메이크되는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일 것이다. 또한 현대에 와서 과학수사나 방법카메라 등의 등장으로 셜록 홈즈같은 탐정이 활약하기 어려운 시대가 된 것도 그 이유일 것이다. 셜록 홈즈의 활약 안개가 가득하고 가스등을 사용하는 시대이기에 가능했고, 현재는 과학수사와 장비의 도움으로 믾은 형사들이 비슷하게 활약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최근 제작되는 형사물을 보면 방법카메라를  활용하는 모습이 자주 등장하는 것 같다.


이번에 읽은 아이제이 퀸타베의 경우 셜록홈즈가 연상될 정도로 다방면에 재주가 많아 매력적인 캐릭터이다. 아마 조만간 드라마나 영화에 등자아지 않을까 생각된다. 머리도 빠르지만 싸움이나 사격에도 능해 영화 샤프트가 곧바로 연상되는데, 책을 보는 내내 샤프트의 주제가나 갱스터 랩이 연상될 정도 경쾌한 분위기도 계속된다. 또한 아이제이 시리즈의 서막을 알리는 작품이라 그의 캐릭터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가지 능력을 키우는 과정과 함께 좀 도둑질 등의 나쁜일을 하는 모습도 보여진다. 정의를 위해 악과 싸운다는 무거운 줒의식 보다는 작은 악이 큰 악을 무찌른다는 오락적인 분위기가 강한 것이 이 시리즈의 장점인 듯하다. 아마 시리즈가 거듭해가면서 주변의 갱단들이 꾸준히 주인공의 밥이 되면서 계속 당할 듯한데,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면 킥킥거리며 볼 수 있는 오락물이 되기 좋을 것 같다


하지만 이야기 중간중간 그의 두뇌가 번득이는 장면이 나와 괜히 셜록 홈즈를 연상시킨다는 말이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스토리가 셜록 홈즈 시리즈의 마스커빌의 개를 연상시키는 것도 이유일 듯하다) 셜록 홈즈하면 그의 동료인 왓슨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시리즈의 경우도 색 다른 동료가 등장한다. 꾸준히 주인공을 괴롭히면서 사고를 치지만 결정적인 수간에 도움을 주는 새로운 분위기의 동료가 등장하는데 앞으로의 시리즈에서 어떤 활약을 할지 기대된다. 나이든 중년탐정이 아닌 새로운 시대 분위기에 맞는 젊고 뺀질밴질한 흑인 탐정의 등장을 알리는 흐이로운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에게 갔었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숙 작가의 신작소설이다. 작가 개인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으면서 자신의 근본이자 최대 힡작을 냈던 자신의 가족과 부모님과 관련된 이야기를 작품화하였다. 어느 정도 개인사가 작품에 들었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자신의 출생지인 정읍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작가 개인의 이야기가 녹아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데, 글 속 화자도 작가이며, 실제와는 다를지라도 어떤 사건으로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습에서 자신의 모습이 투명됐다고 생각한다. 책 대부분이 자신의 아버지 또는 가족의 이야기이지만 특이한 에피소드가 하나 포함되어 있다. 열쇠가게에 대한 이야기인데, 다소 뜬금없이 보이기도 하지만 적반하장 겪인 열쇠가게 주인에게 주인공이 악담을 하는 모습이 어쩐지 세상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드러낸 것일지도 모른다 생각되었다.


작중화자와 다소 심적으로 거리가 있는 아버지의 집으로 찾아가서 함꼐 지내면서 아버지에 대해 이해를 키우는 과정이 소설의 내용이다. 나 자신도 그러하지만 부모님, 특히 아버지에 대해서는 기성세대 직장인으로만 인식하지 개인적인 모습은 잘 모른다. 남자들이 가족들로부터 돈 벌어오는 사람으로만 인식되는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데, 나 자신도 아버지에게 비슷한 감정을 가졌던 것 같다.


아버지가 가족에 대해 큰 사랑을 가지고 있고, 나는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는 말을 계속할 정도로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는 모습을 통해 작중화자가 아버지와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고, 젊은 날에 어떤 일도 척척해냈던 정말 든든하고 믿음직했던 아버지가 나이들고 약해지는 모습을 통해 아련한 느낌을 가지게 되는 것도 기대했던 내용이었다. 이와는 달리 다소 엉뚱하지만 나는 아버지도 가족들은 잘 모르는 자신의 꿈, 로맨스와 모험담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준 것이 이 소설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자세히 묘사가 안되 조금 더 알려주면 좋을 것 같은 그의 로맨스도 궁금하고, 전쟁으로 물거품이 되기는 했지만 젊은 시절 가졌던 꿈과 노력,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던 전쟁 속 위기를 보면서 그도 한 집안 가장이기 이전에 개인사를 가진 사람이었다는 사실이 무척 좋았다. (나 역시 내 부모님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좀 더 알았으면 좋겠고 내 자신에 대한 이야기도 아이에게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개인사에 비해 비중이 다소 떨어지지만 한국현대사의 모습이 비춰지는 것도 인상적이었는데, 이 책에서 다루지 않은 현대사의 모습도 다른 작품 속에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오랜만에 작품에 빠져 집중하여 제대로 읽은 한국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