ツナグ 想い人の心得 (新潮文庫)
村 深月 / 新潮社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츠나구   좋아하는 사람의 마음가짐

츠지무라 미즈키



 




 처음 이 책 《츠나구》를 만난 게 언제인지 모르겠는데, 시간이 많이 흐른 것 같다. 츠나구는 使者(사자)라 쓰고 츠나구라 읽는다. 본래 츠나구는 ‘잇다’는 말로, 여기에서는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만날 기회를 마련하는 중개인을 나타낸다. 몇해 전에 이 책을 보고 난 만나고 싶은 사람 없다고 했구나. 그건 지금도 다르지 않다. 그때처럼 가까운 사람이 죽지 않아서는 아니고 그냥 없다. 실제 만나고 싶은 사람도 없는데 죽은 사람에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겠나. 어쩌다 난 이렇게 됐을지. 이런 건 재미없는 말이구나. 나와는 다르게 하룻밤이어도 좋으니 죽은 사람을 만나고 싶다는 사람 많겠다. 그런 사람을 생각하면 진짜 츠나구가 있으면 좋을 텐데.


 이번에 만난 《츠나구 좋아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은 두번째다. 첫번째를 봐서 이번 것도 봤다. 그때와는 다르게 이번엔 일본말로 읽었다. 첫번째 걸 몇해 전에 봐서 츠나구였던 아이 시부야 아유미라는 이름도 잊어버렸다. 이 책 뒤쪽에 쓰인 이름 보고 여자아이였던가 했다. 아유미(歩美)는 여자이름으로 더 쓰이는 것 같은데. 남자아이일 때는 아유무일 듯한데. 아유미는 할머니 집안에서 대대로 해온 사회 봉사와 같은 츠나구 일을 이어서 하게 됐다. 아유미가 처음 그 일을 했을 때는 고등학생이었다. 일곱해가 지난 지금은 작은 장난감 회사에서 일했다. 그 사이 할머니는 세상을 떠났다. 아유미가 대학생 때였다. 할머니는 아유미와 제대로 헤어지려고 했다. 떠나는 사람도 남는 사람도 아쉬움 없는 헤어짐은 없을 것 같은데, 아유미는 할머니하고는 시간을 두고 조금씩 헤어졌다. 그런 건 누구나 할 수 없는 거겠다.


 도시전설 같은 죽은 사람을 만나게 해주는 ‘츠나구’를 믿고 전화번호를 알아내고 전화를 하는 사람과 츠나구인 아유미 이야기도 나온다. 예전에도 나온 말일 텐데, 그때는 쓰지 않은 게 있다. 뭐냐 하면 츠나구와 이어지는 건 ‘인연’이다는 거다. 전화한다고 누구나 연결이 되지는 않는단다. 간절함이나 만남이 이뤄질 때는 전화가 되는 걸까. 누구나 다 전화하기 쉬워도 안 될 것 같다. 죽은 사람을 만나는 날은 보름달이 뜬 날이기도 하니. 다른 날 만날 수도 있지만 보름에 만나야 오랜 시간 만난단다. 그런 말 들으면 다 보름에 만나겠다고 하겠다.


 여기에는 모두 다섯 가지 이야기가 실렸다. 첫번째는 신인 배우로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 대리로 츠나구를 만났지만, 대리는 안 된다고 하자 자신과 엄마를 버린 아버지를 만나겠다고 한다. 이때 츠나구라고 하고 나온 사람은 어린 여자아이였다. 츠나구가 바뀌었나 했는데 그건 아니었다. 츠나구로 나온 여자아이도 대리였구나. 이제 여덟살인데 안나는 아유미 할머니 친정 아키야마 집안 당주였다. 여덟살에 당주가 되다니. 두번째는 역사에 남은 사람을 만나게 해달라고 한다. 그런 게 될까 했는데 다행하게도 이뤄졌다. 오래전 사람이어서 말이 잘 통하지 않았을 텐데도 그걸 부탁한 사람은 날이 샐 때까지 이야기를 나누었다. 세번째는 죽은 딸을 만나고 싶어하는 엄마 두 사람 이야기였다.


 아이가 먼저 죽으면 부모는 자기 때문에 죽었다고 여길지도 모르겠다. 사고나 병이어도. 부모는 그런 건지도. 네번째 이야기에서는 죽은 사람을 아유미도 알았다. 갑작스러운 소식이어서 아유미도 충격 받았다. 장난감 회사에서 장난감 만드는 걸 부탁하는 공방 대장이었다. 딸인 나오는 아버지 일을 잇고 싶어했는데, 아버지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몰랐다. 아유미는 자신이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을 만나게 해주는 중개인인 츠나구다 말할까 했다. 나오는 마음이 단단한 사람이었다. 아버지가 남긴 장난감으로 아버지 마음을 생각하고 앞으로 나아가려 했다. 모두가 죽은 사람 마음이 알고 싶다고 죽은 사람을 만나려 하지는 않는다. 그런 사람도 있는 거지.


 마지막은 사십대에서 팔십대까지 츠나구한테 연락한 사람 하치야 이야기다. 츠나구하고 이어지는 건 ‘인연’이다 했는데, 하치야는 오랫동안 이어졌구나. 사십대에서 팔십대까지라니. 해마다는 아니고 다섯해, 세해 그렇게 연락했다. 하치야는 만나고 싶은 사람 아야코한테 자신이 여든다섯이 됐다고 전해달라고 했다. 죽은 사람은 시간이 흐르는 걸 느낄까. 그건 모르겠다. 아야코는 그 말을 듣고 하치야를 만나겠다고 한다. 난 하치야가 아야코를 좋아했다는 마음을 전하려는 거였나 했는데, 내 생각은 단순했다. 하치야는 열여섯살에 죽은 아야코와 같은 시간을 살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건 하치야뿐 아니라 아야코 부모나 친구 약혼자도 같은 마음이다 했다. 같은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것도 기적이겠다. 하치야는 그저 아야코한테 아야코가 좋아하는 벚꽃을 보여주고 싶어했다.


 사람이 죽으면 다시는 만나지 못한다. 소설에서는 츠나구가 한번 만나게 해주기도 하지만. 이런 거 보면 살았을 때 잘해야지 하는 생각이 든다.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12-31 1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1-02 00: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1-01 18: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1-02 00: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구구구

비둘기가 노래하네

즐겁게


구구구

구구단을 외워

이제는 십구단인가


구구구

구십도로 인사해

예의 바르구나


구구구

은하철도 999는

힘차게 우주를 달린다


구구구

구구구

비둘기가 또 노래하네




희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유행열반인 2023-12-31 10: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예전에 구와 숫자들이라는 밴드 음악을 좋아했어요ㅎㅎ ㅎㅎ지금도 좋네요 ㅎㅎㅎㅎ

희선 2024-01-01 23:59   좋아요 1 | URL
저는 그저 라디오 방소에서 나올 때 들었군요 얼마전에 라디오 방송에 최진영 작가가 나왔는데, 구와 숫자들에서 누군가가 최진영 작가 소설 《구의 증명》을 여러 권 받았다는 말 했어요


희선

반유행열반인 2024-01-02 09:17   좋아요 1 | URL
라디오애서 들으셨군요!!! 아마도 ‘구’님이 구의 증명을 받았겠죠? ㅋㅋㅋ 저는 보물섬이라는 노래가 들어 있는 앨범(자켓은 구리지만 노래들을 거의 다 좋아해요. 제가 어릴 때부터 음악하던 분인데 꾸준하게 음악활동하는 것도 대단한 것 같습니다.

희선 2024-01-04 00:44   좋아요 1 | URL
구와 숫자들에 구라는 분이 있군요 저는 거의 라디오 방송에서 틀어주는 노래만 들었습니다 보물섬 한번 찾아서 들어보고 싶네요 못 들어본 것 같아요 2009년에 1집이 나왔군요 그렇게 오래 됐다니... 저는 몇 해 전에 알았어요


희선

거리의화가 2023-12-31 12:0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희선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올해도 따뜻한 글 감사했습니다^^ 내년에도 자주 만나뵙길!

희선 2024-01-02 00:00   좋아요 0 | URL
2023년이 가고 새해가 왔네요 새해 첫날은 따듯했어요 다른 때는 거의 추웠던 것 같은데... 거리의화가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2024년에 하고 싶은 거 즐겁게 하세요


희선
 
ツナグ 想い人の心得 (新潮文庫)
村 深月 / 新潮社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츠나구 좋아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은 ‘츠나구’ 두번째 이야기다. 죽은 사람을 만나고 고맙다거나 미안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소중한 사람이 죽기 전에 이런저런 이야기 하는 게 좋을 듯하다. 죽으면 다시는 만나지 못하잖아,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연필이에요


어느 날 아이가 날 길에 떨어뜨렸어요

개가 냄새 맡고

고양이가 살짝 물어보고

새가 쪼았어요


난 길을 굴러다녔어요


누군가 날 집어들었어요

잠깐 보고 버릴까 했는데

가방에 넣었어요


난 새로운 집에 오고

볼펜과 펜이 많이 꽂힌

유리컵에 꽂혔어요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3-12-30 12: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2-31 02: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26 내가 좋아하는 꽃은?




 난 뭘 좋아하느냐고 물으면 말하기 힘들다. 먹는 것도 그렇고 여러 가지. 딱 하나 말하기도 그렇고 그렇다고 아주 좋아하는 게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그럭저럭이다.


 꽃, 봄에 꽃을 보면 반갑고 좋다. 겨울에 피는 꽃도 있을 텐데, 한국에서는 보기 어렵다. 아니 동백이 있던가. 제주나 남쪽은 동백이나 매화가 일찍 피지만 내가 사는 곳에서는 4월에나 핀다. 요새는 좀 빨리 피던가. 얼마전에 동백 봤다. 깜짝 놀랐다. 이건 지구온난화 때문이구나 하면서.


 철과 다르게 핀 꽃은 동백만은 아니구나. 개나리도 있다. 미친 개나리. 겨울에 피는. 난 그냥 세상에 없는 꽃을 좋아할까 한다. 그건 어떤 꽃일지. 나도 모른다. 그런 꽃이 있었으면 해서 썼다.




 환상의 꽃





 단 하루만 피었다

 꿈처럼 지는 꽃

 그 꽃을 본 사람은 얼마 없고

 한번 보면 꽃에 마음이 사로잡혀

 다시 보고 싶다 생각한다

 하지만 나무는 그곳에 없다


 매화처럼 보이기도

 벚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어느 것도 아니다

 그 꽃을 나타낼 수 있는 말은 없다


 꽃나무는 그저 여기에서 저기로

 다니는 건 아닐까

 세상을 떠도는 꽃나무

 그건 그 꽃나무 삶일지도



20231226








227 오늘 감사한 일은 뭐였어?




 지난주엔 좀 추워서 힘들었다. 추위가 한주 넘게 간 듯하다. 눈이 온 것도 좋기는 했지만, 눈을 쓸어야 했다. 내가 지난해에 왜 새벽에 눈을 여러 번 눈을 쓸었는지 생각났다. 눈이 쌓이면 쓸기 힘들어서 그랬던 거였다.


 오늘 고맙게 여긴 건 날이 풀린 거다. 낮엔 덜 춥다. 해가 지고 밤이 오면 춥다. 난 겨울 안 좋아하는 것 같다. 겨울엔 기분도 더 우울하고. 해를 자주 쬐이지 않아서 그런가 보다.


20231227








228 나는 자존감이 높은 사람일까?




​ 이런 걸 물어보다니. 저는 낮아요. 자존감.


 언젠가 자존감이 꼭 높아야 하나 하는 글을 보기도 했어요. 그런 글을 보면 다행이다 생각합니다. 자존감 높고 자신을 좋아하면 좋겠지만, 그게 어려운 사람도 있어요. 자존감이 낮아서 그런 건지 모르겠지만, 다른 사람도 저를 별로 안 좋아하는 것 같고. 그런 걸 느낄 때면 조금 슬프기도 합니다. 그러면 그런가 보다 하면 좋을 텐데.


 누구나 좋아하는 사람도 있잖아요. 그런 사람이 부럽지는 않아요. 그 사람이 사람들한테 잘 하니 좋아하는 거겠지요. 저는 그러지 못하고. 실제 별로 별볼일 없기도 하군요. 이런 말을.


20231228








229 어렸을 때 누군가와 비교되어 마음의 상처를 입은 적이 있어?




 그런 일 많아. 바로 생각나는 건 없지만. 누구는 그런데, 하는 말이었지. 그런 일이 지금이라고 없을까. 없지 않지. 왜 사람은 누구와 누구를 견주는 건지. 그냥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 되는 걸까. 어쩌면 나도 그러지 못하는지도 몰라. 그래도 난 사람을 견주지는 않아.


 부모, 누구네 엄마 아빠를 보고 부러워한 적은 없어. 우리 엄마 아빠도 누구네 엄마 아빠처럼 그러면 좋을 텐데, 그런 생각 안 했다는 거지. 그나마 다행이지.


20231229






 십이월까지 하면 끝나려나 했는데, 2023년 2월부터 해서 1월까지 하려나 봅니다. 365개 다 할지.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괜히 썼나 하기도 했는데, 십이월까지 왔습니다. 좀 더 즐겁게 하면 좋을 텐데, 그러지 못했네요. 남은 것도 그냥 그럭저럭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넬로페 2023-12-30 09: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누군가가 뭘 좋아하냐고 물어보면 바로 대답하기가 사실 힘들어요.
꽃은 다 예쁜데 무슨 꽃 좋아하냐고 물으면 한 가지로 딱 대답하기가 힘들죠.
음식도 마찬가지이고요.

자존감이 높든, 낮든 흔들리기는 하는 것 같아요.

여기는 지금 결정체가 그대로 보이고 손바닥에 그대로 내려 앉는 눈이 펑펑 쏟아지고 있어요.
운치있는 토요일 아침,
희선님께서도 행복하시길요^^

희선 2023-12-31 02:10   좋아요 1 | URL
자신이 좋아하는 거 바로 대답하는 사람도 있겠지요 그런 수도 있고 대답하기 어렵기도 하겠습니다 사람이 딱 하나만 좋아하는 건 아니니... 시간이 흐르면 마음이든 뭐든 바뀌고...

언제부턴가 자존감이 높아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네요 그런 거 높지 않은 사람은 어떡하라고,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어떻게 해도 안 되는데... 그냥 살아야지 어떻게 하나요 그저 자기대로 사는 게 좋을 듯합니다 사람은 다 다르니... 자신을 좋아하는 마음은 조금 있는 게 좋겠네요

페넬로페 님 십이월, 2023년 마지막 날이에요 어제 페넬로페 님 사시는 곳에는 눈이 왔군요 제가 사는 곳에는 흐리고 비 왔어요 조금 전에도 비 내리는 소리 들렸는데... 페넬로페 님 2023년 마지막 날 편안하게 보내세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