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스타 작가라 할 수 있는 과학자 정재승과 미학자 진중권이 함께 쓴 '크로스'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어 이 책 제목을 봤을 때 딱 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내용이 담겨 있을 거라 짐작이 되었다.

서가명강이라고 해서 뭔지 했더니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말 그대로 서울대생이 아니어도 교양강의를 직접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 책은 그 두 번째

책으로 아마 여러 분야의 서울대 교수 강의들을 담은 책이 계속 시리즈로 나올 것 같다. 이 책에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인 홍성욱 교수가 과학과 대중문화의 '크로스'를 볼 수 있는 여러 흥미로운

사례들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대중문화와 과학의 크로스', '세상과 과학의 크로스', '인간과 과학의 크로스', '인문학과 과학의

크로스'까지 총 4번의 크로스를 시도하는데, 첫 번째 얘기는 미쳤거나 괴짜인 과학자의 이미지에 관한

것으로 마침 직전에 봤던 영화 '메리 셸리 : 프랑켄슈타인의 탄생'를 봐서 훨씬 이해하기가 쉬웠다.

흔히 소설 '프랑켄슈타인'에 나오는 괴물 이름이 프랑켄슈타인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데 괴물을 만든 

사람이 프랑켄슈타인 박사다. 사실 작가가 여성인 줄은 영화를 보기 전에는 몰랐는데 그녀의 삶과

'프랑켄슈타인'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영화로 봐서 그런지 작품의 의미를 훨씬 공감할 수 있었다.

스탠리 큐브릭의 명작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에서도 과학자는 희화하되곤 하는데, 대중문화 콘텐츠

속에서 과학자들에게 이런 이미지를 부여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현재 과학기술이 방기하는 책임을

성찰하는 일이 중요함을 우리에게 상기시키려는 것이라고 저자는 얘기한다. 한편 여성 과학자라고

하면 바로 떠오르는 인물인 노벨상 2회 수상에 빛나는 퀴리부인과 관련해선 마냥 그녀의 업적만

찬양하는 글들만 익숙하지만 전에 읽었던 '세계사를 움직인 위대한 여인들'에서 이미 알게 되었던

퀴리부인의 불륜 스캔들이 이 책에서도 등장한다. 한 마디로 퀴리부인도 남자들이 판치던 과학계에서

고군분투하던 여성 과학자로 다른 사람과 똑같은 욕망을 가진 인간이었음을 잘 알 수 있었다.

 

2부에선 미래가 유토피아일지 디스토피아일지 예측하는 작품들을 다루면서 얘기를 전개하는데 

이 주제에 빠질 수 없는 조지 오웰의 '1984'나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등을 보면 과학기술의

발전이 우리가 기대하는 장밋빛 세상을 만들어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염려가 강하게 담겨

있지만 우리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면서 우리가 소중하게 간직해야 하는 가치가 뭔지를 생각해보게

만들어주는 긍정적 역할도 한다. 3부에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기술로 떠오르게 있는 인공지능에

관한 얘기를 하는데, 인간보다 더 인간미를 가진 사이보그를 등장시킨 리들리 스콧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비롯한 여러 대중문화 속 인공지능과 로봇들이 과연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존재들인지

아니면 인간을 대체시키고 멸종시킬 것인지에 관한 익숙한 논의를 다루면서 미래에 대한 두려움엔

근거가 없다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마지막 4부에선 서양의 신문물을 받아들이던 개화기와

일제시대의 소설들에 나타난 신문명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인식과 함께 과학과 예술이 창의성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는 공통 분모를 가졌음을 갈릴레오 등의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흔히 갈릴레오가

피사의 사탑에서 무거운 물체와 가벼운 물체가 동시에 떨어진다는 실험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실에선 그런 결과가 나올 수 없다. 오직 저항이 없는 진공상태에서만 그런 결과가 나올 수 있는데

결국 갈릴레오가 자유낙하의 법칙을 자연 속에서 발견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법칙이 만족되는 상황을

창조해낸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과학기술이 우리 삶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과학기술은 멀게만 느껴지는데 이 책은 대중문화 속의 여러 콘텐츠들을 활용해 쉽고 재밌게 과학

기술의 여러 측면을 잘 보여주었다. 실제 강의내용을 담은 오디오클립이 인터넷상에 공개되어 있어

언제 시간이 나면 책에서 본 내용을 강의로 복습해야겠다.

46 전쟁억제력이란 적에게 공포심을 안겨주는 예술이다. 핵전쟁 전략이 매우 복잡하고 전문적인 것 같지만 결국 그 본질은 치킨게임의 전략이었던 것이다.

82 과학자는 이성과 감정, 그리고 욕망을 가진 인간이다. 너무나 당연하게. 그래서 과학은 인간의, 인간에 의한, 인간을 위한 결과물이다.

345 과학과 인문학의 결합은 나를 둘러싼 조건들을 이해하고, 그런 조건들 속에서, 또 그런 조건들을 이겨내고 극복하는 적극적인 삶을 위해서 필수적인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