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인의 반란자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나쁜 감정의 밑바닥에서 헤매면서 성숙한 사람이란 어떤 사람일까 생각해 본다. 도무지 이 기분 나쁜 질곡에서 나올 수 없을 만큼 절망적이다. 변화 무쌍하다는 것이 이때 만큼은 좋지도 않다. 마음의 평화를 한결같이 유지하고 싶은데 느닷없이 깨지고 만다. 대부분 불행의 씨앗은 내 입에서 떨어진다. 입을 막을 방법을 모른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가들과 나눈 대화를 모은 <16인의 반란자들>들을 읽을때만 해도 나는 그들의 성숙한 모습에 감동했다. 노벨 문학상을 받는 것으로 작가로서 최고 반열에 오른 그들이 들려주는 오늘의 얘기는 의외로 특별할 것 없다. 물론 원하지 않게 유명세를 치르느라 곤욕을 치르는 작가도 있지만 대부분의 작가들은 노벨상을 수상하기 전과 후과 달라지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 최고의 순간을 맞보았지만 자신의 논리, 자신의 문학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결같음을 유지하는 그들은 지적이며 성숙한 사람들이었고 그들을 만나는 것이 행복했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영광의 작품을 읽지 못해 약간의 미안함은 있지만 그것이 이 책을 읽는데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그만큼 이 대화집은 그들의 작품이 아니라 그들의 현재적 삶에 집중한다. 변함없이 자신의 삶을 유지하는 작가들의 모습에서 성숙한 사람에 대한 해답을 찾았다고 생각했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작가들이 사는 나라의 정치 사정이다. 작가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현실 문제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할 밖에 없는 사정도 이해가 되었다. 작가란 가장 일찍, 가장 오래 깨어있어야 하는 존재이니 당연한 일이다. 한국의 사정이 출구가 막힌 것처럼 최악이라고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작가들의 나라 사정이 우리보다 나을 것이 없어 보이는 것도 뜻밖이었다.
예를 들면 주제 사라마구는 “50년 후에도 포르투갈이라는 나라가 존재할지 난 확신이 서질 않아요..서서히 몰락해가는 중이요.”라는 인식은 잠깐이지만 우리 문제라는 지엽적 사고에서 우리 밖으로 시선을 돌리기에 충분하다.
스펙쌓기와 잉여의 생산지로서 몸살을 앓고 있는 우리 나라 대학 현실은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나는 학점을 이수하는 장소로서의 학교를 좋아하지 않아요. 내가 원하는 건 학생들이 전문 창작세계와 교류하는 거예요.” 토니 모리슨의 말이다. 그녀는 여성과 흑인, 이중의 억압에 대해 여전히 이야기하고 있다.
작가로 늙어가는 그들의 사고는 막힘이 없이 자유롭다. 도리스 레싱이 종교에 대해 혼합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고 했지만 그것은 진정한 관용의 태도가 아닐까. “구약을, 복음서를, 신약을, 코란을 읽다 보면 우리는 그것들이 똑같은 사람을, 똑같은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을 알게 돼요.”라는 말은 성숙한 지성이 할 수 있는 말이다.
그런가 하면 “어떤 작가가 삶의 방편으로 직업을 구하는 것은 시장의 원리에 순응한다는 것이지요. 살기 위해서라면 다른 일들은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자기 일에 있어 (경제적)독립을 요구하는 작가들의 사치를 지적하는 가오싱센의 말은 쟁쟁 소리가 나는 것 같다. 노벨 문학상을 조국에 안기고도 조국에게 버림받은 그는 권력에 맞서기를 멈추지 않고 있다.
이쯤되면 인터뷰를 진행한 기자가 밝혔듯이 왜 그들 문학인들을 반란자라고 했는지 충분히 알만하다. 월레 소잉카는 작가가 아니라 아프리카의 지도자이며, 오르한 파묵은 자국의 비인간적 테러를 고발하며 경호원의 도움을 받으면서 살고 있다.
그들은 문학이라는 공통의 요소를 갖고 있지만 각기 다른 색깔로 세상의 삶이 나아지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 두려움 없이 두려움을 극복하는 힘이란 대체 어디서 나오는 것인지 아무것도 아닌 나같은 인물은 알 길이 막막하다.
다만 이 책을 읽는 것은 이 시대 최고 지성의 모습을 근접해서 보는 것의 의미다. 그들의 삶은 개인의 영광에 있지 않았다. 문학이 최종 목적도 아닌 것 같았고 그것이 나의 상식을 뛰어 넘는 그들의 지성이었다고 생각한다.
16인의 반란자들을 만난 젊은 기자는 어떤 말로 이들의 인터뷰에 성공했을까하는 것도 이 책을 읽는 내내 궁금한 점이었다. 한 사람마다 긴 분량은 아니지만 작가를 만났을 때의 분위기라든가 작가의 작업실 같은 부분도 놓치지 않고 스케치하는 것은 기자로서의 예민함일 것이다.
동행한 사진 작가는 작가의 모습과 함께 작가의 손을 클로즈업해서 찍었다. 손에 대한 인상이 나에게만 특별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가 작가라면 먼저 그의 손부터 살펴보는 나같은 독자에게 그들의 손은 그 습관의 욕구를 채워주었다. 그들의 손에서 그들의 작품이 최초로 형태를 갖추었으니, 노벨상을 보지 못했지만 그들의 손이면 충분했다.
이 글을 처음 시작할 때 빠져있던 질곡에서 여전히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이 시대 최고 지성을 다시 되새겨 본 후에도 좀처럼 이 나쁜 감정에서 나와지지가 않는다. 사실은 그들의 범접할 수 없는 생활을 다시 들여다 보면서 나는 더 후줄근해져 버렸다. 말 그대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혹은 존재의 아무것도 아님에서 오는 절망이다.
바닥을 박박 긁어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다시 생각하면, 나한테는 지금까지 산 딱 그만큼의 시간이 남았다는 것. 아무것도 아닌 채 죽거나 삶의 얼굴 하나를 보고 죽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