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푸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소울푸드 - 삶의 허기를 채우는 영혼의 레시피 ㅣ 소울 시리즈 Soul Series 1
성석제 외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삶의 허기를 채우는 영혼의 레시피, 살아갈 힘을 주는 맛, 상처 난 마음을 다독이는 맛 21인의 작가가 말하는 내 인생의 잊을 수 없는 맛을 읽었으니 “당신의 소울푸드는 무엇이냐”고 묻는 말에 대답하여야겠다.
나에게 소울푸드는 상처난 마음을 다독이는 맛으로 남았다기 보다 살아갈 힘을 주는 맛으로 여전히 진행형이다.
초등학교 입학 전이었나 후였나 기억이 가물하지만 모내기 철이었으니 계절은 알만하다. 기계화가 되기 전이라 못줄을 잡고, 손으로 모를 내던 때였으니 애 어른 할 것 없이 논으로 불려 나갔다. 내게 맡겨진 일은 양은 주전자에 되들이 막걸리를 받아 논일꾼들에게 가져가는 일이었다. 찰랑찰랑한 막걸리 주전자는 흘리지 않고 들고 가는 것이 중요했는데, 어찌됐든 나는 하루에 두어번씩 막걸리 주전자를 날랐다.
모내던 아저씨들이 뱅뱅도리 대접을 돌려가며 먹고 나면 나는 냉큼 그 주전자를 다시 들고 일어섰는데 그 때 주전자 바닥에 남은 막걸리가 내 몫이었다. 미리 먹을 수는 없어서 남은 것을 홀짝거렸던 것이 내가 투정없이 막걸리 주전자를 날랐던 이유였는지 그건 잘 모르겠다. 바쁜 농사철에 나도 밥값을 했다는 자찬이었을 것 같다. 그게 술 심부름이었으니 상일꾼이라도 된 것처럼 말이다. 웅덩이에 술동이를 안치고 바가지로 퍼주던 차갑고 달콤했던 막걸리 맛을 다시 보지 못했다.
맥주마시라는 잔에 어찌 소주를 담아 마셨는지 시작은 알 수 없다. 강릉 중앙시장 순대골목에서 처음 순대국을 접하며 마시던 소주가 주량이 늘어 지방 주간지 기자로 일할 때는 밥먹는 자리에서는 밥보다 먼저 맥주잔에 따른 소주가 한순배 돌았다. 찌르르 할 때 그 느낌은 지금도 짜릿하다. 그렇게 시작한 술은 봄이면 뭉글뭉글한 바람과 벚꽃 때문에, 여름에는 비 때문에 가을에는 붉은 기운 때문에, 그리고 겨울에는 눈 때문에 해도 떨어지기 전부터 시작되기 일쑤였다. 마감 끝내고 시작한 낮술은 한 밤중에는 눈에 갇혀 오도가지 못한 채 경포 입구에 있는 카페 박스에 우리를 잡아두었다. 처음 돈을 벌기 시작하면서 나는 어떤 두려움에 떨고 있었던 것 같다. 자취방으로 돌아가기 보다 동료들과 어울리고 있을 때 나는 덜 무서웠다. 그 때 사람들은 이제 전혀 소식을 모른다. 그 중 한 선배는 서른이 되면 자살을 하겠노라고 말했는데, 언젠가 나는 인터넷에 그 선배 이름을 검색해 본 적이 있다. 살아있다면 뭐라도 하고 있을 것 같았다. 손톱을 물어뜯던 버릇이 있었던 선배다.
지방 주간지 일이 내 일이 아닌가 싶을 때 뭘하고 살아야 평생 일하고 살 수 있을까 해서 공부를 했던 때가 있었다. 지방에 있는 대학에서 현대시를 전공하였는데 그 때나 지금이나 나의 현실인식은 한 치도 발전하지 못한 채 제자리다. 그 공부의 대가로 내가 얻은 최대치가 학과 조교였다. 계약직 3년 동안 나는 버는 돈의 절반을 술값으로 썼다. 학교 근처 단골집도 생겨서 우리 패거리가 뜨면 통통하게 살이 오른 덜마른 오징어가 써비스로 나왔다. 술을 먹으면서 안주를 거의 먹지 않았기 때문에 그 오징어가 내 입으로 들어간 건 글쎄, 한 마리나 되었을까. 아무리 먹어도 취하지 않는 것이 이상해서 마시고 또 마셨다. 그렇게 마시고도 다음날 멀쩡하게 출근한 건 그날 저녁 또다시 마실 술 때문이었을까. 그 때 고전을 전공했던 내 후배는 다섯 개 들이 요구르트를 최고의 해장으로 여겼다. 나는 생으로 굶는 것이 해장법이었다. 오백씨씨 생맥주의 맛보다 그 숱한 날들 어울렸던 후배들에게 내가 술값을 내는 것으로 낙을 삼았던 때다. 유독 마음이 통했던 후배는 내가 먼저 거리를 두었다가 아차 싶어 반성하고 연락했더니 이제는 그녀가 뭔가 화가 났는지 영영 무소식이다. 결혼식에도 서로 오고 갔는데, 그 후 몇 번 메일을 보내도 답이 없다. 수신확인은 했는데, 답장이 없어서 그녀가 내게 뭔가 화가 났구나 생각하기로 했다. 이유도 모른 채 지금도 가끔 그녀가 이제는 나를 용서했을까 생각한다. 아니면 아마 그녀 성격에 나 같은 언니는 기억에서 지워버렸을 거다.
그렇게 술을 먹고 나는 더러 음주 운전을 했다. 열두시만 넘으면 시내 교통체계가 작동을 멈추고 차도 거의 없던 때의 일이다. 가장 위태로웠던 한 때였다. 술이 위험하다는 것을 조금씩 알게 되었다.
그 즈음 나는 그를 만났다.
서울에서 강릉으로 강의를 오던 그는 슬쩍 내 책상에 휴게소에서 따온 꽃송이를 올려놓았다. 나는 그 꽃을 고개를 들면 바로 보이는 곳에 핀으로 꽂아두었다. 그 꽃이 마를 때 그는 또 다른 꽃송이를 따다 주었다.
어느 날은 마지막 강의로 늦은 시간 돌아오는데 어쩌다 한 송이가 피었는지 모르겠다며 품 속에서 백합 한 송이를 꺼내놓기도 했다.
내가 그에게 해 줄 수 있는 것은 커피 두 숟가락에 프림 두 숟가락을 넣은 커피를 내놓는 것 뿐이었다.
매화를 보러 난설헌 생가에 후배 둘과 그와 함께 들렀다. 홍매, 백매 아래서 꽃향기에 취해 내가 사들고 간 ‘카스’캔을 마시기 시작한 것이 발단이었다. 경포 호수에서 비오리가 자맥질 하는 것도 보고 경포 바닷가에서 회에 또 ‘카스’를 마시고 그러다 또 다른 후배가 오고, 날은 저물고, 먼 바다에 오징어배는 뜨고 ‘카스’는 벌써 몇 병째 비워지고 봄바람은 뭉클뭉클 다리를 감싸오고 우리 모두 즐겁게 취해 갔다.
그와 나는 주문진 바다를 보면서도 ‘카스’를 마셨다. 어느 날은 그가 쓴 시를 보여주었고 다음에는 내가 답시를 적어 보여주며 또 ‘카스’를 마셨다.
나는 그를 만나면서 바쇼의 ‘하이쿠’를 알았고, 동해 바다에도 밀물썰물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내가 알고 있는 바닷물고기가 고작 오징어 고등어 정도라면 그는 주문진 수산시장에 있는 거의 모든 종류의 물고기를 알고 있었다. 아버지와 동행했던 바다 낚시 이야기는 아무리 들어도 질리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카스’를 마셨다. 그때 처음 내가 조개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가 나에게 알려주었다. ‘거기는 조개를 좋아하는 것 같다’고 그가 말했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제부도 바닷가에서 조개를 먹을 때 나는 문득 그가 생각났다. 그날도 나는 ‘카스’를 마셨다. 그를 만나고 나서도, 그 해 겨울 학기가 끝나면서 그가 더 이상 강릉으로 강의를 오지 않게 된 뒤부터도 나는 ‘카스’를 마신다. 카스를 마시는 동안 나는 그를 생각하기도 하고 안하기도 한다. 하지만 내가 카스를 마시기 시작한 건 오로지 그 때문이다. 서른을 한두해쯤 남겨 두었고 나는 한 두 번 사랑에 실패했고, 나는 누군가한테 사랑을 받을 사람이 못된다고 마음을 접을 때 그는 나한테 단 한번도 사랑이라는 말을 쓰지 않았지만 나에게 꽃을 준 유일한 사람이 되었다. 지금도 나는 그것을 사랑이었노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남자 여자가 만나는 일은 사랑 말고도 또 있을 수 있다고 강변하고 싶다. 이루어질 수 없어서 안만나는 것도 있지만 그저 ‘카스’를 마시면서 꽃 얘기를 하고 바다 이야기를 하고, 시 얘기를 할 수 있으면 되는 만남도 있다.
그 때 마신 ‘카스’는 추억의 원천이 되어주었다. 나이를 먹어도 설렐 수 있는 추억 한 바닥을 소유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와 나 사이에 ‘카스’가 있었다.
황교익의 말처럼 ‘나는 내 영혼을 걸고 집착할 만한 음식을 갖고 있지 못하다. 딱히 소울푸드란 게 없’다. 한국인이 말할 수 있는 10여 가지 음식 안에서 술을 말 할 수 있을 뿐이다.
내 삶이 큰 굴곡 없이 밋밋해서 그럴 수도 있다. 목숨 걸만한 절박한 순간이 없다는 이유로 나는 시쓰기를 포기해야겠다고 재주 없음을 정당화시키는 짓도 했다. 어쨌든 난 그저 그런 삶을 지금도 살고 있다. 그저 그런 사람에게 그나마 얘깃거리를 있게 해준 막걸리, 소주, 생맥주, ‘카스’가 좋지 아니한가. 시쓰기를 멈추었지만 ‘카스’를 마시는 일은 내가 마지막 까지 그만두지 않을 자신이 있는 일이다.
이 책 <소울푸드>가 유용하다면 독자들로 하여금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은 자신의 삶에도 이야기가 있음을 생각하게 해 준다는 것이다. 음식은 본능에 가깝고 본능은 가장 나다운 것의 본질일 것이다. 그 음식이 내 기억에 남아있다면 나는 그 순간 가장 본능의 내 모습이었을 것이다. 더하고 뺄 것 없이 그 순간 가장 나의 모습이었던 그 때, 그 기억이 유효하다면 종류나 개수에 상관없이 그것이 나의 ‘소울푸드’이리라.
이 책 리뷰식탁에 다양한 소울푸드가 차려지기를 기다려본다.
추신) 글쓴이들이 쓴 소울푸드 이야기 보다 글쓴이를 소개한 글이 더 좋았다. 더러 본인이 직접 쓰기도 하고 누군가 써주기도 한 것 같은데, 아무튼 그들이 어떻게 살아왔고 살고 있는지 그 짧은 글 속에서 찾아보는 맛이 특히 좋았다.
![](http://image.aladin.co.kr/img/banner/blog/111026_label.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