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님을 사랑한 고양이 단비어린이 문학
전은숙 지음, 안병현 그림 / 단비어린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야기와 사랑에 빠졌다는 전은숙 작가님의 다섯 편의 이야기.



널 항상 사랑했어.


신부님을 사랑한 고양이


늘 성당에 머물며 신부님만을 바라보던 고양이는 사람이 되기 위해 두 발로 걷기 연습도 하고 글도 읽으려고 공부도 열심히 한다. 신부님은 이런 고양이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나비라고 이름도 지어주고 쓰다듬어 주시기까지. 옆에서 지켜보던 검둥이는 꿈 깨라고 하지만 나비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믿음으로 끝까지 소원한다. 사람이 되기를. 


그런 나비에게 검둥이는 항상 너를 사랑했다며 마지막을 함께 하는 이 짧은 동화에서 아이와 나는 사랑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랑이란 정말 어쩔 수 없는 건가 보다.



괜찮아 누구나 그럴 때가 있어. 너만 그런 게 아냐. 자기 일이 하찮고 보잘것없다고 생각될 때 말이야. 하지만 이 세상에  하찮고 보잘것없는 것은 하나도 없어. 그냥 지금 그 모습 그대로 멋지고 소중해. 


어느 별 이야기


각자의 역할에 지겨워질 무렵. 아니 아니 다시 말해야겠다. 각자의 역할에 너무나 익숙해진 나머지 지루해져 버린 우리를 위한 이야기가 아닐까.


아이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밥하고 설거지하고, 밥하고 설거지하고, 반찬 걱정하고 돌아서면 간식 준비하는 이 일이 하찮고 보잘것없는 것처럼 여겨질 때가 있었다. 하지만 이 일은 우리 아이들을 사랑하는 나만이 할 수 있는 일이었다. 이걸 깨달으니 멋지고 소중한 엄마의 역할이 보였다. 사랑을 듬뿍 넣어 아이들 입으로 들어가서 오물오물 씹히면서 꿀꺽 뱃속으로 들어갈 때의 행복감. 


염소의 말처럼 우리 모두 지금 모습 그대로 멋지고 소중하다는 걸 알았으면 좋겠다.



그 순간이었습니다. 카멜레온은 접혀 있던 혀를 길게 꺼내 금고 안으로 들이밀었습니다. 축축한 혀가 고무줄처럼 사정없이 쭉쭉 늘어나더니 금은보화와 돈을 휘감았습니다. 그리고 그것 모두를 한꺼번에 목구멍으로 삼켜 버렸습니다.


카멜레온


가장 지저분한 것을 먹는 카멜레온이 금은보화를 한꺼번에 삼킨다는 의미... 그리고 바로 뒤에 그것을 지키려던 욕심쟁이 아버지도 꿀꺽.


모든 돈이 더러운 것은 아닐 것이다. 열심히 일해서 그만큼의 보상으로 번 돈은 카멜레온이 쳐다보지도 않을 것이니까. 이 카멜레온이 우리 집에서 삼킬 것이 있는지 나도 모르게 둘러보았다. 




엄마 눈과 내 눈이 마주쳤어. 온 세상이 멈춘 것 같았어. 바로 그때 내 속에 있던 심장이 쿵 내려앉았어.


별을 버렸다


나도 엄마 지갑에 있던 돈을 꺼낸 적이 있다. 100원 짜리 동전 7개였다. 나는 그 700원으로 아무것도 못했다. 엄마한테 바로 걸려서 엄청 혼이 났었다. 이 이야기의 엄마는 아이가 돈을 가져간 줄 알았지만 아이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그냥 학교 잘 다녀오라고 인사하는 모습에서 내 심장까지 쿵 떨어졌다. 




쟈가 내 친손자요. 영정사진 찍으려니 무서워서 끌고 왔어요.


할아버지의 선물


아... 아이를 위해 읽은 단편집인데 마지막 이야기에 나는 그만 울고 말았다. 영정사진을 찍으면서 무섭다는 할아버지의 말씀이 내게 정말 크게 들렸다. 우리 할아버지 생각도 났다. 우리 할아버지는 나랑 못다 먹은 사과 반쪽이 남았는데... 이 책의 할아버지는 자전거를 남기실 건가 보다. 이 아이는 자전거를 탈 때마다 할아버지 생각을 하고, 나는 사과를 반으로 짝 가를 때마다 할아버지가 생각난다.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신부님을사랑한고양이

#전은숙

#단비어린이

#어느별이야기

#카멜레온

#별을버렸다

#할아버지의선물

#안병현

 태그수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뚜아뚜아별의 법을 부활시켜라! 생활 속 법 이야기 - 이 세상에 법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초등융합 사회 과학 토론왕 73
김경희 지음, 문수민 그림 / 뭉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뚜아뚜아 별의 법을 부활시켜라!


누구나 할 수 있는 질문. '이 세상에 법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흔히 말하는 법 없이도 살 사람들은 살 수 있을까? 그렇담 법이 필요한 사람들은 누굴까? 법은 누가 만드는 걸까? 법을 지키지 않은 사람들은 어떻게 할까? 꼭 지켜야만 할까? 무슨 일이 있어도?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읽었다. 제일 좋았던 부분은 아이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주제들이 각 장마다 제시되어 있었다. 법을 왜 지켜야 하는지, 악법, 국회의원, 사형제도에 대한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안내되어 있다.



"엄마. 우리나라는 사형제도 있어?"


"있지."


"사형을 한다고?"


"제도가 있지. 사형은 현재는 안 하고 있어."


"흉악범들은 사형해야 하지 않아?"



이런 얘기를 하면서 국제앰네스티에 대한 얘기도 했고, 한국 현대사에 대한 얘기도 했다. 그러면서 요즘 뉴스에 오르내리는... 입에 올릴 수조차 없는 인간들에 대한 고민을 했다. 아이와 함께 무거운 생각을 하면서 그들과 우리가 다른 점은 법에 대한 존중이라는 결론도 있었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생활속법이야기

#뭉치

#토론왕

#법

#김경희

#문수민

#사형제도

#국회의원

#국제앰네스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별명은 똥손 저학년 책이 좋아 5
이나영 지음, 심보영 그림 / 개암나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반짝반짝 마법의 손톱 스티커로!


자칭 타칭 '똥손'인 지안이. 지안이를 읽으며 마치 나를 보는 듯. 나도 일명 '마이너스의 손'인데. ㅋㅋ


뭘 해도 투박한 솜씨가 있다. 아이들과 지내다 보면 손끝이 야무진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야무진 손끝으로 색종이도 예쁘게 접고, 글자도 또박또박 쓰는 아이들을 보면 참 예쁘다. 투박한 색종이 접기와 삐뚤빼뚤 쓰는 글씨를 보면 더 예쁘다. 이런 아이들은 또 모든 것에 진심인 편이다. 지안이처럼.



어쩌다 만난 '반짝반짝 손톱 가게'는 네일숍이다. 똥손 지안이를 금손으로 만들어 줄 마법의 손톱 스티커를 얻고 나서 벌어지는 일이다. 지안이는 스티커를 불이고 손톱을 자르며 금손이 되기는 하지만 손톱을 잘라 후~~~ 불어 날린 것이 그만!



아이들과 읽어보니 역시 지안이에게 공감하는 아이들이 더 많은 것 같았다. 더불어 우리 친구들이 지안이처럼 '소중한 나'를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똥손도 좋고~ 금손도 좋고~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똥손

#금손

#내별명은똥손

#개암나무

#이나영

#심보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 왕의 모든 것을 담은 기록, 조선왕조실록 - 조선왕조실록이 들려주는 기록 역사 이야기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한국사 그림책 19
안미란 지음, 박지윤 그림 / 개암나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조선왕조실록이 들려주는 기록 역사 이야기.


블로그를 하면서 기록은 인간의 본능이라는 생각을 했다. 매일 아침마다 저녁마다 적는 글이 별거 아닌데도 개인적으로 별것이 된다. 매일 적는 글을 하루라도 안 적으면 막 불안하고 큰일 날 것 같은...


이런 본능으로 우리나라에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기록 유산이 여럿 있다.



직지심체요절은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본으로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이지만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일성록은 정조 때부터 시작한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이다. 훈민정음해례본은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라고 보면 되겠다. 조선왕조의궤는 국가의 주요 행사를 꼼꼼하게 기록한 것이다. 최근 것으로는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과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이 있다. 



조선의 기록이 높게 평가되는 이유는 유구한 역사도 역사지만 그 객관성이 아닐까 싶다. 왕은 사관의 기록을 볼 수 없다. 꼼꼼하게 기록하지만 실록을 남기기 위해서 다른 기록물들과 교차 검색을 한다. 틀리거나 사실이 아닌 것은 바로잡아 여러 권을 제작한다. 정성을 다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국가의 중요한 행사 중의 하나일 정도로 그 의미가 크다.



실록에 대한 역사 중 새롭게 알게 된 것은 '포쇄'였다. 3년에 한 번씩 실록을 보관함에서 꺼내 햇볕과 바람을 쏘였다고 한다. 해충과 습도 조절을 위한 조치인데 포쇄관이 된 신하는 실록궤에 네 번 절하고 열었다고 한다. 왕 앞에서 절을 하는 것과 같이. 포쇄관은 참으로 명예로운 직책이었으리라.



조상의 지혜로 여러 권을 제작하여 소중하게 보관한 덕분에 지금도 조선왕조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니 정말 다행이고 또 다행이다. 우리에 대한 기록도 나중에 나중에 소중하게 다뤄질지 모르니 이렇게 글로 남기는 작업을 소홀히 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참. 그러고 보니 국가기록원에 아이들과 함께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조선왕조실록

#개암나무

#조선왕의모든것

#박지윤

#안미란

#한국사그림책

#세계기록유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 2021 뉴베리상 대상 수상작 꿈꾸는돌 28
태 켈러 지음, 강나은 옮김 / 돌베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21 뉴베리 수상작.



이 책을 읽고 나니 새삼 뉴베리상에 대한 역사를 되새기고 싶다. 뉴베리상은 18세기 영국의 출판인이자 서적 상인인 존 뉴베리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상이다. 인쇄술이 발달하기 시작할 무렵이었고, 읽을거리가 귀했던 시절에 손바닥만 한 책을 보따리에 싸서 다녔다. 이런 뉴베리 덕분에 이야기는 여기서 저기로 전해지고, 독자들은 다른 이야기와 다음 이야기를 목말라했을 것이다. 또 글을 궁금해하고, 이야기에 살이 붙으면서 스토리가 풍성해졌을 것이다. 독자들의 구미에 맞춤형으로.



뉴베리상에 딱 맞는 스토리였다. '해님 달님'을 모티브 삼아 작가 본인의 이야기까지 녹여낸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은 풍성한 식탁과 같았다. '조아여'를 '조용한 아시아 여자애'로 말하면서 타국살이에 대한 고단함이 담겼고, 아시아인의 특유함이 있었다. 가족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과정과 '존재'의 의미를 더 깊이 생각할 수 있었다. 가장 강렬했던 자극은 여성들이 이야기의 모든 것을 이끌고 있었다. 



애자 할머니와 엄마 존, 언니 샘과 우리의 주인공 릴리. 3대에 걸친 여성들이 만들어가는 이야기는 작가의 가족을 보는 것 같았다. 



https://blog.naver.com/imdol79/222335205165

[2021 뉴베리 수상작] 판타지로 변신한 한국 전래동화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태 켈러 #뉴베리상 #해님달님)

한국 전래동화 「해님 달님」에서 튀어나온 듯한 마법 호랑이와 강인한 한국 여성들의 이야기 할머니, 이야...


blog.naver.com


나는 태 켈러가 여성이었기에 이야기가 이토록 매력적이었다고 생각한다. 성을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 특유의 생각과 난관을 헤쳐나가는 태도가 너무나 마음에 든다는 뜻이다. 유리병에서 이야기를 꺼내는 방식은 마치 이야기 주머니에 갇혀 있던 이야기를 구하는 전래동화와 너무 비슷하지 않나! 외국 작가이지만 여기저기 한국의 냄새가 가득하다. 그래서 너무 좋았다. 낯설지도 그렇다고 너무 익숙하지도 않은 새로움과 낯익음의 줄타기. 



감정의 줄타기를 마치면서 나는 결국 울고 말았다. 이 작가님 증말... 이러면서 나는 다시 읽을 수밖에 없다. 이야기의 조각들을 하나하나 다시 맞춰가며 호랑이의 행적은 외우고 싶었다. 우리에게 호랑이는 그만큼 특별한 존재가 아니었던가!



https://youtu.be/SmTRaSg2fTQ



특별한 호랑이가 대물림되는 모습에서 나는 민족성은 읽을 수 있었다. 아마도 작가님이 본인을 '1/4만 한국 사람'이라고 스스로를 표현하면서 깜짝 놀랐던 것은 작가님 내면에 있는 호랑이가 꿈틀댔기 때문일 것이다.



언니야를 Unya, 애기 Eggi, 할머니 Halmoni, 엄마 Umma를 그대로 표기했던 것도 우리의 밑바닥에 깔린 정서를 그러모으는 데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혼자서 피익 웃음을 터트렸을 때는 호랑이가 자신의 성별과 식이요법을 밝혔을 때다. 작가는 내가 그리고 독자들이 이렇게 피식 웃을 줄 알았을까? 



"그 이야기들, 위험하잖아."


"그 이야기들은 힘이 세지."


"사람을 바꿔 놓는 힘이 있다면서. 네가 그랬잖아."


173쪽


위험하지만 우리를 바꿔놓을 센 이야기,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을 읽고 나는 내 안의 호랑이를 찾고 싶다. 또는 내 이야기를 만들고도 싶다.


여기 비밀스러운 역사가 있었다. 곰이 한국 여성, 또는 고생과 말 없는 인내가 핵심인 어떤 여성다움을 상징한다면 호랑이는? 


고생을 거부한 대가로 추방을 당한 여자는?


그리고 그 여자가 다시 돌아온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그 여자는 무엇을 원할까? 그리고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까?


330쪽


그 이야기의 시작을 맨 뒤에서 알려주는 건... 나에게도 시작을 해 보라는 작가님의 덫 인가?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호랑이를덫에가두면

#태_켈러

#2021

#뉴베리

#뉴베리상수상작

#강나은

#돌베개

#호랑이

#할머니

#Halmoni

#우리할머니도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