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민중 역모 사건 - 재판 기록으로 살펴본 조선의 두 얼굴
유승희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모 사건 기록으로 살펴본 조선의 두 얼굴

2016년 가을 대한민국엔 변혁의 바람이 불고 있다촛불집회라는 외형으로 보이지만 그 속내는 권력의 핵심부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의식의 발로다혼란스러워 보이는 오늘의 정치정세는 바로 그 변혁의 중심에 서 있는 것이다이런 저항의식의 발로로 권력의 출발점이었던 국민들의 힘에 의해 권력의 속성을 바꾸었던 경험이 우리에게 있다. 1987년 6월 항쟁이 바로 그것이다자신의 권력을 위임하고 일상을 수고로움으로 엮어가는 백성이 필요할 땐 그 힘을 되찾아 역사의 맥을 세운다. 2016년 가을지금 우리의 모습에서 힘을 확인하는 중이다.

 

이 책 조선 민중 역모 사건은 절대 권력에 반기를 든 민중이 어떻게 저항과 반란을 시도했는지 들여다본다이 책의 모태가 되었던 것은 추안급국안이란 기록물이다. ‘추안급국안은 '추안 및 국안'이란 뜻이다이 기록은 왕명을 받고 수사를 개시하는 특별 사법기관인 의금부에서 만들어진 사건 기록이다.추안은 일반적인 심문인 추문의 결과를 담은 문서이고국안은 고문이 수반된 심문인 국문의 결과를 담은 문서다이 추안급국안에는 1601(선조 34)부터 1905년까지 약 300년간 각종 사건을 다룬 추안 331개가 담겨져 있다.

 

추안급국안에 담긴 다양한 기록물 중에서 국가가 정한 모반대역謀反大逆·저주咀呪·조요서요언造妖書妖言·난언亂言·무고誣告·대역부도大逆不道” 등 여섯 가지 죄목과 이에 해당하는 아홉 가지 사건의 전말을 살펴당시 민중의 저항과 반란의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여기에는 실세를 잃은 양반부터 무당·승려·노비·일반 양인·무사·궁녀 등 다양한 계층에서 시도한 저항과 반란을 조선왕조는 어떤 방식으로 통제했는지도 함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 민중 역모 사건에 실린 사건으로는모반대역의 사건 길운절과 소덕유의 역모 사건거사패와 유배죄인의 역모 사건박업귀의 역모 사건명화적 이충경의 역모 사건과 저주사건으로는 인조 대 궁중 저주 사건을 살피며, ‘조요서요언사건으로는 요승 처경의 역모 사건 난언사건으로는 차충걸의 난언 사건 무고’ 사건으로는 어느 광인의 역모 고변 사건 대역부도오재영과 이성세의 대궐 침입 사건 등이 다뤄지고 있다.

 

나아가 이 책에는 [더 알아보기]라는 코너를 통해 추국과 관련되어 더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추국과 추안 속 고신의 종류추국을 진행했던 의금부의 위상과 이 기록에 등장하는 죄인들은 어떤 처벌을 받았는지모반대역죄인의 재산을 몰수했을까 등의 추국과 관련된 여섯 가지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의금부라는 국가기관에서 왕조의 존립을 위협하거나 유교 윤리의 근간을 해치는 작은 행위도 절대 용납할 수 없었다이 기록으로만 볼 때 권력의 시각에서 바라본 사건에 대한 기록물이라는 한계가 분명하게 있지만 이를 통해 당시 사회의 분위기를 역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곶감이다. 볕이 잘 들고 바람도 통하는 곳에 감을 깎아 말린다. 곶감의 '곶'은 감열매를 곶이처럼 묶었다는 뜻이라고 한다. 햇볕에 말라가는 동안 색이 변해가는 것을 보면서 이미 그 달콤한 맛을 음미한다.

시간이 응축되어 감으로 맺고 그 감이 옷을 벗고 햇볕에 말라 곶감(건시乾枾)이 된다. 쓴맛이 특유의 단맛으로 바뀌는 것이다. 

단맛이 배이는 동안 긴 기다림의 안타까움을 달래라고 눈으로 먼저 맛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투명하리만치 맑은 하늘 아래 볕이 좋다. 그 볕으로 인해 포근함이 스며든다. 굳이 양지바른 곳을 찾지 않더라도 좋은 이미 충분한 볕이다. 풍부한 일조량을 가슴에 품어 느슨해진 마음 깃 여밀 수 있길 소망한다.

남으로 열린 곳을 서성이며 여민 옷깃 사이로 스며드는 햇볕을 품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박덩굴'
꼬옥 다문 열매가 주황색의 보석이 처럼 알알이 맺혔다. 혼자서는 서지 못하기에 이웃에 기대어 사는 모습이 사람 사는 것과 다르지 않다.


길가 수풀이 다 지고난 후 비로소 제 존재를 드러낸다. 가을볕을 받아 한껏 빛나는 것이 지나온 수고로움의 보상이라도 되는양 따스하다.


노박덩굴은 산과 들의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지는 덩굴성나무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다. 10m 이상 자라기도 한다.


꽃은 5 ~ 6월에 피며 황록색으로 피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꽃에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 5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숲속의 평범한 나무로 평상시에는 사람들에게 별로 주목 받지 못하지만, 열매가 익는 늦가을이 되면 갑자기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진실', '명랑'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느린 가을길
늦은 가을 한자락 붙잡고자 길을 나섰다. 지난 여름 첫걸음에 누군가에게는 숨겨놓고 싶은 절이었다는 화암사 나들이 길이다. 외씨버선 같던 고즈덕한 길에 나무데크로 길을 만들어 맛과 멋을 한꺼번에 망쳐가는 현장을 걷는 속내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나선 길에 완주 송광사에 들러 오래전 기억 속 그 사찰 경내를 걷는다. 한켠의 포대화상도 눈맞춤하기엔 고개가 아픈 불상도 눈길 주지않고 여전히 아름다운 범종루에만 서성거리다 위봉사가는 길로 들어선다.

오성한옥마을, 오즈갤러리, 임동창 풍류학교, 소양고택, 아원고택에 카페와 갤러리ᆢ. 산골짜기에 새로 조성되는 마을이다. 갤러리와 카페 그리고 사람사는 한옥이 어우러져 새로운 문화촌으로 정착되어 간다. 송광사와 위봉사 사이 문화벨트가 형성되어가는 것이 번잡함으로만 읽히지 않으려면 공동체를 아우르는 무엇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막바지 가을 나들이, 하늘을 날고픈 물고기의 꿈에 내 마음 겨우 기대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