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의 배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경제학의 배신 - 시장은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라즈 파텔 지음, 제현주 옮김, 우석훈 해제 / 북돋움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의 배신

이 책 경제학의 배신 (The Value of Nothing)'의 저자인 라즈 파텔은  가격과 가치에 대한 새 사고방식을 제시하면서 정통 경제학 이론,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비판한다. 즉, 주류 경제학이 주장하는 효율적 시장가설 그리고 오직 이익만 좇아 행동할 것이라 가정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경제인)‘에 대한 부정에서 시작한다. 이  ‘인위적 인간’은 ‘보이지 않는 손’이 지배하는 자유시장을 만들어냈고, 나아가 현대경제학이란 이름으로 세상을 통치하게 됐다고 지적하며 시장이 정하는 가격으로 세계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는 믿음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도 일러준다. 특히 호모에코노미쿠스라는 인간은 경제적 동물이라는 관점에서 모든 것을 합리적, 논리적으로 선택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전혀 그렇게 행동하지 않는다는 걸 많은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책은 크게 2부분으로 나눠져 구성되어 있다. 1부는 <가치가 사라진 세계>란 주제를 가지고 우리가 알고 있던 시장, 가격과 가치가 어떻게 되는지를 전혀 다른 시각으로 이야기를 해 우리의 눈을 새롭게 띄게 만든다. 인간보다는 기업이 더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가진 호모에코노미쿠스 같이 행동한다고 한다. 우리가 이미 상식으로 알고 있는 것에 대해서 놀라운 반전을 이룬다.  


책은 경제 붕괴의 혼돈을 묘사하며 우리는 왜 실질적인 변화 없이 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성향을 갖게 되었는지 일깨워 주며 어떻게 해야 지금의 세계로 이끈 잘못된 경로를 바로잡을 힘을 갖는지 제시한다. 책은 정치적인 분야도 다루고 있다.  2부는 <새로운 공유지의 탄생>을 주제로 잘못된 현실을 바로 잡을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장을 구하는 정치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  국가단일건강보험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다양한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압력을 지적하며  저자는 ‘민주주의’에 대한 환상에 대해 지적한다. 정치가 있는 곳에는 응당 민주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행하는 민주주의는 ‘정당 정치’ 또는 ‘대의 정치’와 동의어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어 준다.  정당과 투표로 점철되는 반쪽짜리 민주주의가 아니라 모든 이가 참여하여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치가 우리 삶 곳곳에서 벌여져야 한다. 그 정치는 단번에 끝낼 수 있는 싸움이 아니라 집단의 행복을 키워가지 위해서 끊임없이 계속되어야할 삶의 일부이며, 끝나서는 안 될 변화와 생성의 과정이라고 한다. 이 책을 통해 경제에 대한 사고를 정립한것외에도 많은 경제적 지식과 사회적 이슈에 대해 알게된것이 또하나의 소득이라면 소득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