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알고 싶은 유럽 Top 10] 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나만 알고 싶은 유럽 TOP10 -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두 번째 이야기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2
정여울 지음 / 홍익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2년 전쯤에 프랑스로 이민을 간 후배가 있다. 예상하지 못했던 갑작스러운 이민이었다. 제 나라를 떠나 가까웠던 가족이나 친구들과 헤어져 영원한 이방인으로 살겠다 마음먹는 일은 그에게도 쉬운 결정은 아니었을 터였다. 그가 떠나기 전 사정을 모르는 지인들은 그의 결정을 두고 무책임하다거나 무모하다고 비난하는 사람도 더러 있었고, 잘했다 응원하는 사람도 더러 있었다. 그는 아내와 두 아이를 데리고 정들었던 대한민국을 그렇게 떠나갔다.

 

살던 집과 가재도구를 정리하느라 정신없이 바빴던 시기에 그는 잠깐의 짬을 내어 나를 만나러 왔었다. '이제 떠나면 형도 만나기 어려울 것 같아서...' 하며 말끝을 흐렸다. 복잡한 속내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그의 얼굴에서는 쓸쓸함이 묻어났었다. '그렇겠지' 나는 곧바로 수긍했다. 한동안 말이 없던 그는 자신이 떠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어눌한 어조로 떠듬떠듬 내뱉었었다.

 

그의 말인 즉슨 대한민국의 교육 환경에 자신의 아이들을 맡기고 싶지 않다는 것이 이민을 결정한 가장 큰 이유라고 했다. 그렇다고 무슨 자식에 대한 대단한 기대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아이들만큼은 적어도 누구의 강요나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리지 않고 자유로운 환경에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계획하고 그렇게 살도록 하겠다는 것이 그의 목표라고 했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그럭저럭 참고 기다리면 일말의 희망이 있으려니 기대했었지만 MB정부를 지나 다시 또 보수정권이 권력을 잡는 것을 보았을 때 대한민국에 대한 희망을 완전히 접었다고 했다.

 

엊그제 그에게서 전화가 왔다. 시간이 되면 한번 놀러오라는 의례적인 인사였지만 그의 말 속에는 그리움이 깃들어 있었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두 아이들은 이제 프랑스 사회에 완전히 적응했노라며 들뜬 목소리로 자랑을 늘어놓기도 했다.

 

정여울 작가의 <나만 알고 싶은 유럽 TOP10>을 읽으며 프랑스로 이민을 떠난 후배 생각을 했었다. 여행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충만한 자유, 그것은 구속에서 벗어난 육체적 자유이기도 하거니와 동시에 자신에게 익숙했던 틀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비춰지는 사람들과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범위에서 축조된 인공구조물에서 느끼는, 말하자면 풍경에 동화된 사물에서 느낄 수 있는 자유가 아닐까 싶다. 사람을 풍경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 사물을 자연의 일부로 바라보게 하는 겸손, 집착과 욕심에서 한 발 비껴서게 하는 관조는 여행을 통해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모든 것이자 '자유와 행복은 등가'라는 삶의 방정식을 푸는 실마리이이다.

 

"처음 유럽여행을 시작했을 때는 유럽의 웅장한 건축물과 화려한 미술관이 정말 부러웠지만, 이제는 드넓은 광장에서 햇살바라기를 하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 순간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광장의 문화가 부럽다. 굴지의 건축물이나 걸작으로 가득 찬 미술관은 우리가 지금 당장 가질 수 없지만, 광장의 문화, 골목길의 문화는 우리가 조금만 노력하면 함께 누릴 수 있는 기쁨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p.91)

 

이 책에서 작가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단순히 눈을 휘둥그레하게 하는 명소의 소개가 아니라 일상을 들여다보는 관객으로서의 삶, 사색과 공감을 가능케 하는 인문학적인 여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짧은 일정에 맞추어 하나라도 더 많은 것을 보려고 욕심내던 젊은 시절의 여행이 아닌 역사 속에서 자신의 삶을 차분히 지켜볼 수 있는, 진정한 삶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는 중년의 여행을 작가는 권하고 있다.

 

이민을 간 후배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가족과 함께 여행을 떠난다고 했다. 우리가 생각하는 거창한 여행이 아니라 텐트 하나 싣고 냉장고 속 음식 재료 몇 가지 담아 무작정 떠나는 여행, 맘에 들어 차들 멈추게 되는 이름도 없는 숲에서의 하룻밤을 그는 원없이 하고 있다고 했다. 때로는 억수같이 쏟아지는 비를 만나기도 하고, 때로는 밤하늘을 가득 메운 별들을 보며 감상에 젖기도 한다고. 한국을 떠나기 전까지는 삶이 이토록 변화무쌍한 것인지 미처 몰랐노라고 그는 말한다. 문득문득 어쩔 수 없는 향수를 느끼기는 하지만 행복하다고 했다, 그는.

 

"오랫동안 혼자 여행을 하는 것은 우리의 잃어버린 신체성과 주체성을 회복하는 길이다. 내 몸이 어떤 순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내 몸이 얼마나 휴식과 명상을 요구하는지, 내 몸이 어떤 상황에서 진정으로 깊은 희열을 느끼는지, 그런 것들을 여행 속에서 깨달을 수 있다면 그 여행은 평생 약효가 지속되는 보이지 않는 명약이 된다."      (p.334)

 

엊그제의 전화통화에서 후배는 한국의 뉴스를 접할 때마다 열 번이고 백 번이고 떠나올 수 있어서 다행이라 느낀다고 말했다. 천진한 고등학생은 수학여행 가다 죽고, 수학여행에서 죽지 않아 다행이라 여겼던 부모는 윤일병이나 임병장처럼 군대에서 자식을 잃고 그게 어디 나라라고 할 수 있느냐며, 아프리카 후진국도 그보다는 낫겠다며 마치 제 일처럼 분통을 터뜨렸다.

 

나는 이따금 후배가 그립다. 제 나라를 떠나 유목민의 삶을 자청한 후배, 여행자의 그것처럼 향수를 못 견뎌 하는 후배, 그럼에도 천진하게 웃음을 흘리는 후배, 나는 그에게서 잠시 여행을 떠난 막내 동생의 모습을 본다. 그러나 그는 여행자처럼 쉽게 돌아오지 않을 것임을 잘 알고 있다. 어쩌면 그것은 대한민국이 절대 허용하지 않는 삶의 자유를 그가 끝내 거부하는 까닭이며, 그것을 대물림하지 않겠다는 그의 비장한 결심을 나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