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에는 누군가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숲의 식구들이 그리고 지구가, 지구의 문법이, 지구의 신음이, 우리의 책임이,
우리의 미래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또 우리를 기다리는 이가 있다. 때로는 감격에, 때로는 영감에 조용히 마음설레는 우리 자신이다.
- P12

경이로운 것은 숲의 녹엽 식물들의 생존 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생태적 효과이다. 이들은 광합성 과정에서 나온 폐기물인 산소를 대기에 쏟아내면서 지구 대기 내 산소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대기 중 산소 농도는 약 21퍼센트로(인체에 이로운 산소 농도는 21~23퍼센트이다) 이 농도는 지구에대기가 생긴 이래 12~35퍼센트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상승과하강을 반복하며 동식물 종들의 번성과 멸종을 좌우하는 역할을 해왔다.  - P28

숲에서 우리가 받는 쾌적한 느낌은 식물들이 내뿜는 피톤치드의 향 때문인데, 피톤치드는 식물들이 발산하는 대표적인 독성 물질(방어성 물질)이다. 5,000개 이상의 성분을 함유한 피톤치드의 독성은 그 이름에서 확인된다. 피톤치드는 식물(Phyto)‘과 죽이다(Cide)‘
는 뜻이 결합된 단어이다. 우연히도 인체에는 이롭지만, 어떤박테리아나 곤충에게는 독성을 발휘하는 독극물이 바로 피톤치드인 것이다.
- P29

숲의 실재에 다가가려면, 숲의 시간을 상상해야 하며, 숲에서 이동하는 대신, 어슬렁거려야 한다. 그리고그러려면 반드시 혼자여야 한다. 가을 숲은 홀로, 멈추어서서 바라보는 자를 반긴다.
- P42

천천히 죽어가고 있는 , 죽음이라는 시간을 살고 있는 한겨울의 나무들, 그러니까 존 내쉬는 겨울나무의 일관되고 뚝심 있는 웅크림만이 아니라 늙음과 죽음의 몰골마저 그려내려 했던 것이다. 


죽음이란 
가면을 벗은 삶인 것 
우리도, 우리의 겨울도 그와 같은 것"(기형도)
이라고 썼던 시인의 감성을 우리는 존 내쉬의 그림에서 재발견한다.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은 미술관이다. 화가처럼 숲에 사는 녀석들은 속임수에능하다. 속이기, 숨기, 숨겨 놓기, 아닌 척 딴청부리기라는 분야에서 이들을 따라갈 자가 이 우주에 다시없다. 숲과 자연에 관한 생태적 삶과 생태적 상상력이 우리의 숲길 산책에 동반되어야 하는 까닭이다.
- P9

숲은 서두르기에는 너무나도 아까운 곳이다. 숲에선 어린이가 되어야 하고 느림보가 되어야 한다. 어슬렁대며 바라보고 기록하기 가장 좋은 장소가 바로 숲이다. 숲을 찾아갔다.
면, 비밀의 단서를 찾아보라는 숲의 주문에 응답해야 한다.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서운 일이 실제로 일어날 거라는 증거가 어디에 있는가? 과거에 그런 일이 있었다고 해도 또 그런 일이 일어난다는 보장은어디에도 없다. 더군다나 그들 중 대부분은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았던 일조차 겁내고 두려워한다.
- P69

 걱정만 하며 살기에는 우리 인생이 너무 짧지 않은가.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있을 때만 걱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럴 경우에도 그러한상황이 일어나지 않게 예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치매 환자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나도 치매에 걸릴까 봐 전전긍긍해야 할까? 물론 원인을 연구하고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 P70

회피하면 당장의 불안은 면할 수 있지만 삶의 반경이 현격히줄어든다. 불안을 면한 대가가 너무 혹독하지 않은가. 또 삶을 적극적으로 살지 못하는 자신의 무능함에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다.
불안을 물리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힘들지만 노력하지 않아도힘들기는 마찬가지다. 회피 전략은 그 상황이 실제로 위험할 때만의미가 있다.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모님이 겁이 많다거나 자신이 겁이 많다는 이유로 우리는 자신을 겁쟁이라고 확신한다. 그럼 신체와 마음 또한 그 판단에 맞게 불안으로 반응한다. 물론 그런 메커니즘이 유익할 때도 있겠지만, 몇 가지 반응은 영원히 어린 마였을 때 수준에 멈춰버린다.
당시 어린아이 눈으로 무서워했던 상황 그대로 계속 회피하며 살았기 때문이다.
- P47

정리하면, 불안은 대부분 특정 상황의 위험은 과대평가하고, 그위힘에 대처하는 우리의 능력은 과소평가하기 때문에 생긴다. 상황과 자기 능력에 대한 평가는 이린 시질에 이미 모두 매우기 때문에 불안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찾아온다.
- P55

4생각 바꾸기 5단계

오랫동안 반복된 생각과 감정과 행동을 바꿀 수 있을까? 물론이다. 그럴 수 있다. 특정 자세, 감정, 행동 방식에 길이 든 사람도 그것을 바꿀 수 있다. 마치 외국어를 배우는 것과 같다. 외국어 학습과 같이 5단계 과정을 거치면 누구든 묵은 생각과 감정과 행동을바꿀 수 있다. 단, 5단계 중 어느 하나도 건너뛰어서는 안 된다.
- P55

불안으로 인한 불안

부정적인 생각으로 인해 특정 상황에서 과도하게 반응하는 습관이 든 경우 우리는 그 부정적인 생각은 전혀 의식하지 못한 채심장이 두근거리거나 호흡이 가빠지는 등 몸의 반응만을 느낀다.
그러고는 이런 신체 경고 반응만으로 상황이 실제로 위험하다고결론 내린다. "그렇지 않다면 이렇게 불안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자신을 부추기면서 불안을 이제 곧 일어날 끔찍한 일의 경고로해석하는 것이다.
- P61

3평생 불안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평생 불안을 느끼고 싶지 않다는 상상은 매력적이지만 바람직하지 않고 현실적이지도 않다. 적절한 정도의 불안은, 특히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 앞에선 바람직하고 또 반드시 필요하다. 불안이 집중력을 높이기 때문이다. 
-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불안은 왜 생기는 걸까?


인간은 불안을 느끼는 능력을 갖고 태어난다. 이 능력은 생존을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불안은 우리 몸의 경고시스템이다. 덕분에우리는 위험한 상황이 닥치면 싸우거나 도망치거나 죽은 척해 위험을 모면할 수 있다.
- P28

2감정평가의 의미

우리는 살면서 상황과 사람을 평가하라고 배운다. 이웃의 의견은위험하고, 시험에 떨어지는 것은 재앙이며, 거미는 무섭고, 비행기를 탔다가 잘못하면 죽을 수도 있다고 배우는 것이다. 이런 평가는 대부분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만 따지면 모든 상황에서 3가지 평가가 가능하다.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중립적 평가다.
- P35

우리 뇌는 컴퓨터와 비슷하다. 프로그래밍하면 그대로 실행된다. 따라서 잘못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면 위험하지 않은 것을 위험하다고 평가하여 잘못된 신호를 신체에 전달한다. 불안은 이렇듯우리 머리에 잘못 입력된 프로그램으로 인해 발생한다. 불안이 자신이 평가한 것에 따라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라면, 그 말은 곧 불안을 이길 수도 있다는 뜻이다.
- P43



지금 당장 불안을 조장하는 당신의 생각을 찾아 나선다면 아마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할 수 있다. 그래도 걱정할 필요 없다. 당신은 지극히 정상이다. 우리는 아직 시선을 생각으로 돌리는 습관을들이지 못했을 뿐이다. 우리의 시선은 여전히 감정에 멈추어 있다.
우리가 감정에만 정신이 팔려 있는 통에 감정의 진짜 원인이 우리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은 것이다. 우리는 감정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감정이 무작정 우리에게 치닫기 때문에 우리는당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상황이 감정을 불러일으킨다고 잘못 판단하고, 그 상황을 자꾸 회피하려고만 한다. - P44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2-04 23: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모나리자님 잃시찾 댓글 달았어요 ^0^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