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War II at Sea: A Global History (Hardcover)
Craig L. Symonds / Oxford University Press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전을 중심으로 제2차 세계대전을 살펴본 책이다. 대서양에서 벌어진 유보트와의 싸움(대서양 전투)부터 태평양에서 벌어진 여러 해전까지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해전의 측면에서 제2차 세계대전을 살펴보니 전쟁의 전모가 더 잘 보이는 듯하다. 해전을 따라가지만 같은 시기의 주요 지상전도 짚어주며, 태평양에서 이런 사건이 벌어지는 동안 유럽에서는 이런 일이 있었다는 식의 기술도 많다. 해전 및 지상전의 흐름과 의의를 알려주며, 특히 전쟁 수행에 있어서 해상 운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매우 유익한 책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기분 좋게 읽으며, 마지막 에필로그에 다다랐는데, 갑자기 정신이 확 드는 부분이 나왔다. 1945년 9월 2일, 미 해군 전함 미주리 함상에서 연합국 대표와 일본 대표 사이에 항복 조인식 장면을 기술하는 부분이었다. 일본 대표로는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이 나왔는데, “한국에서 테러리스트 폭탄”에 의해 다리를 잃어 절뚝거리게 됐다는 내용이 나온다[*]. 실제로 시게미쓰가 다리를 잃은 사건은 상하이에서 일어났고, 폭탄을 던진 “테러리스트”는 윤봉길 의사이다. 제대로 알아보지 못한 저자의 책임이겠지만, 한편 서구가 우리에게 얼마나 무심한지, 우리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얼마나 주변부였는지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일본은 제1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열강의 하나로 취급받았지만, 우리는 양차 세계대전에서 국가로서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 식민지였을 뿐이다. 그런 나라가 이제는 ‘선진국’이 되었다는 말을 들으니 정말 상전벽해라는 말이 실감난다. 


어제, 우리가 개발하고 있는 KF-21이 첫 초음속 비행을 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새로운 길을 만들어가는 우리 엔지니어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

[*] “... as he had lost a leg years before in Korea to a terrorist’s bomb...” (p. 6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시간적 법칙으로 세상을 초월하고자 하는 욕망에 대한 리 스몰린의 한 마디를 옮긴다.


There's a cheapness at the core of any claim that our universe is ultimately explained by another, more perfect world standing apart from everything we perceive. (p.11)


"우리가 지각하는 모든 것들로부터 동떨어진, 또 하나의 더 완벽한 세상에 의해 우리 우주가 궁극적으로 설명된다는 주장은 본질적으로 싸구려이다."


예전보다는 위와 같은 주장이 덜 급진적으로 들리며, 심지어 동의가 되기도 한다. 시간 속에서 사는 존재인 우리. '시간에 기대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하늘 빨간지구 - 기후변화와 인류세, 지구시스템에 관한 통합적 논의
조천호 지음 / 동아시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 매체에 기고했던 글을 모아 다듬어 출간한 책이라 좀 산만한 느낌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지구과학적, 대기과학적, 기후학적 지식을 얻을 수 있어서 매우 유익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위기는 예전보다 큰 변동을 보이는 기후 등으로 인해 우리가 생활에서 실감하는 바이지만, 과연 우리는 더 잘 살겠다는 욕망을 버리고 산업혁명 이래의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을까. 기후 변화가 야기하는 전세계적 불평등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 기후 변화는 정의(justice)의 문제이기도 하다.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사람과 피해를 보는 사람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앞으로 미증유의 위기를 막기 위해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는 것은 알겠는데, 어떻게 행동해야 할 지에 대해서는 더욱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책 속 몇 구절:

   인류가 지금 생산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인류 전체가 풍족하게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왜 생산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더 사용하고 기후변화를 더 일으켜야 하는가? 이제 우리 사회가 지향해 온 가치를 다시 점검해야만 한다. 발전만을 추구하는 과소비 체계를 바꾸는 선택을 지금 하지 않으면, 앞으로는 선택할 여지도 없이 시련을 겪어야 한다. 지금까지처럼 더 크게 더 빨리 발전하는 것만 생각할 게 아니라,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을 함께 성찰해야 한다. 기후변화는 그 심각성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통해 현재의 생활 방식과 산업 구조를 바꿔내는 사회 변혁으로 해결해야 한다. (222~223 페이지)

   1.5도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2030년까지 2010년 수준에서 45퍼센트 줄여야 하며, 2050년에는 순 제로net zero에 도달해야 한다. 순 제로는 특정한 기간에 이산화탄소의 인위적 배출량이 인위적 흡수량과 균형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2050년까지 석탄 발전을 거의 중단해야 한다. 재생에너지가 1차 에너지 공급의 50~65퍼센트, 전기 사용량의 70~85퍼센트를 공급해야 한다. 그리고 산업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50년에 2010년 수준의 75~90퍼센트 수준으로 낮추어야 한다. 이것은 석기시대가 돌이 모자라서 끝난 것이 아닌 것처럼, 화석연료가 있어도 쓰지 않는 새로운 시대로 가야 함을 의미한다. (128 페이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고 있으며, 10년 전부터 기후변화 대응을 본격적으로 추진했으나 구호만 요란할 뿐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나라다.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 목표는 의도만 표했을 뿐, 실제 해야 하는 일을 뒤로 미루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정부는 우리가 거부감을 느낄 만한 힘든 일을 하지 않았다. (130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부분 구름은 솜털처럼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하지만 예외가 있다. 아주 험악한 날씨와 마주쳤을 때, 볼 수 있는 적란운이다. 우리말 이름은 '쌘비구름'이다. 이 구름은 폭우, 우박, 강풍, 번개, 눈보라 등을 품고 있고 그 에너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 열 개와 맞먹는다...

   영어로 'to be on cloud nine'이라는 말은 '날아갈 듯 지극히 행복한 기분'을 뜻한다. 이 말은 1896년 만들어진 국제구름도감에서 열 가지로 분류된 목록 가운데 아홉 번째가 바로 적란운이었던 데서 나왔다. 적란운은 모든 구름 중에서 가장 높이 치솟는다. 가장 위험한 구름인 클라우드 나인은 세상 꼭대기에 앉아 있는 황홀한 기분을 의미한다. 위험과 황홀은 함께 묶여 있는 것일까? (92 페이지)

   구름방울은  중력 때문에 아래로 떨어지려 하나 공기 저항으로 아주 느리게 낙하한다. 구름방울 지름은 평균 5~15마이크로미터다. 10마이크로미터의 구름방울이 낙하하는 속력은 초속 1센티미터에 불과하므로 상승기류가 있으면 쉽게 날아오르고, 바람에 따라 자유롭게 떠다닐 수 있다. 그러므로 구름은 땅에 내려앉지 않고 사라지는 순간까지 공중에 머무를 수 있다.

   햇빛이 공기 분자에 도달하면 파란빛이 다른 색보다 더 강하게 산란해 하늘이 파랗게 보인다. 한편 햇빛은 원래 흰색인데 공기 분자보다 큰 구름방울은 햇빛의 모든 색깔을 거의 똑같이 산란시켜 구름을 하얗게 보이게 한다... 

   물은 표면적을 작게 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론적으로 작은 크기의 구름방울이 모여 빗방울이 될 수 없다. 공중에 떠 있는 먼지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에 비가 내린다. 즉, 먼지는 구름을 만들 때 응결핵으로 작용한다. 구름방울 크기가 100마이크로미터보다 커지면 빗방울이 되어 떨어진다. (93~94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피니티 - 만화로 배우는 우주와 블랙홀의 비밀 한빛비즈 교양툰 17
로랑 셰페르 지음, 이정은 옮김, 과포화된 과학드립 물리학 연구회 감수 / 한빛비즈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랑 셰페르Laurent Schafer라는 스위스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의 과학 만화이다. 원서는 프랑스어로 출간됐는데 프랑스 아마존 과학 분야 베스트셀러였다고 표지에 나와있다. 150페이지도 안 되는 분량이지만 다루는 내용은 엄청나다. 


책은 크게 2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우주이고 두 번째는 양자이다. 각각 "우주의 무한"과 "양자의 무한"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인피니티"는 우리말로 '무한'이므로 혹시 무한의 수학적 성질을 다루는 것일까 읽기 전에 생각했는데, 여기서는 '엄청나게 큰(또는 작은)'이라는 의미로 보면 되겠다. "우주의 무한"은 '엄청나게 큰' 우주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 "양자의 무한"은 '엄청나게 작은' 원자와 소립자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을 알려준다. 단순한 교과서적 설명을 넘어서서 아직 우리가 잘 알지 못하고 있는 사실들에 대해서도 여러모로 언급하는 수준을 보여준다. 예컨대 자연계의 4가지 힘이라는 강력, 약력, 전자기력, 중력 중 중력만 현재 통합되지 않았다는 사실과 그것이 어려운 이유도 언급된다. 자연계의 이 4가지 힘을 네 명의 총사(musketeer)에 비유하는 것도 재밌다. 여기서도 일종의 프랑스어권 전통을 엿볼 수 있다.


읽으며 내게 인상 깊었던 2가지를 다음에 정리해 놓는다.


1. 색깔은 존재하지 않는다: 색깔은 우리의 뇌가 광자의 신호를 처리해서 만들어내는 것이므로, 자연계의 본질적 특성은 아니다. 눈에 보이는 대로 세상이 존재한다고 보통 우리는 생각하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우리 뇌가 만들어내는 것이다. 사실, 우리는 우리 뇌가 만들어내는 '가상현실'에서 살고 있다.


2. 진공의 역할: 진공은 자연계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역할을 맡고 있다. 진공은 가상 입자들로 꽉 차 있는데(또는 가상 입자들이 순식간에 생겨났다가 없어지기를 반복하는데), 이 가상 입자들은 (놀랍게도) 물질의 질량뿐만 아니라 물질이 붕괴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들(쿼크, 전자) 간의 힘을 매개하는 입자들은 가상 입자인데, 이 매개 입자들의 에너지가 질량으로 환산되어 핵자의 질량을 만들어내고, 또한 가상이므로 힘만 매개할 뿐 물질 밖으로 (파동으로) 새어나가지는 않기 때문이다.


만화라고 얕볼 설명들은 당연히 아니다. 오히려 짧은 분량이 이해를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용어설명도 뒤에 있다. 이 책의 내용으로 맛보기한 다음, 좀 더 자세한 논의는 마지막에 나오는 참고문헌을 찾아 읽는 것도 좋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에는 우리말로 번역된 책 제목도 나온다.


본문에 "근대 물리학"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modern physics(불어에 대응하는 영어 문구)를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modern이라는 말이 맥락에 따라 '근대'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물리학에서는 modern physics를 '현대 물리학'이라고 한다. 20세기 초에 발전된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뭉뚱그려 부르는 말이다. 역자는 modern을 계속 "근대"로 번역했다.


불만족스러운 점이 없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좋은 입문서로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