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지난 주는 사회적으로 <채식주의자>의 한 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스컴에서는 많은 지면을 할애해 이 책의 수상에 대해 다루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이 책에 푹 빠져 지냈다. 내 기억으로 <파이 이야기>나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또한 맨 부커상 수상작이었던 것 같은데, 이 책들을 만족스럽게 읽었던 기억을 더듬어 보면 <채식주의자>에 대한 기대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이 책을 읽고자 하는 동기는 부족했다. 한강의 책 <소년이 온다>와 <채식주의자>, <희랍어 시간>을 e북으로 사 놓은지는 꽤 되었지만, 맛있는 간식을 아껴놓는 심정이랄까? 꼭 읽어봐야 겠다고 생각한 책들을 웬만하면 급하게 바로 펼쳐보지 않는 이상한 습성 때문에 <채식주의자> 또한 e북 창고에 잘 저장되어 있을 따름이었다. 그런데 유일한 절친이라 할 수 있는 그가 '좋다'는 평가를 하였기에 읽던 책을 덮어 두고 <채식주의자>를 펴보게 되었다. 어찌보면 내게는 맨 부커상보다는 친구의 평이 더 신뢰가 가는 지도 모른다. 그처럼 나도 단 하루만에 단숨에 빨려들어 읽은 걸 보면, "나직한 목소리지만 숨 막힐 듯한 흡인력이 돋보이는"이라는 수식어는 이 책을 표현하기에 매우 적절한 말이다. 

 

이 책은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 불꽃'이라는 각각의 단편을 합한 것이다. 이 3편의 단편들은 모두 '채식주의자'인 영혜를 둘러싼 사람들의 이야기다. 각각이 단편이면서 그 자체로 완결성을 지녔음에도 3편이 합쳐져 또 다른 이야기의 배경과 흐름, 총괄적 완결성을 주는 구성은 자못 신선하다.


평범함과 무난함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남들과 '다른' 혹은 '구별되는' 채식주의자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무리와 집단 내 다수와 같지 않다는 이질감은 끝끝내 다수의 불편함이 되어 그를 둘러싼 주변인들까지도 영혜(채식주의자)와 유사하게 낯선 시선을 감내해야 하는 고통(?)을 안긴다. 이런 낯섦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자신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닌 불편함과 고통을 쉽게 극복해 낼 수 있는 주변인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당연하게도 남편을 비롯한 가족들은 모두 그녀가 택한 방식을 바꾸려고 한다. 그래서 고기를 먹으라 하고, 억지로 먹이려 하고, 심지어 뺨을 때리기 까지 한다. 남의 살을 먹는다는 '육식'이 잘 숨겨왔던 불편함, 포장된 진열대 위의 고기가 주지 못하는 폭력성이 비로소 행위적인 강압과 폭력으로 현실화 되는 순간이다.   


불필요한 폭력으로 타인의 죽음을 섭취하며 살아가지 않으려는 채식주의자는 식물이 되고자 했나보다. 형부에 의해 그녀의 몸에 그려진 줄기와 화려한 잎사귀들은 아예 그녀에게 각인이 되어버렸는지도 모르겠다. 몽고반점이라는, 어린 애의 티를 벗은 어른들이면 갖고 있지 않은, 상징은 어찌보면 영혜에게 아직 남아 있는 인간 본연의 순수함이었을 것이다. 모두들 그것을 잃어버렸지만, 누구도 상실감을 느끼지 않은 채 살아가는... 그러나 예술가인 형부는 몽고반점을 통해 그녀의 '무엇'을 발견한다. 그것은 처제라는 여자의 몸에 대한 욕망이기도 하지만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작품(바디페인팅을 통한 비디오 아트)의 완결이자, 그가 읽어낸 '식물의 욕망'이었을테다.


영혜는 자신이 이제 곧 나무가 될 거라며 식음을 전폐한다. 동물로서 살아가는 것을 그만두기 위해서는 그럴 수밖에 없다. 언니를 비롯한 병원 의료진은 그녀를 살리려 하고, 살리기 위해 먹이려 한다. 이번에도 고기를 먹이려는 1부의 장면과 동일한 폭력이 자행된다. 읽을 수록 가슴이 답답해지는 생명의 존중으로 치장된 이들의 생명연장 노력 앞에서, 내가 과연 타인의 삶을 어느 정도까지 관여할 수 있는지를 되묻게 된다. 그러면 그것은 과연 누구의 인생인가?


내게 채식주의자는 단순히 육식을 하지 않는 한 여자의 에피소드로 읽히지 않았다. 내가 읽은 <채식주의자>는 삶의 다른 방식을 인정하지 않는 굳은 관념들과 냉담한 시선, 실제 '그녀'가 느끼는 불편함이 아니라 자신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이겨내지 못하는 이기심, 그리고 관용을 잃은 폭력과 그 폭력에 물들어 있음에도 자각하지 못하는 이들로 구성된 이 사회에 대한 자화상이었다. 순수는 추구될 수 없다. 그것은 내재되어 있을 뿐이니. 그런데 우리는 그 몽고반점을 잃어버린 것조차 알지 못한 채 당연한 육식주의자로 살아간다. 

 

내가 믿는 건 내 가슴뿐이야. 난 내 젖가슴이 좋아. 젖가슴으론 아무것도 죽일 수 없으니까. 손도, 발도, 이빨과 세치 혀도, 시선마저도, 무엇이든 죽이고 해칠 수 있는 무기잖아. 하지만 가슴은 아니야. 이 둥근 가슴이 있는 한 난 괜찮아. - 49쪽

그녀가 살았으면 하고 그는 바랐지만, 동시에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그는 의문했다. 그녀가 자신의 목숨을 내던져버리려 했던 순간은 인생의 코너 같은 거였을 것이다. 아무도 그녀를 도울 수 없었다. 모든 사람이-강제로 고기를 먹이는 부모, 그것을 방관한 남편이나 형제자매까지도-철저한 타인, 혹은 적이었을 것이다. 지금 그녀가 다시 깨어난다 한들 그 상황이 변해 있을 리는 없다. 이번의 시도는 충동적이었지만 그녀는 다시 시도할 수도 있따. 그때에는 좀더 주도면밀하게 모든 것을 진행해, 이렇게 방해받는 일 따위는 없을 수도 있다. 문득 그는 차라리 그녀가 깨어나지 않길 바라고 있다는 것을, 다시 깨어난다는 상황이 오히려 막연하고 지긋지긋해, 눈을 뜬 그녀를 창밖으로 던져버리고 싶어질지도 모른다는 것을 깨달았다. - 90, 91쪽

아이를 통해 연결된, 군더디기없는, 일종의 동업자의 관계가 이즈음 아내와 그의 관계였다. - 110쪽

그는 처음부터 마음에 들지 않았던, 이제 동서라고 부를 필요도 없게 된 그녀의 옛 남편의 얼굴을 떠올렸다. 감각적이고 일상적인 가치 외의 어떤 것도 믿지 않는 듯 건조한 얼굴, 상투적이지 않은 어떤 말도 뱉어본 적 없을 속된 입술이 그녀의 몸을 탐했을 거란 상상만으로도 그는 일종의 수치를 느꼈다. 둔감한 그는 그녀의 몽고반점을 알기나 했을까. 알몸의 두 사람을 상상한 순간, 그것은 모욕이라고, 더럽힘이라고, 폭력이라고 그는 느꼈다. - 117쪽

이제 그녀는 안다. 그때 맏딸로서 실천했던 자신의 성실함은 조숙함이 아니라 비겁함이렀다는 것을. 다만 생존의 한 방식이었을 뿐임을. - 212쪽

그 순간 그녀는 뜻밖의 고통을 느꼈다. 살아야 할 시간이 다시 기한 없이 남아 있었는데, 그것이 조금도 기쁘지 않았던 것이다. 지난 한달 동안 염려했던 큰병의 가능성은 오히려 사소한 번민에 불과했다는 것을 그녀는 깨달았다. - 218쪽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여행 2016-05-25 13: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글보다 서평이 더 좋네요. 지극히 주관적인 판단이지만... 글에 관해 이렇게 깊게 생각해보고 토론해보고 기록까지 한다는 것을 알면 그 작가도 한 없이 행복할 것 같습니다.
읽고 싶은 소설이 많지 않던 요즘에 참 인상적인 책이었습니다. 이 서평으로 다시 한번 의미를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붉은눈 2016-05-26 23:35   좋아요 0 | URL
부족한 글에 과찬을 해주셔서 부끄럽습니다. 그냥 제가 생각한 관점인데 재미있게 읽으셨다니 제가 감사합니다.

희망여행 2016-05-25 13: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서평에 감동 받는 참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cyrus 2016-05-25 15: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한국소설을 잘 안 읽는 편인데, 정말 오랜만에 재미있게 읽은 한국소설이 <채식주의자>였습니다. ^^

붉은눈 2016-05-26 23:38   좋아요 0 | URL
앗, cyrus님이 잘 안 읽으시는 분야도 있군요. ^^
저도 한동안 먹을 수 없었던 좋아하는 음식을 허겁지겁 먹듯 읽은 소설이었습니다.

가람과 뫼 2016-05-26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책을 다 읽을 때까지도 무슨 뜻인지 작가의 의도를 확실히 알 수 없었지만 이 서평을 읽고난 후 이 책의 출판의도를 알 것 같읍니다. 물론 읽는 사람마다 각자 느끼는 바가 다르긴 하겠지만 말이죠. 좋은 서평 감사드립니다.

붉은눈 2016-05-27 01:19   좋아요 0 | URL
작가는 설명하는 사람이 아니라고 하니까, 제가 나름대로 더듬거리며 읽어낸 작품의 뜻은 이 정도 밖에 안됩니다.
또 다른 분들이 새로운 관점이나 더 깊은 뜻을 읽어내셨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그게 무척 궁금하기도 합니다.
부족한 글인데도 좋게 봐주시고 댓글까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