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백한 말 토요일 밤의 세계문학 3
보리스 빅또로비치 싸빈꼬프 지음, 정보라 옮김 / 뿔(웅진)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러시아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하는 책들 중에서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다음으로 보리스 사빈코프의 작품이 제일이라고 생각한다.

‘창백한 말‘의 주요한 축은 ‘테러리스트의 수기‘이다. 주인공인 ‘조지‘는 테러리스트다. 그는 총독을 암살하기 위해 동료들과 테러리스트를 조직하였고 갖은 고생 끝에 마침내 총독을 폭탄으로 암살한다. 그러나 조지는 목적을 달성했음에도, 아니 그 전부터 세상 모든 것에 기뻐하기는 커녕 무관심한 태도를 보인다. 여기서 소설의 진가가 나타난다.
이 책은 단순한 테러의 과정을 설명한 것이 아니라 조지가 테러를 진행하면서 느끼는 고뇌를 적어내고 있다.

(여기서 ‘창백한 말‘은 성경에서 나온 말로, ‘창백한 말‘은 죽음을 뜻한다)

보통 주인공이 어떤 부정한 것에 맞서싸울때 그가 가지는 사상은 적과 다른 사상, 또는 정의다. 가령 적이 ‘제국주의‘라면 이에 맞서 싸우는 주인공은 ‘자유주의‘나 다른 사상을 가지고 있다. 싸우는 목적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창백한 말의 조지는 그런 것이 전혀 없다. 그는 총독을 죽임으로서 사회주의 혁명을 일으키기겠다는 마음도 없고, 그렇다고 그에게 개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도 없다. 그저 ‘노예가 되기 싫어서‘라고만 말한다. 그는 모든 것에 무관심하고 허무감을 느낀다.
하지만 테러에 계속 무관심하냐. 그것도 아니다. 조지는 인생 모토가 ‘투쟁‘이었기에 고뇌를 반복한다. 결국 이 고뇌는 자살할 때까지도 이어진다.

누구는 혁명을 위해서 테러를 감행한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이 더러운 세상을 파괴하기 위해서, 뜨거운 사랑을 위해 테러를 감행한다고 한다. 하지만 조지는 이것들 모두에게 흥미를 느끼지 않는다. 세상 모든 것이 헛수고라는 그의 생각은 이데올로기와 수많은 사상이 넘쳐나던 당시 상황에서 보자면 매우 순수하다 볼 수 있다. 조지는 어느 사상에 물들이지 않은 셈이다.

‘창백한 말‘은 사빈코프의 자전적 소설이기도 하다. 사빈코프 또한 혁명이 발발하던 시기에 테러리스트로서 많은 활약을 했다. 앞의 조지가 총독을 살해했듯이 사빈코프도 황실 사람인 이고르 총독을 암살했다고 한다. 아마 이 소설은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소설일 것이다.
하지만 사빈코프가 나중에 볼셰비키들이 독재하기 시작하자 등을 돌리고 백군에 합류한다. 그러니 이 책은 혁명을 찬미하는 것이 아니라 혁명과 테러가 과연 정당한 일인지 생각해보게 만드는 작품이다.

추가로 이 작품의 외전격인 ‘검은 말‘도 추천한다!

나는 지상의 낙원도 믿지 않고, 하늘의 낙원도 믿지 않는다. 나는 노예가 되고 싶지 않다. 자유로운 노예조차 되고 싶지 않다. 나의 온 생애는 투쟁이다. 나는 투쟁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으로 투쟁하는가? 모른다. 나는 투쟁만을 원할 뿐이다. 순수한 포도주를 마신다.

어렸을 때 나는 태양을 보았다. 그것은 나를 눈멀게 했고, 찬란한 광휘로 태웠다. 어렸을 때 나는 사랑을, 어머니의 손길을 알았다. 나는 무구하게 사람들을 사랑했고, 기쁨에 차서 삶을 사랑했다.
그러나 나는 지금 아무도 사랑하지 않는다. 사랑하기를 원하지도 않고 할 수도 없다. 한순간 세상은 저주스럽고 공허한 것이 되어버렸다. 모두가 거짓이고 모두 헛수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루한 이야기 창비세계문학 53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지음, 석영중 옮김 / 창비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 문학으로 유명하신 석영중 교수님께서 번역한 작품이어서 읽게 되었습니다. '지루한 이야기'는 3등 문관인 저명한 교수가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삶에 대해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되는 자전적 소설 느낌이 듭니다. 제목과 달리 전혀 지루하지 않고 삶에 대하 진지한 고민을 하게 만들기에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과 함께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탐정 코난 77
아오야마 고쇼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다카기 형사의 납치사건은 큰 흥미를 끌지 못했다. 대신 뒤에 나온 알리바이 조작 방법은 신기할정도다.

범죄가 일어난 시각에 자기가 어디서 뭘 했는지 증명해 줄 수 있는 것이 알리바이다.
여기선 용의자들이 각각 김이 피어오르는 커피, 거품이 있는 맥주, 연기가 나는 담배를 제시한다.

그 중에서 맥주가 인위적으로 조작한 증거인데, 맥주는 오랜시간이 지나면 거품이 빠지지만 그 맥주에 소금과 같은 가라앉는 가루를 뿌리면 막 따른 백주처럼 거품이 난다고 한다.
이유는 맥주에 가루가 가라앉을 때 공기와 경계면이 대량으로 생겨나게 되고, 거기에 이산화탄소가 모여들기 쉬워져서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다.
가끔 거품이 일어나는 쾌감을 느끼고 싶으면 한 번 쯤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ㅋㅋ

다음권도 역시 떡밥에 대한 것이 있겠지 하는 마음으로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탐정 코난 76
아오야마 고쇼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 76권의 사건들은 내게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대체적으로 사건들 모두 현실에선 불가능해보이는 범죄가 대부분이었다.
가령 오른손잡이라던가 왼손잡이라는 단서가 자주 나온다. 그리고 범인의 동기도 다소 미약하다.

단, 그나마 다행인 것은 떡밥이 넘어쳐나고 어느정도 진도가 나가는 기미가 보인 것이다.
코난 주위로 의문의 인물들이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으니 말이다. 77권을 읽어야 흐름을 알 수 있을 것 같으니 다음권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탐정 코난 75
아오야마 고쇼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 편은 착시효과에 대해 배울 수 있었던 에피소드가 제일 인상깊다.

첫번째로 제스트로 착시 현상.
제스트로 착시 현상은 사람이 흔히 비교할 때 쓰는 방법에서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다.
사람들은 보통 사물의 크기를 비교할 때 무의식적으로 가장 가까이 인접해 있는 부분의 길이와 비교해본다.
특히 이번 에피소드에 나온 바움쿠헨이라는 음식은 부채꼴 모양이기 때문에 같은 크기로 잘랐음에도 하나의 바움쿠헨이 더 길어보였다고 한다.

두번째로 게슈탈트 붕괴 현상.
게슈탈트 붕괴 현상은 너무 자주 한 그림이나 글을 보다보면 뇌가 그것에 과하게 노출된 나머지 지쳐 순간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뭐, 몇몇은 현실에 적용하기에 성공률이 적어 보이는 트릭이었지만 이러한 상식은 재미있게 알아가고 있으니 이번 권도 읽기 좋았다.
다음권네도 이런 상식이 많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