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그림이 들려주는 사람 이야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우리 그림이 들려주는 사람 이야기
박영대 지음 / 현암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 그림이 들려주는 사람 이야기 / 현암사 /속닥속닥 우리 그림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우리그림 40편이 들려주는 역사속으로 함께 가 봅니다.
김홍도의 춤추는 아이, 씨름,서당, 길쌈, 신윤복의 미인도, 운두서의 자화상, 수월관음보상도등 직접 마주한다면 친근하고 정감어린 장면이요 그림들인데 우리 아이들에겐 너무도 멀리있었던 것도 사실인것이
사실입니다.
전통이라는 이름의 그 어떤 것들보다 더욱 멀리있었던것이라 생각되는 그 그림들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첫번째 그림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화가이자 아이들에게 가장 친근한 그림들을 그려온 풍속화가 김홍도의 김쌈이요, 두번째 그림은 춤추는 아이였습니다. 두번째 그림속는 좌고를 치는 사람을 필두로 장구와 피리 대금 해금연주자까지 등장을 하는데 그러한 등장인물을 통해 전통 악기를 살펴보고 춤사위에 깃들여있는 흥을 느끼는가 하면 임꺽정과 고을 원님간에 얽힌 역사속 실화까지 들을 수가 있었습니다.
이책을 통해 아이들은 그러한 이야기를 40여편의 우리 그림속에서 만나게 되는데 책이 아닌 그림이 말을하고 있는 특별한 경험이 되어 주었지요. 서양예술을 대표하는 모나리자와 비교가 되곤하는 신윤복의 미인도를 살펴보자면 당시 사람들이 검고 숱이 많은 머리를 아름답게 여겼다는 시대상을 엿보게 됩니다.
또한 초승달처럼 굽은 눈썹, 갸름하고 길쭉한 두 눈, 반듯하게 내려 끝이 아담한 코에 작고 오목한 입슬까지 당시의 미인상을 이해하구요.
호젓한 물가에 한 나이 많은 선비가 앉아있는 조영석의 고사관수도, 자신의 모습을 직접 그린 그림을 대표하는 윤두서의 자화상의 세세한 설명을 들어봤는가하면, 서기 65년 신라시대에 있었던 큰 일이 ( 계림에서 발견된 알지 탄생설화) 고려때 김부식이 지은 역사책인 삼국사기에 기록되며, 17세기의 조선시대에 조속애 의해 완성된 금궤도를 만났습니다.
하나의 그림속에서 신라와 고려 조선 모두를 보게된 것입니다.
그렇게 아이들은 단순하게만 생각했던 그림에서 우리의 역사를 보았습니다.
그림이 그냥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시대상을 반영한 또다른 기억으로 우림 문화를 고스란히 안고있는 생생한 현장으로 인지하는 계기였습니다. 그건 앞으로 다른 그림을 만날때에도 무엇을 끄집어내여야 하고 보아야하는지등의 보는 방법에 대한 배움이었습니다.
그러한 연습들은 차후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찾을시 우리 문화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하는 계기가 되겠지요. 그렇게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의 폭을 넓혀가는 의미깊은 우리 그림책이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