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영화 한 편을 보고 책 한 권을 읽었습니다. 뭔가 그동안의 고민들이 조금 해소가 되는 듯한 느낌입니다. <나답게 살 용기>가 제게 '나답게 살 용기' 를 주었습니다. 아들러 심리학을 알리는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의 저서입니다. 


 요즘 책이 손에 잡히지 않고, 책이 별로 읽고 싶지도 않았습니다. 이 책도 어지러지는 문자들을 배열해가며 간신히 읽었습니다. 다시 읽어보고 싶습니다. 좀 더 소화시키고 싶습니다. 


 저는 책이 눈에 안 들어올 때는 영화를 봅니다. 덕분에 최근에 영화를 많이 봤습니다. 매트릭스 3편을 이틀만에 다 봤습니다. 3편 <매트릭스: 레볼루션>은 1,2 편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였습니다. 영화를 보다보니 고등학교 때 영화관에서 이 영화를 봤던 기억이 조금씩 떠올랐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대사나 장면들, 스토리 전개나 세계관, 줄거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봤을 것입니다. '아는만큼 보인다.' 때문에 저는 점점 인식의 폭이 넓고 깊어지는 것이 즐겁습니다. 이는 독서가 주는 풍요로움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무용하고 쓸데없는 생각들이지만, 제겐 아무생각없이 보는 것보단 재미있습니다. 이또한 사람마다 다를테지요. 즐거움은 개인적인 것이니까요. 어쩌면, 즐거움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것이 개인적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써야할 책리뷰, 영화 리뷰가 많지만 요즘 왠지 리뷰쓰는 것도 시들해졌습니다. 내일부터는 한 편이라도 써봐야겠습니다. 또 한 편 쓰다보면, 어느새 두 편, 세 편 신나게 쓰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솔불곰 2016-10-18 00: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열정이 식지않았으면 좋겠네요 ㅠ

고양이라디오 2016-10-18 09:02   좋아요 0 | URL
솔불곰님 감사합니다^^ 솔불곰님도 파이팅입니다^^
 

 

 

 

 

 

 

 

 

 

 

 

 

 

 이번 주말은 영화만 본 것 같네요. 팟캐스트 <지대넓얕> 영화편을 듣다 보니깐 방송에서 다룬 영화가 보고 싶어져서 방송을 듣다 말고 영화를 보았습니다.영화보고 방송 들으니깐 더 좋네요.

 

 독실이가 최근 개봉작 팀 버튼 감독, 에바 그린이 나오는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을 소개해줘서 보았습니다.

 깡선생은 <밀정>을 다뤘는데, 이미 본 영화였습니다.

 김도인이 너무 좋은 일본영화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을 소개해줘서 보았습니다.

 그리고 채사장이 <매트릭스>와 <애니매트릭스>를 소개해줬습니다. 매트릭스의 세계관과 1편의 내용을 잘 설명해주었습니다.

 

 <그래비티>는 지대넓얕이 아닌 Btv에서 소개해줘서 봤습니다. 이렇게 좋은 영화를 영화관에서 안 본게 아쉽습니다.

 

 모두 추천드리고 싶은 영화입니다. 아마 다들 안 보셨어도 제목은 들어본 영화도 있을 것입니다. 좋은 영화들입니다. 나중에 따로 따로 영화리뷰를 올리겠습니다. <매트릭스> 다시 봐도 너무 재미있습니다. 2편과 3편도 안볼수가 없네요.

 

 팟캐스트 <지대넓얕>을 듣다가 영화가 보고 싶어지면 영화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영화를 다 본 후 팟캐스트를 마저 들으면 더욱 재미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매트릭스>와 <그래비티>,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은 너무 좋은 영화들이라 꼭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삶의 의미를 찾아주고 권태와 허무감을 극복해주는 영화들입니다. 모두 10점 만점의 영화들입니다. <애니 매트릭스>는 그저 그랬습니다. 9개의 에피소드로 되어 있는데, 2편, 3편은 매트릭스 세계관에 관한 내용이니 <매트릭스>를 보시기 전에 챙겨보시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아니면 채사장님의 설명을 들으셔도 충분합니다.

 

 <매트릭스>는 영화사에 고전으로 남을 작품입니다. 두고 두고 보고 싶은 작품입니다. 이번 달은 정말 영화를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도인 독실이는 어떻게 기독교인일 수 있을까?

 

 

 

 

 

 

 

 

 

 

 

 

 

 3대 SF 거장 아이작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에서 좋은 구절이 있었는데 북다이제스터님의 리뷰와 연관되는 것 같아서 먼 댓글로 글을 써봅니다.

 

 <아이, 로봇>은 단편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큐티_생각하는 로봇' 이란 단편이 있는데, 아주 재미있습니다. 인간들이 큐티라는 로봇을 만드는데, 큐티는 자신이 인간들보다 더 우월하기 때문에 인간들이 자신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믿지 않습니다. 오히려 에너지 전송장치라 불리는 기계장치가 자신을 만들었다고 '논리적으로' 생각합니다.

 

 도노반의 눈에 눈물이 글썽거렸다.

 "그렇다면, 제기랄, 어떤 조치든 취해야 하잖아요. 큐티는 우리말도, 책도, 자기 눈도 안 믿잖아요."

 파웰이 씁쓸하게 대답했다.

 "그래. 큐티는 논리를 추구하는 로봇이야, 제기랄. 논리적인 것만 믿지. 그러면 정말 큰 문제가 생기는데......"

 파웰이 말끝을 흐리자 도노반이 재촉했다.

 "자세히 좀 얘기해 봐요."

 "철저하게 논리적인 추론을 제시하는 사람은 무엇이든 증명할 수 있어. 적당한 기준을 선택하기만 하면. 우리에겐 우리의 기준이 있고, 큐티에겐 큐티의 기준이 있는 거지."

 "그렇다면 어서 그 기준을 흔들어요. 내일은 폭풍이 불 거라고요."

 파웰은 지친 듯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내일이면 모든 게 끝나겠군. 기준은 가정에 근거하고, 신념으로 유지되는 거야. 이 기준을 흔들 수 있는 건 우주 전체 어디에도 없어. 나는 잠이나 잘 거야." -p109 

 

 "기준은 가정에 근거하고, 신념으로 유지되는 거야. 이 기준을 흔들 수 있는 건 우주 전체 어디에도 없어." 신앙도 이런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독실이(혹은 신앙인)는 무신론자와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이 있다는 가정과 신이 있다는 신념으로 신의 존재한다는 기준이 유지됩니다. 이 기준은 무엇으로도 흔들 수 없습니다. 구체적인 근거가 아닌 가정과 신념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뉴턴, 제인 구달 등의 뛰어난 과학자들도 신을 믿는다는 사실이 조금은 이해가 됩니다. 뉴턴은 신이 과학적이고 정합적인 법칙들로 우주를 창조했다고 믿었습니다. 때문에 독실한 신앙인이자 과학자일 수 있었습니다. 신의 존재를 믿는 사람뿐만 아니라, 가이아라던가, 환생, 홀로그램우주론, 관념우주론 등을 믿는 사람들 또한 있습니다. 모두가 가정과 신념으로 유지되는 기준들이기 때문에 반박할 수 없습니다. 믿음은 상당히 개인적인 그리고 어쩌면 보편적인 영역입니다. 저또한 나름의 기준이 있습니다. 그 기준들 또한 가정에 근거하고 신념으로 유지됩니다.  

 

 종교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상과 이론(잘못된 이론)들 또한 이렇게 가정과 신념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쉽사리 흔들수도 바꿀 수도 없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 기준과 가정과 근거를 밝힐 수는 있습니다. 선택은 각자의 몫이지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랜덤하우스중앙에서 나온 <30분에 읽는 ....> 시리즈를 읽고 있습니다. 노엄 촘스키를 읽으려다 옆에 있는 도스토예프스키도 함께 빌려 읽었습니다. 150p 남짓의 얇은 책들로 인물들의 삶과 작품, 혹은 학문적 성취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비평적 성격을 띤 해설서입니다. 가볍게 읽기에 좋은 책들이라 앞으로도 이 시리즈를 즐겨 읽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을 보니 읽기를 중단했던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을 다시 읽고 싶어집니다. <지하생활자의 수기>,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죄와 벌>, <백치>를 읽었습니다. 다음 작품으로 무엇을 읽을지 고민입니다. 이 책에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대표작인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죄와 벌>, <백치> 가 중점적으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 평전을 읽으려다 전작을 읽은 후에 읽고 싶어서 말았는데, 이 책은 그의 대표작들을 읽은 후에 읽기 적절했습니다. 30분에 읽는 것은 오바고, 저의 경우에는 1시간 반에서 2시간은 걸리는 것 같습니다.

 

 

 

 

 

 

 

 

 

 

 

 

 

 


 

 역시 도스토예프스키의 전작은 열린책들로 읽어야할까요? 표지가 너무 아름답네요. <가난한 사람들>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처녀작으로 서간체 소설이라고 합니다. 그의 초기작을 먼저 읽어봐야할까요?

 

 

 

 

 

 

 

 

 

 

 

 

 

 

 

 

 <노름꾼>은 도스토예프스키가 도박으로 인한 재정적 위기를 탈출하고자 한 달 만에 완성한 장편입니다. 도박과 로맨스, 도스토예프스키의 자전적 이야기가 들어있을 것 같습니다. 

 

 

 

 

 

 

 

 

 

 

 

 

 

 

 

 

 <죽음의 집의 기록>은 도스토예프스키가 4년간의 감옥생활을 할 때의 경험을 토대로 쓴 작품입니다. 감옥 속에 다양한 인간군상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을듯 합니다.

 

 아래는 프로이트가 쓴 글입니다.

 

  시대를 초월하여 문학작품 중 세 가지 걸작을 꼽으라면,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셰익스피어의 <햄릿>, 그리고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인데, 이것들은 모두 똑같은 주제를 다룰 수 밖에 없다. 그것은 바로 친부살해이다. -S.프로이트, p121

 

 

 

 

 

 

 

 

 

 

 

 

 

 

 

 

 

 

 

 

 

 

 

 

 

 

 

 

 

 

 

 <오이디푸스 왕>과 <햄릿> 두 걸작도 읽어보고 싶습니다. 저는 셰익스피어와 인연이 없는 걸까요? 아직도 그의 작품은 하나도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분신은 도스토예프스키를 매료시킨 주제였습니다. 중편 <분신> 입니다.

 

 아래는 메니포스 풍자에 관한 글입니다.

 

  메니포스 풍자: 견유학파 철학자 메니포스가 발전시킨 그리스의 간접풍자의 형태. 유럽 문학에서 메니포스 풍자의 예는 프랑스 풍자작가 라블레의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과 볼테르의 <캉디드> 에 잘 살아있다.

 메니포스 풍자는 대화와 논쟁이 길어졌다는 것이 특징이며, 주로 주연이나 파티가 열리는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다양한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이고, 그들은 자신의 논법으로 결과적으로 자신의 부조리를 드러내게 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장편소설에서 이와 유사한 장면은 매우 중요하다! -p132 

 

 

 

 

 

 

 

 

 

 

 

 

 

 

 

 

 풍자소설이라니 생각만해도 즐겁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장편 소설에서도 메니포스 풍자, 카니발레스크(풍자와 패러디, 부조리를 묘사하는 문학적 전통), 스캔들 장면이 많이 나옵니다. 이런 장면들은 가장 강렬하고 또 중요합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전작을 모두 읽고 싶은 위대한 소설가입니다. 그의 작품들은 너무 강렬해서 한꺼번에 읽을 수가 없습니다. 조심조심 한 권씩 손에 들어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b Dylan-Blowing in the wind 

How many roads must a man walk down 사람은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봐야 
Before they call him a man 진정한 인생을 깨닫게 될까 
How many seas must a white dove sail 흰 비둘기는 얼마나 많이 바다 위를 날아봐야 
Before she sleeps in the sand 백사장에 편히 쉴 수 있을까 
How many times must the cannonballs fly 전쟁의 포화가 얼마나 많이 휩쓸고 나서야 
Before they are forever banned 영원한 평화가 찾아오게 될까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g in the wind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g in the wind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How many years must a mountain exist 산은 얼마나 많은 세월이 지나야 
Before it is washed to the sea 씻겨서 바다로 갈까 
How many years can some people exist 사람은 얼마나 긴 세월이 흘러야 
Before they're allowed to be free 진정한 자유를 얻을까 
How many times can a man turn his head 언제까지 고개를 돌리고 
And pretend that he just don't see 모르는척할 수 있을까 ?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g in the wind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g in the wind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How many times must a man look up 얼마나 많이 올려다 보아야 
Before he can see the sky 진짜 하늘을 볼 수 있을까 
How many ears must one man have 얼마나 많은 귀를 가져야 
Before he can hear people cry 타인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How many deaths will it take till he knows 얼마나 많은 사람이 희생되어야 
That too many people have died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음을 알게 될까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g in the wind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g in the wind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g in the wind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g in the wind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처음으로 동영상올려봅니다. 어렵지 않네요. 가사 정말 좋네요.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솔불곰 2016-10-14 18: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노벨문학상받는거에 깜짝놀랐습니다

고양이라디오 2016-10-14 18:26   좋아요 1 | URL
저도 뜻밖이었습니다. 가수분도 받을 수 있다니, 놀랍네요ㅎ

솔불곰 2016-10-14 18: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진짜 대단해요!

yureka01 2016-10-14 20: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 이 곡 나올줄 알았습니다.가사가 좋쵸..

오거서 2016-10-14 20: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영한대역 가사가 필요하였는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