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 

새로운 계절, 새로운 달의 시작이다.

새로운 것은 마음을 들뜨게 한다, 자주, 그러나 가끔 아니기도 하다.

내가 인생에서 새로운 어떤 것에 마음이 들뜬 것은 몇 번 일까?

최초의 입학식 후 교실에서, 전학간 날, 새로 시작하게 될 생활 첫날.도시로 이사 간 첫날-생각보다 이사간 집이 후져서 실망했던 그날 대문을 들어설 때-, 중학교 첫 등교, 고등학교 첫 등교 그리고 대학 입학식...그날은 설렜다기보다 졸렸다..전날 밤을 거의 새다시피 해서.., 유학간 나라에서의 첫날....그리고,,,또또..좋아하던 법대 선배와 단둘이 마주앉아 소개팅하던 날...물론 이후 다시는 안 만났지만..., 여튼,..직장 첫 출근날...그리고...어떤 아카데미 첫강의 참석 날...물론 그 아카데미가 나에게 무엇이었나,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다. 그 아카데미는 나에게 흔적을 남기지도 못했다.


이제 나이를 먹었고, 설레는 일은, 거의 없다.

재미있는 드라마를 기다리는 정도의 너무나 평범한 ...순간 빼곤, 이제 없다.

물론 늘 그랬듯 재미있을 것 같은 소설을 만나는 일은 설렌다. 이것만은 변함없다. 다행이다.


루시아 벌린은 모르는 사람이다.

이름은 뭔가 루시퍼...때문인지 알고 있을 법한 느낌인데, 역시나 나는 이 사람을 처음 만났다.

더운 날이었고, 짜증이 잦은 날이었고, 비까지 퍼붓기를 곧잘 하던 날이었다..

좋지 않은 때였다. 감정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그래서 처음 몇 편의 단편들은,화가 난 상태에서 읽었다. 그리고 화가 났다. 아무리 그래도 소설이라면 일정한 분량은 되어야 하는데..응? 이거 꽁트인가..하는 글이 몇 편.그리고 이건 자전이야..소설이야..싶은 글들...


그래서 덮어두었고,

중간이 지나서야 소설 맞네 하는...작품을 만났다고 여기기 시작할 수 있었다.

이제 다 읽고 난 지금,...루시아 벌린은 자신의 경험을 소재로 썼구나..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아니, 주인공들은 모두 루시아 벌린의 어떤 부분이었구나..하는.

결국 다 읽고 나니, 루시아 벌린이라는 한 사람이 완성되었구나 하는 느낌ㅇ다.

엄마 아빠가 있었고, 칠레의 광산촌에서 살았으며 엄마는 자신의 이상과 현실이 마음에 안들어 늘 힘겨워했고, 루시아를 사랑했는지조차 잘 모르겠고, 외삼촌과 외할머니 외할아버지와 함께 살았던 어린시절, 동생이 있었고, 외삼촌은 루시아를 아껴주었지만 외할머니는 동생만 사랑했던 듯싶고, 루시아는 일찍 결혼했으나 이혼했고, 아이들을 넷 낳았으며 ..그녀는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며 스스로와 아이들을 부양했고, 마음이 따뜻했고, 죽음을 갈구하였으나 인생을 사랑했다...


그래서 짧거나 긴 소설 끝에 서면 나의 머릿속 어딘가에 루시아 벌린이란 사람의 형체가 완성되는 것이었다.


한 사람의 일생이 소설이 되는 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폐한 집 동서문화사 월드북 231
찰스 디킨스 지음, 정태륭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폐한 집은...읽는 중...아주 오랫동안 읽는 중..ㅎ..그리고..찰스 디킨즈의 또다른 소설 에드윈 드루드의 비밀.도 함께 생각하게 된다. 참..묘한 느낌을 주는 책이었다. 미완성이라 결말조차 알 수가 없으니...더욱 더. 나는 가끔 에드윈 드루드의 비밀을 꺼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김소월 지음, 나태주 시평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가 세상을 떠날 때, 그것은 경험과 상상으로 가득채워졌던 도서관 하나가 사라지는 셈이다...˝

아 나는,
누군가의 죽음, 한사람의 인간에 대한 죽음을 이토록 풍부하게 표현한 문장을, 지금까지 만나지 못했다고 감탄한 바 있다.
에드워드 윌슨 <지구의 정복자>.

인간이 기필코 다다를 수 없는 영역이 있다면, ‘나‘밖의 타인의 마음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디지털의 방식으로는 채울 수 없는 0과1사이.
똑 떨어지지 않는 그 어디 여분인지 여백인지...에 수없이 많은 표현되지 못한 표현할 수 없는.물리적 시각 일대일에 대응할 수조차 없는 것들이 존재한다고 믿는다.그게 인간이니까. 말과 글은 인간 뒤에 온 거니까

그래서 자주 운다.
그의 경험과 상상의 도서관에 닿지 못한 나의 생은, 쓰라리다...그래서 나는, 프라하거리를 울면서 걷는 그 여인처럼 운다. 후지산을 자전거로 울면서 달리던 그 남자처럼 운다.

당신이 떠났기에, 운다.말하여지지 않았던 당신의 더많은 본질 때문에 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레사 2022-07-08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ㅜㅜ
 
사랑의 역사
니콜 크라우스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 읽고 나서 너무 울어 눈이 퉁퉁 부었다. 어른이 되고 나서 드문 일 중의 하나가 책 읽고 눈퉁퉁붓기가 아닐지. 당시 제목이 너무 ˝역사스러워˝ 제대로 평가 못받은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교유하던 국문과 교수님께 선물했던 기억이 난다. 그 분은 다 읽었을까?이후 만나질 못해 듣질 못했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테레사 > 과학은 음악만큼 아름답다!

평행우주,12몽키즈,방파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