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61 | 662 | 663 | 66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전출처 : 숨은아이 > 화냥년의 어원은 환향녀가 아니라 화랑

이른바 정숙하지 못한 여자를 가리키는 “화냥년”이란 말은
환향녀(還鄕女)에서 왔다고들 한다.
전에 내가 듣기로도 고려 시대 원나라에 공녀로 끌려갔다가 돌아온 여자를
환향녀라 했던 데서 나온 말이라고 했고,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서는 고려 시대가 아니라
조선 시대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끌려갔던 여자를 가리키던 말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때인가 이런 말을 들었을 때,
만약 여성이 약하고 순결해야 하는 존재라면
남자들은 그 여성들을 지킬 의무가 있지 않은가,
지켜주지도 못했으면서 피해자인 여성에게 “정숙하지 못하다”고 손가락질하는가,
자신들이 지켜주지 못한 걸 부끄러워해야 하지 않나 분하게 여겼다.
그 뒤 생각이 바뀌어,
여성은 약하고 순결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도,
그래서 남성이 여성을 지킬 의무가 없더라도,
지배층의 권력다툼 때문에 전쟁이 나면
무엇보다 여성들에게 가해지는 성폭력이 극에 달하므로,
성폭력 피해를 예방하거나 피해자를 보호하지는 못할망정
집단적으로 배척하는 것은 야비하기 그지없는 일이라고 믿게 되었다.

그런데 국립국어원에서 21세기 세종계획의 일환으로 연구, 배포한
“2003 한민족 언어 정보화” CD에 국어 어휘의 역사 프로그램이 있어
이 말을 검색해 보았더니, 화냥년은 환향녀가 아니라 “화낭”에서 나온 말이란다.

품사  명사
현대 뜻풀이  화냥년
관련 한자어  화낭(花娘)

종합 설명
중국에서는 송대 <남촌철경록(南村綴耕錄)> 권14에 “창부왈화낭(娼婦曰花娘).”이라 하여 기녀를 ‘화낭(花娘)’이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예문은 <초각박안경기(初刻拍案驚奇)>와 <금병매(金甁梅)>에도 나오는데 예문은 다음과 같다.
“正寅又想道: ‘這花娘吃不得這一棍子.’” <初刻 31>
“這花娘遂羞訕滿面而回.” <金甁 12>

‘화낭(花娘)’이 창녀의 뜻이었음을 지봉(芝峰)은 이미 알고 있었고, 조수삼(趙秀三)의 <송남잡식(松南雜識)>에도 그러한 내용이 실려 있다. 우리나라에서 ‘화냥’이 처음 나타난 것은 조선시대 17세기 역학서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1677)에서였다. 여기서는 중국어 ‘양한養漢’을 ‘화냥년’으로 풀었다. 이는 ‘화낭(花娘)’을 중국어 발음을 차용하여 ‘화냥(hu󰐀ni󰐁ng)’으로 읽은 것이다. 참고로 ‘양한’이란 여자가 남자와 눈이 맞아 혼외정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18세기 역학서에는 ‘관가인(慣嫁人)’ ‘양한적(養漢的)’ 등을 ‘화냥이’로 옮겼으며 19세기에는 우리말 한자어로 읽은 듯 ‘화낭’ 또는 ‘화랑’ 등으로 읽고 있다. 특히 중국 통속소설 <홍루몽> 번역본에는 ‘우령(優伶)’을 ‘화랑’으로 옮겼다.

민간 어원은 때로 그럴듯하지만, 정확하지는 않다.
그러나 민간 어원을 보면,
그 시대에 그 말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상식이나 가치관을 짐작할 수 있다.
화냥년이 환향녀에서 왔다는 풀이가 해석이 널리 받아들여졌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상식에 비추어 가히 그럼 직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제아 창비아동문고 175
박기범 지음, 박경진 그림 / 창비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3때 담임선생님 면담시간이었다.

나는 선생님 면담을 두근반 세근 반 가슴을 졸이며 교무실로 갔다.

죄를 지은 것도 아니지만 선생님을 만나러 가면 웬지 가슴이 조마조마했다.

열심히 하라고 혼내시겠지

그런데 교무실에 들어가 자리에 앉자마자 선생님 하시는 말씀

"음 그래 너한테는 특별히 할말이 없네 알아서 잘하고. 아주 믿음직스러워서 앞으로도 그렇게 잘 해야해."

언듯 칭찬같아 보이겠지만 나는 아리송했다.

나는 잘한 게 없었다.

시험공부를 안해서 점수도 조금 떨어졌는데 일등한 아이는 한개 더 틀렸다고 울고불고 했는데 내가 좀 더 틀린 건 나뿐 아니라 선생님 눈에도 아무일이 아닌 듯 싶었다.

알아서 잘 한다고?

사춘기의 반항심이었는지 모르지만 나는 그렇게 나를 보는게 속상했다.

"너 왜 그러니? 더 잘할 수 있잖아? 잘할 수 있으면서 왜 그래? 네 능력을 보여줘."

난 이런 말을  원했다.

나는 공부를 뛰어나게 잘하지도 안았는데 더 열심히 하라는 말도 안한다는 건 네 능력이 거기니 거기를 지켜라로 들렸다.

그래서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그래도 대강 점수는 떨어지지 않아서 난 중3내내 기고만장하며 지냈다.

선생님의 역활을 그런 거였다.

무심코 한 마디가 상처가 되고 독이 될 수 있다.

문제아라니

세상에 누가 누굴 평가하는가?

그들의 잣대는 대체 어디까지란 말인가?

박기범의 문제아에는 속깊은 아이들의 마음씀씀이가 나온다.

 그 마음씀씀이가 따뜻하고 가슴아파서 읽는내내 화가 났다가 중간중간 책을 덮고 생각했다.

이런 아이들은 얼마나 많을까?

이런 어른들은 얼마나 많을까?

정말 상황이 그럴 수 밖에 없고 어른들이 골라 놓은 빈부를 아이들은 관심도 없다

다만 잣대를 가져다 대는 또 다른 어른 선생님이 있을 뿐.

예전에 평창동에서 글짓기 강사를 한 적이 있다.

부유계층이 사는 그곳의 아이들은 박기범의 문제아라는 책을 마치 아프리카 난민 보듯 할 것이다.

당시 쌀이 없어 밥을 못 먹는다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쓴 난이 있었는데 밥이 없으면 빵사먹으면 되지 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진정한 선생의 위치

진정한어른의 위치를 느끼게 해주는 책이고

좀더 많은 아이들이 읽어서 나와 다른 친구를 이해하고 보듬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기 팔지 마세요! 청년사 고학년 문고 1
위기철 지음, 이희재 그림 / 청년사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작고 사소한 사건이 큰 사건으로 된다는 이야기는 전래동화나 그림책에서 많이 보았다.

하지만 책 이야기를 떠나 우리 주위에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그런 일들은 얼마나 비일비재할까?

이 책의 사건은 장난감 총의 비비탄에서 시작한다.

사실 요즘 장난감총은 정말 위험하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문구점에는 버젓이 팔고 있다는 것 자체가 정말 위험한 일이다.

당찬 여자 아이 보미와 내실있는 민경이의 주도로 장난감 총을 가지고 놀지 못하게 하면서 점차 장난감으 ㄹ회수했고 문구점에서 팔지 못하는 피켓 시위를 벌였으며 홈페이지를 만들어 평화를 사랑하는 모임으로 발전 시켜 나갔다

이 일은 미국의 제니라는 못지않게 당찬아이에게 전파되고 주인공 보미는 미국 뉴스에도 등장한다.

과연 가능할까?

그러나 책을 읽으면 가능하고 당연한 일이 된다.

장난감총에 대한 불만이 전세계 무기 판매를 금지하는 모임을 만들어 냈다고?

책 속에서는 논리적인 대화들이 오고간다.

장난감 총과 야구공의 차이점

왜 장난감 총을 가지고 놀면 안되는가?

사실 아주 어려운 문제다 어른인 나도 말문이 탁 막혀 포기할 수도 있는 문제다.

그러나 주인공 보미는 열심히 궁리했고 친구와 함께 머리를 맞대었으며 점차 많은 아이들이 힘을 모았다.

일이 이루어 졌지만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이들의 부단한 노력과 열정이 만들어 낸 승리였다.

그 결과들이 여실히 보여주는 이 책은

아이들의 힘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무엇보다 문제 해결이 아이들 스스로 한다는 것 그리고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힘을 합쳐 나간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한 명의 영웅이 아니고,

어른들의 해결이 아닌 진정한 어린이의 힘을 보여 준 책.

 

실수를 했지만 인정할 줄 알고

겁없이 나섰지만 두려워 할줄도 알고

책 속 주인공들은 어쩌면 그리 하나같이 마음에 드는 사람들일까?

전쟁을 반대하는 어린이들의 외침 무기팔지 마세요

이 책이 더 많이 팔리고 외국에도 소개되어 보미의 불만이 세상 사람들을 동요시킨 것처럼

이 책도 세상을 동요시켰으면 좋겠다

눈을 굴리면 커지듯 옳은 일 바른 일이 눈사람 만들듯 커져서 세상에 평화가 가득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물만두 > 헤르메스의 기둥 2 중에서...II

Rembrandt  - The Descent from the Cross



Max Ernst  - Elephant Celebes

파라셀수스 [Paracelsus, Philippus Aureolus, 1493.9.24~1541.11.10]

스위스의 의학자·화학자.
본명 Philippus Aureolus Theophrast Bombast Von
국적 스위스
활동분야 의학, 과학
출생지 스위스 아인지델른

본명은 Philippus Aureolus Theophrast Bombast Von. 아인지델른 출생. 소년시절을 광산학교에서 지낸 관계로 금속, 광부 및 그 질병에 관심이 많았다.
아버지에게서 의학과 화학을 배우고, 1510년 바젤대학교에 들어갔다. 그 후 뷔르츠부르크에서 연금술을 배웠다. 1517∼1526년 빈·쾰른·파리·몽펠리에 등지와 이탈리아 각지를 돌아다니고, 페라라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였다. 동 대학을 졸업한 후 스페인·영국·네덜란드에서 육군 군의관 생활을 하였다.
1526년 바젤에서 시의(市醫) 겸 대학교수가 되었으나 의학 혁신을 위해 성급한 개혁을 시도하다가 사람들의 반감을 사서 1528년에 추방당하여 잘츠부르크에서 병사하였다.
각 분야에서 많은 논설을 발표하였는데, 특히 학문세계의 중세적 풍습의 타파에 주력하였다. 연금술 연구에서 화학을 익혔고, 의학 속에 화학적 개념을 도입하는 데 힘써서 ‘의화학(醫化學)’의 원조(元祖)가 되었다.
물질계의 근본은 유황·수은·소금의 3원소라고 하였고, 점성술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원리에 입각한 의료법을 제창하였으며, 산화철·수은·안티몬·납·구리·비소 등의 금속화합물을 처음으로 의약품에 채용하였다.



Botticelli - The Mystical Nativity

Franois I

Parmigianino - Madone A La Ros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Kitty > 구스타프 카유보트 '유럽의 다리'



이 그림을 처음 본 것은 친구의 집에서였다.

이 그림의 포스터를 액자에 넣어 거실 벽난로 위의 공간에 걸어놓고 있었는데 보는 순간 말로 형언하기 힘든 강렬한 느낌을 받았다. 말끔하게 차려입은 신사가 철조 다리 건너편의 무엇인가를 하염없이 바라보는 모습. 물론 이 남자의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 단지 관람객은 그 남자의 시선을 상상할 뿐.

이 작품은 내가 사랑하는 포트워스의 킴벨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루이스 칸이 설계한 단아한 킴벨로 들어가면서도 이 작품이 그 곳에 소장되어 있는지는 전혀 몰랐다. 그러다가 뜻밖에도 2층 회화 전시실에서 이 유럽의 다리를 다시 만났던 것이다. 작품의 전체적인 색조로 인해 그림이 걸려있는 벽마저 푸르스름하게 물든 느낌을 준다. 그림과 마주 대하니 더욱 신사의 시선이 궁금하다. 과연 그는 무엇을 보고 있는 것일까.

사진을 찍었지만 언제나의 수전증 발현으로 도저히 알아보기가 힘들게 나왔기 때문에 웹 검색을 이용.

카유보트의 작품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이 '유럽의 다리'이지만, 좀 더 유명한 작품은 '비 내리는 파리의 거리' 가 있다. 비 내리는 파리의 거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61 | 662 | 663 | 66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