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제5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 루나 + 블랙박스와의 인터뷰 + 옛날 옛적 판교에서 + 책이 된 남자 + 신께서는 아이들 + 후루룩 쩝접 맛있는
서윤빈 외 지음 / 허블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하여 우리는 조류를 거스르는 배처럼 끊임없이 과거로 떠밀려 가면서도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So we beat on, boats against the current, borne back ceaselessly into the past.)” - <위대한 개츠비中에서 –

 


<5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을 읽고 나는 <위대한 개츠비>의 마지막 문장을 떠올렸다상실과 결핍몰이해라는 인간의 한계와 그러거나 말거나 상관없이 무심하게 흘러가는 세계 속에서 저마다의 속도와 방향으로 한 조각의 진실과 삶의 의미를 구하려 애쓰는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이 서로 닮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불투명한 미래상처와 트라우마를 딛고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열망 속에서 불나방이 되어 불꽃 속에서 마지막 날개짓을 하는 것이 우리의 인생 아닐까?

 


우리는 흔히 SF (science Fiction)가 그리는 미래는 현시대와는 동떨어진 어쩌면 향후에 도달할지 모를 미래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SF가 그리는 미래의 어느 시점은 그 아득한 시간의 간극이 걷어내고 보면 또 다른 우리들의 모습이 숨겨져 있다. 언젠가 우리는 현재와는 다른 모습으로, 우리와 비슷한 모습을 한 누군가와, 또는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또 다른 누군가와 공존하면서 전혀 다른 세상에 적응하며 살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세월의 흔적을 걷어내고 바라보면 저마다가 직면한 세상에 맞서 살아가는 똑같은 인간만이 남는 것이다. 환경이 달라지더라도 누군가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세상을 살아나가는 삶의 원형은 현재의 삶이나 미래의 삶이나 크게 달라지진 않는다.

 


6명의 작가가 풀어내는 6가지 다채로운 이야기 하나 하나가 모두 흥미로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관심이 가고 인상 깊었던 단편은 김혜윤 작가의 <블랙박스와의 인터뷰>였다. 과학기술이 가진 잠재력을 기반으로 특정 세계관과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 세계에서 살아가는 인간을 다루는 것이 SF의 장르적 속성이라고 한다면 <블랙박스와의 인터뷰> ‘기술이나 ‘세계’ 그 자체 보다는 그에 반응하는 ‘인간에 주목하는 SF라고 할 수 있다인간의 이성과 기술이 구현해내는 세계에 대한 냉철한 분석 보다는 그러한 세계를 살아가는 인간의 미묘한 감정과 삶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술사 연구는 타인의 이야기를 듣고, 그의 서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일입니다. 그리고 그 진실은 누군가가 듣기 전까지는 존재하지 않았죠. 존재하지 않았던 진실이 존재하게 된다는 것.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나요?' (p. 109)

 


인간은 유일하게 이야기를 만드는 종으로서, 이야기를 통해 서로 소통하고 서로를 향해 손을 뻗으면서 인간다움의 가치를 만들어가는 존재다. 또한, 어느 시대에나 하나의 사건이나 이야기에 붙들려 평생을 이전과는 다른 사람으로 살아가는 이들이 존재한다. 타인의 존재와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진실을 탐구하는 <블랙박스와의 인터뷰>'구술사 연구'라는 소재가 인상적이었던 이유이다. 존재하지 않았던 진실을 존재하게 만드는 것, 그 누구도 존재 자치를 부정하고, 인양을 거부하는 진실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에서 따뜻한 온기가 느껴졌다.

 


'나는 하나의 사건에 붙들려 평생을 이전과는 다른 사람으로 살아가는 일에 대해 생각한다.' (p. 89)

 


김혜윤 작가의 <블랙박스와의 인터뷰>를 보면서 저마다 개별적 삶을 살면서도 타인과 또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한 시대를 이루고, 그것이 되풀이되고 순환되는 과정을 거쳐 역사를 구성하는 인간의 삶에 대해 생각했다. 우리는 동시대를 같이 호흡하면서도 온전히 현재를 살아내지 못하고 누군가는 과거의 한때에 머무르고, 또 누군가는 과거의 기억을 넘어 미래를 응시한다. 동시대를 같이 호흡하면서도 온전히 현재를 살아내지 못하고 누군가는 과거의 한때에 머무르고또 누군가는 과거의 기억을 넘어 미래를 향하는 것은 인간은 물리적 시간인 ‘크로노스 (Kronos)' 보다 주관적이고 심리적 시간인 ‘카이로스 (Kairos)'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존재이기 때문일 것이다과거의 기억은 현재의 우리를 구성하는 것인 동시에 미래를 꿈꾸고 호흡하게 하는 두번째 심장이다우리는 상실과 결핍, 몰이해라는 인간의 한계와 그러거나 말거나 상관없이 무심하게 흘러가는 세계 속에서 저마다의 속도와 방향으로 한 조각의 진실과 삶의 의미를 구하려 애쓰는 '인간'이기 때문이다.

 


 SF 작가 테드창의 단편소설 <거대한 침묵>에는 인간의 욕심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앵무새들이 인류에게잘 있어. 사랑해.”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지만 무심한 인류는 이마저도 인지하지 못한채 지성을 가진 또 다른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서 광대한 우주를 향해 고정되어 있는 거대한 전파 망원경에만 귀를 기울인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우리는 어쩌면 지금 이 순간에도 편견과 집착에 사로잡혀 중요한 무언가를 놓치거나 주변의 소중한 것들을 잃어버린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작가가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었던 것은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흘러가는 세상의 흐름에 떠밀리지 말고 저마다의 속도와 방향으로 조금씩이라도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아닐까서로에 대한 관심과 공감, 진심이 담긴 위로가 진실을 가능하게 하고, 아주 미약한 부분이나마 세상을 진보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것 아닐까? 김혜윤 작가의 <블랙박스와의 인터뷰>는 우리의 과거와 현재, 또 미래의 삶에 대해서 생각해볼 것이 많은 소설이다.

 


'나와 그 사이에 부드럽고 압도적인 무언가가 흐르는 게 느껴졌다. 그건 공감이었고 동등함이었다. 일체감 같기도 했고 신뢰 같기도 했다. 이름 붙이기 어려운 그 공기가 우리를 단단히 연결하고 있었다. 이브가 볼륨을 조금 높여 말했다.'


"내 이야기를 들으러 와줘서 고맙습니다. 라나." (p. 99)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7-08 18: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잭와일드님! 축하드려요 *^^*

이하라 2022-07-08 18:2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잭와일드님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립니다.^^
기쁘고 즐거운 주말되세요.^^

그레이스 2022-07-08 18: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새파랑 2022-07-08 19:1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잭와일드님 저도 당선 축하드립니다~!! 오지오스본도 함께 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