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바다를 닮아서 교유서가 산문 시리즈
반수연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ife is a tragedy when seen in close-up, but a comedy in long-shot.“

 


찰리 채플린은 삶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는 말을 남겼다이는 일견 행복으로 충만해 보이는 삶도 면밀히 들여다보면 두려움과 고통삶에 대한 ‘비의(悲意)’가 내포되어 있다는 삶의 내밀한 속성을 잘 포착해낸 체험적 진리라고 생각한다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제임스 설터도 "나뭇잎을 들어 올려 햇빛에 비추어 보면 잎맥이 보이는데다른 건 다 버리고 그 잎맥 같은 글을 쓰고 싶다."는 말을 남겼다이는 저마다의 방향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잎맥처럼 삶은 다면적이고 정답을 찾기 힘든 것이지만삶에 대한 진실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멀리서 숲을 조망하기 보다는 숲 안으로 깊숙히 침잠하여 나뭇잎의 형태와 주위환경에 따라 흔들리는 그 미세한 변화들에 주목해야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산다는 것은 폭풍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내리는 빗속에서도 춤추는 일이다." (p. 117)

 


반수연 작가의 <나는 바다를 닮아서>를 읽으며, 삶의 내밀한 영역까지 뜯어보면 인생이란 희극과 비극, 강자와 약자, 피해자와 피의자가 뒤섞인 영화와 같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작가가 남편과 함께 영화 '조커 (Joker)'를 보고 쓴 산문 '결혼기념일'에 등장하는 말처럼 말이다. 딸아이가 큰 수술을 마치고 병실에 있는 화이트보드에 적은 "산다는 것은 폭풍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내리는 빗속에서도 춤추는 일"이라는 문구를 보고, 작가는 삶이란 두려움에 짓눌리지 않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해내는 것이고, 사소하고 다정한 것들이 모여 바위를 들 수 있는 힘이 된다는 체험적 진실을 털어놓는다. '당신의 강화반닫이'에서 언급한 할머니의 강화반닫이처럼 이토록 지리멸렬한 생을 흘러가게 하는 것은 어쩌면 무용하고 불가해한 것들일지도 모른다는 작가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인간의 삶은 평범한 사건들이 빚어낸 기적이고 역사다. 사소하고 시시콜콜한 삶의 순간들이 누적되어 이루어진 인생은 누구에게나 값지고 귀한 것이다. 그러한 순간들이 모여서 시간과 역사를 이루고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개별적 세계가 빚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저마다의 역사와 존재 이유를 가진 하나의 섬이다. 서로의 고유한 존재방식, 상실과 결핍의 기억들은 우리 각자를 섬으로 만든다. 하지만 섬은 연결과 단절의 이중성을 가진 특별한 공간이다. 수면 위 드러난 부분을 기준으로 보면 섬은 단절된 공간이지만 드러나지 않은 수면 밑으로 섬과 섬들은 연결되어 있다. 삶이란 저마다 쌓아둔 사연들로 섬들이 나누는 대화가 아닐까 생각을 한다. 서로가 단절된 채 살아가는 것 같아 보이지만 우리는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서로의 존재를 느끼고 온기를 나누는 존재들이니 말이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 보면 인간은 상실과 결핍을 안고 살아가는 불완전한 존재이기도 하다. 하지만 어쩌면 그런 불완전함이야말로 각자 다른 정체성을 가진 채 서로 다른 상황에 놓인 우리를 하나로 연결시켜주는 매듭이 되는 것 아닐까? 신뢰와 사랑, 자발적 책임이 동반된 관계를 구축하고 마음을 나누는 것은 불완전한 현실을 일정 부분 해소시켜주는 심연의 해독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인간을 비로소 인간답게 만들어주고, 삶을 살아가는 근원적인 동력이 되는 것은 일견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행위처럼 보이는 사랑, 우정, 신뢰와 같은 가치들이다. 서로를 향해 뻗는 온기 어린 손짓이 결국 메마른 삶에 활기가 되어 내일을 밝히는 희망이 된다.

 


"He can do! She can do! Why not me!"

"He can do! She can do! I don't care!" (p. 109)

 


작가가 독자들에게 들려주는 딸과의 에피소드는 이 같은 삶 속에서 온기가 배어있는 반짝이는 순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아이들과 함께 본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그도 할 수 있고, 그녀도 할 수 있는데, 나라고 못 할까!"라는 구호가 등장하자, 레고를 가지고 놀고 있던 아들은 힘차게 구호를 따라 하는 반면, 딸아이는 "그도 할 수 있고, 그녀도 할 수 있지만, 나는 신경 안써!"라고 힘차게 바꿔 말했다는 미소를 짓게 만드는 에피소드이다. 작가도 딸아이로 인해 온 가족이 행복하게 웃었던 귀여운 에피소드로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두 번의 큰 수술을 오롯이 혼자 감내해야만 했던 딸을 생각하며, 작가는 딸의 삶을 대하는 긍정적인 시선은 천성 탓일 수도 있지만, 어쩌면 아이가 겪어온 아픈 시간들 때문일 수도 있다는 가슴에 담고 있던 생각을 조용히 털어놓는다. 그때는 모르고 지나쳤지만, 이제 어렴풋이 알것 같은 것, 또 영화제목처럼 지금은 맞지만 그때는 틀릴 수 있는 것이 삶이 내포하고 있는 기본적 속성인 듯하다.

 


코로나19는 그동안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정도로 당연하게 펼쳐지는 것인 줄만 알았던 평범한 일상이 정말 이토록 소중한 것이었음을 우리가 절절하게 깨닫게 해주었다. 많은 이들이 정신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힘든 나날들을 보냈고, 지금 이 순간에도 고통스러운 순간들을 견디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계속된다. 일상이 회복되지 못하면서 대면 모임이 최소화되고, 비대면 만남과 집에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증가한 것은 코로나가 만든 새로운 풍경이다. 코로나는 우리 삶의 많은 부분들을 바꾸어 놓았지만 삶의 근본적 속성까지 바꾸어놓지는 못했다. 사소하고 시시콜콜하지만 즐거움과 기쁨이 되고, 살아가는 동력이 되는 생의 순간들은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있다.

 


최근 내게도 코로나가 빚어 낸 그런 순간들이 있었다. 그 중 하나는 온 가족이 둘러앉아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을 보던 여름날의 추억이다. 체조경기 중계를 보던 중 딸아이가 카메라를 향해 인사하는 여서정 선수를 보며 아빠, 저 언니가 나한테 안녕하면서 인사해라고 말해 온 가족이 웃었던 기억이다. 살아가면서 딸아이도 안녕에는 반가움의 표현도 있지만, 애틋한 작별의 인사, 차마 건네지 못한, 또 건네고 싶어도 건넬 수 없는 그리움도 있다는 걸 조금씩 알아갈 것이다. 재택근무로 사라진 출퇴근 시간을 활용하여 딸의 손을 잡고 두런두런 이야기도 나누며 유치원 등원을 함께 한 것도 잊을 수 없는 기억이다. 딸아이가 재채기를 하는 나에게 아빠, 고개 돌리고 입을 가리고 해야지.“라며 유치원에서 배운 코로나 예방수칙을 애교 섞인 말투로 늘어놓았던 것도 떠올릴 때마다 미소를 머금게 하는 기억이다.

 


"이제 내게 너무 익숙해진 이국의 시간과 손님처럼 어색한 고향의 시간이 서걱거리며 부딪혔다.“

 


반수연 작가는 통영에서 태어났지만 20여 년 전에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이주하여 살고 있다. <나는 바다를 닮아서>에도 고국의 기억을 가지고 오랜시간을 타국에서 살아가는 것에서 비롯되는 경험들이 등장한다. 태어나서 배우고 익힌 고국의 언어와 문화를 두고서 다소 이질감이 느껴지는 타국에서 살아 온 시간들은 결코 쉽지 않은 세월이었을 것이다. 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속한 문화를 거슬러 자기 내부의 역사를 발견하고현재를 살아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작가도 고백하고 있듯이 이주자로, 소수자로, 주변인으로 늘 자신을 낮추고 남들보다 더 열심히 일하고 덜 쉬고 눈에 띄지 않게 존재하면서도 필요할 땐 늘 거기 있어야 겨우 인정받는 사람, 그것이 이방인이 살아남은 방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오히려 세월이 흘러 익숙해진 이국의 시간 속에서 다소 어색하지만 추억이 담긴 고향의 시간을 작가는 그리워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간을 같이 공유하고 만들어 온 가족이라는 존재를 생각한다. 머나 먼 타국에서 가족을 지키기 위해 작가의 남편은 두려움을 내색하지 못한채 언어의 장벽을 덮고 이주자에 대한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을 해왔다. 유난히 마음이 여린, 서른이 조금 넘은 젊은 남자가 어린아이와 아내를 데리고 이국으로 와 그 막막함과 두려움을 들키지 않으려고 얼마나 애를 썼고, 마음을 졸였을지 이제 와서 아내는 다시 떠올린다. 그 시절 무거운 짐을 진 어린 남자의 마음을 아내는 세월의 풍파를 헤쳐 온 지금 더 애잔하게 기억해낸다. 청력검사가 타국어에 대한 이해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두려워했던 이방인의 시간들, 그 시간들은 지나고 나면 가족을 한층 더 단단하게 해준 계기가 되었다.

 


우리는 동시대를 같이 호흡하면서도 온전히 현재를 살아내지 못하고 누군가는 과거의 한때에 머무르고, 또 누군가는 과거의 기억을 넘어 미래를 응시한다. 동시대를 같이 호흡하면서도 온전히 현재를 살아내지 못하고 누군가는 과거의 한때에 머무르고, 또 누군가는 과거의 기억을 넘어 미래를 향하는 것은 인간은 물리적 시간인 크로노스 (Kronos)' 보다 주관적이고 심리적 시간인 카이로스 (Kairos)'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존재이기 때문일 것이다. 과거의 기억은 현재의 우리를 구성하는 것인 동시에 미래를 꿈꾸고 호흡하게 하는 두 번째 심장이다. 우리는 어쩌면 지금 이 순간에도 편견과 집착에 사로잡혀 중요한 무언가를 놓치거나 주변의 소중한 것들을 잃어버린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서로에 대한 관심과 공감, 진심이 담긴 위로가 진실을 가능하게 하고, 아주 미약한 부분이나마 세상을 진보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것 아닐까? 유난히 춥게 느껴지는 2022년의 겨울을 따뜻하게 품어주는 산문집을 만난 것 같아 너무나 기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12-22 18: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대길 2022-12-24 20: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잘읽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