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캐롤 사임즈의 중세사 강의 들으면서 느끼게 되던 해방감. 

그건 그러니까 사적인 삶에 갇힌다는 저주가 풀릴 때의, 그 해방의 감정이었던 것이다. 

사적인 삶에 갇힌다는 것. 사적 이득의 추구, 사적 권력의 추구가 다인 삶에 갇힌다는 것.  

그렇게 갇힌 이들이 모여 만드는 지옥이 이 세상에 있는데, 그 지옥을 떠남의 해방감. 

................... 



10.26에서 김재규를 도왔던 정보부 의전과장 박선호의 말:


김재규 부장님을 모셨다는 것을 첫째 영광으로 생각하고, 저로 하여금 항상 인간으로 일깨워 주시고, 국가의 앞날을 버러지의 눈이 아니라 창공을 나는 새의 눈으로 볼 수 있게, 똑바른 눈이 될 수 있도록 길러 주신 데 항상 영광으로 생각했습니다. 지금 또 그와 같은 상황에 처해도 저는 그 길 밖에 취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버러지의 눈이 아니라 창공을 나는 새의 눈. 

................. 



한국어가 존재하는 한 그와 함께 언제나 존재할 박정희 전기 4부작. 

그게 아직 나오지 않은 중요한 이유 하나가 이것이라 생각한다. 정신을 사적인 삶에 제한하기. 

공적인 것을 처벌 없이 훼손할 수 있으려면, 댜수가 "버러지의 눈"으로 국가의 앞날을 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공적인 것을 처벌 없이 훼손하는 힘. 그게 권력의 의미였고 말입니다. 권력은 권력의 사적 남용. 


억울하면 출세해라. 출세하면, 공적인 것을 처벌 없이 훼손하는 힘을 가질 수 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eading Lolita in Tehran




테헤란에서 롤리타를 읽다. 


이 책은 

수업에서 누가 이 책 얘기를 하자 "테헤란 아니어도 마찬가지다. 여기도 테헤란이다"던 교수, 대학원 시절의 그 장면을 기억하지 않을 수 없게 하는 책. (이 얘기 이미 이 서재에서 두 번 이상 한 것 같습니다만..... 근데 그때 정말 웃겼. 웃"펐"... 근본주의가 정신이 감당해야 하는 현실인 모든 곳이 테헤란...)  


지금 내가 쓰고 싶은 책 하나는 

"발자크를 읽었던 그 해"이지 말입니다. A year of reading Balzac. 발자크를 읽었던 "그" 해... 이기보다는 발자크를 읽은 어느 해, 어느 일년, 쪽이지만 "the" year of reading Balzac, 이라고 제목을 하면, 발자크보다 그 "해"... 쪽이 중심이 되는 책이 되겠죠. 


그리고 그 책 다음엔 "바슐라르와 보냈던 여름" 이걸 쓰는 것입니다. A summer with Bachelard. 

"--- 를 읽었던 해" "--- 와 보냈던 여름" : 이것들은 --- 에 누구를 넣느냐에 따라 이러저러 추억들을 떠올리게 하는 제목들 아닙니까. 까뮈, <전락>과 보냈던 여름. 그 끈적했던 여름. 




이런 책들이 쓰여질수록 ㅎㅎㅎㅎ 여름도 달라지고 

... 시간도, 해도 (해 year) 달라지고, 삶이 달라질 것을 상상하게 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래 포스팅을 끝으로, 가서 잘 수 있을 거 같았는데 

그게 아닙. 끝나지 않았! ............ 


발자크 감탄스러워서, 예전에 받아서 들었던 "프랑스 문학의 거장들" 강의 다시 들어봤었다. 

당시엔 그냥 지나갔던 대목들을 밑줄 그으며 듣게 됨. 이 과목 교수에 따르면, 19세기 프랑스 문학에서 선택할 1인은 스탕달이라는 게 다수 의견이다. "내가 스탕달을 전혀 다루지 않고 발자크에서 시작해 19-20세기 프랑스 문학 개관을 하기로 했다고 하면, 프랑스의 문학 교수들 여럿이 경악하며 나를 볼 것이다." "문학 교수들에게 제2의 본성이 되는 기준과 감수성, 그것에 스탕달이 강하게 호소하는 면모가 있다. 우아함이라든가, 등등. 발자크는 거칠고 아주 자주 통제 불가다." 


나는, 어느 누구에게도 해명하고 옹호하고 그래야 할 사정이 없이 나 혼자의 이유로, "타락이라는 지옥의 작업" 이런 구절을 아주 환상적인 소설에서 아주 강력하게 쓸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그래요. 당신의 초상화를 나는 나의 방에 걸겠습니다...... ㅎㅎㅎㅎㅎ 심정인 것이다. 

<시골 의사>는 착한 사람들의 이야기고, 그런데 그게 <태양은 가득히> 수준으로 긴장감, 몰입감 넘치는 이야기인데, 그게 그럴 수 있었던 비결은 환상 반, 진실/현실 반... 을 실현하는 그의 역량. 우리가 살고 싶었고 살았을 수도 있었을 삶. 이것이 그에게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삶... 만큼이나 현실. 



음. 발자크의 저 면모를 

제대로 해명할 수 있다면, 당신은 문학 연구의 떠오르는 별이 될지도 모릅니다. ㅎㅎㅎㅎㅎㅎ ;;;; 아 이제 그만 자러 가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발자크. <시골 의사>. 저 막강한 구절이 이 책에 나온다. 

"악덕이 승리하고 미덕은 웃음거리다. 이것이 청년의 경험이다. 

파리는 인간의 정신/의식이 피우는 꽃들을 뿌리뽑는다. 타락이라는 지옥의 작업이 시작하고, 완수된다." 


저 번역은 그냥 엉망진창이고 

검색해 보니 국역본도 나와 있는데 국역본이나 다른 번역, 아니면 원서로다! 


the infernal work of demoralization has begun, and is soon accomplished. 


"demoralization" 이 단어도 오묘한 단어다. 이 단어의 역어로 "타락"은 너무 강하긴 하다. 그런데 딱 적합한 말을 찾기 어렵다. 정신의 훼손. 도덕 감정의 훼손. 도덕 감정의 비적실성의 시대의 도래. 정신과 자아 사이 이간질.  


"the infernal work of demoralization" 이건 아주 정말 너무도 아도르노적 구절이기도 하다. 어쩌면 똑같이 이 구절 그대로 그 자신이 쓰는 대목이 어디 있을 거 같기도 하다. 아무튼, 아도르노가 발자크를 읽으면서 세번쯤 밑줄 긋고 읽자마자그대로 정신에 새겼을 법한 구절.  




타락이라는 지옥의 작업. 

이것의 증인이 되기. ㅎㅎㅎㅎㅎㅎ 

혹시 관심 있으시면 저의 손을 잡..... ㅎㅎㅎㅎㅎ 우리 같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지 W. 부시의 오바마 당선 축하 연설. 

댓글이 다 웃기고 의미심장하던 동영상 있었는데 찾아지지 않는다. 이건 댓글이 차단되어 있다. 

웃기고 의미심장하던 댓글은 다 트럼프 이후 나온 댓글. "트럼프를 알고 다시 보니 부시는 시인이었다." 류. ㅎㅎㅎㅎㅎㅎ 


책 제목을 기억 못해서, 이것저것 키워드로 찾아봐도 찾지 못하는 중인데 

부시 시절 8년을 중심에 둔 역사 소설이 최근 나왔고 뉴욕 타임즈 서평 팟캐스트에서 저자가 출연해 길게 얘기했었다. 그는 부시 지지자는 아니고 사실 격하게 그의 정책, 방향에 반대했고 지금도 비판적인 사람. 그런데 그에게 조지 W. 부시는 미스테리였다.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 인물. 그리고 어쩐지 끌리는 인물. 이 "어쩐지 끌리는" 이 부분에 대해서 (그 자신이 "어쩐지 끌리는" 식으로 말한 건 아니지만) 아주 길고 자세하게 말했다. 그의 멍청함으로 이해됐던 면모가 사실은 조금, 아니 많이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 그의 격정. 그의 우울. 그의 내면적 경향. 그의 아내 로라 부시는 얼마나 똑똑하고 다정한 사람인가. 


이 저자의 오락가락하던 말들이 다 이해되는 건 아니었지만 

조지 W. 부시가 지금 다르게 보인다는 것 (그게 얼마나 트럼프의 공이든) 생각하면서 

뭔가 알겠는 느낌이었다. 




뉴욕 타임즈 서평 팟캐스트는 팟캐스트 앱에는 15년에 나온 에피들부터 있다. 

2015년. 7년 전인데 "순수의 시대"처럼 느껴지지 않는가. 정말 이게 다, 16년 트럼프 당선 때문이지 않은가? 

무슨 미국 정덕 같은 거 아니어도, 하루 5-10분 유튜브에서 (5-10분은 아니고 2-30분이겠다. 정정) 관련 동영상 보는 것만으로도 트럼프가 어떤 훼손을 가했나 모를 수가 없기 때문에. 


15년에 나온 에피들 들어보면 오바마 격하게 공격하기도 하고 그러는데, 하.......... 무엇이 닥칠 줄 몰랐군요 당신들은. 이런 심정 된다. 


그리고 트럼프 이후의 에피들은 

격하게든 아니든 트럼프 시대와 겨루는 에피들이다. 그러면서 지쳐가는. 

오래 진행했던 파멜라 폴이 19세기 미국사 주제 책 저자 인터뷰하면서 "책을 쓰기 위해서이든 아니든, 19세기로 들어가는 건 위안일 것이다. 아니, 지금 우리에게, 20세기로 들어가는 것도 위안이다" 이런 말 했었다. 


20세기가 위안이라니......... ㅎㅎㅎㅎㅎㅎㅎㅎ 19세기가?????? 

정말 트럼프의 위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