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에 어느 영화과 학생이 졸업 작품으로 만든 단편 영화라고 한다.  

페이스북에 Adorno changed my life라는 그룹이 있었고 이 학생이 영화를 만들 당시 가입자수 오백명이 넘었다는데 지금은 다수 탈퇴했고 활동이 거의 정지한 그룹. (불미스러운 일이 있어서 이렇게 된 건 아니고 "아도르노" 주제로 "집단"이 오래 가기는 어려울 거라는 것이 사정의 이유, 라고 어제 어쩌다 들은 팟캐스트에서 설명). 영화과 학생은 누가 왜 "아도르노가 내 삶을 바꾸었다"고 생각하나 궁금했고 이 그룹의 회원들에게 그에 대해 답해줄 것을 청했다. 그리고 그 답들이 이 영화가 되었다. 영화에 나오는 회원들은 전부 남자고 전부 너드다. 이들은 <미니마 모랄리아>를 사랑했다. 이 책에서도 특히 "틀린 삶을 옳게 살 수는 없다" "이 세계에 결백한 무엇도 남지 않았다" "지식인에게 오직 고립만이 연대의 방법이다" 같은 문장들을 그들은 사랑했다. 



이 작품에 대한 얘기 들으면서, 아도르노에 대해 나쁜 편견 갖게 할 작품이겠다 생각함. 올해 아도르노 책 모아 놓고 읽으면서, 예전 생각들이 바뀌기도 하고 안하던 생각들을 하게 되기도 하고 몰랐던 면모를 보게 되기도 한다. 아도르노는 "집단적 주체"를 집요히 구상하고 이론화하기도 했다. 집단에 바로 적대적이거나 회의적이지 않았다. "고립만이 연대의 방법이다" 같은 말을, 그가 주는 집단, 집단 실천의 이론 맥락에서 볼 수도 있는 것인. 



감탄이 늘어가고 쌓여 간다. <마의 산>에 세템브리니가 한스에게 하던 말이던가. 누가 누구에게 하던 말인가는 찾아봐야겠지만 하튼 "지금 당신이, 당신의 지적인 높이가, 내 눈 앞에서 더욱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투의 말이 있다. 이 말이 전해주는 그 심정이 된다. 한 페이지를 넘기면서, 어느 페이지를 넘기든, 당신의 지적인 높이가 어김없이 영원히 더욱 커지고 있음을 실감합니다. 



이 얘기로 시작해서 "회고록을 씁시다"로 끝낸다는 계획이었던 포스팅이고, 이 얘기와 "회고록을 씁시다"를 연결하는 고리가 되는 무엇이 있었는데, 그게 무엇이었나 있긴 있었나 갑자기 가물가물. 아무튼 본론은 이겁니다, 회고록. 회고록을 씁시다. 우리는 모두 회고록 저자가 되어야 합니다. 


써야겠다 생각한 후 달라진 게 적지 않다. 사건들과 사람들을 새롭게 다시 생각하게 되기도 하고, 책들을 그렇게 보게 되는 것 물론이고 (읽은 책이든, 읽을 책이든). 공쟝쟝님 리뷰 읽고 나서 전에 사뒀던 영어판 <랭스로 되돌아가다> 조금씩 보고 있는데, 아아아 한국에서도 이런 책이 매일 하늘에서 책상 위로 쏟아졌으면 좋겠다. 이 소원은 자연스럽다. 이 기적은 쉽다. (....) 



Returning to Reims: Amazon.co.uk: Eribon, Didier: 9780241344620: Books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이 2022-04-07 18:4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오늘은 여기저기에서 다 디디에 이야기네요. 몰리님 회고록 말씀에 저는 절대 찬성!

몰리 2022-04-07 19:20   좋아요 2 | URL
공쟝쟝님 엘휘봉 ㅋㅋㅋㅋㅋ 이라고 표기하니 미미님이, 동포 같은 친근감이 느껴진다고 ㅋㅋㅋㅋㅋ. 최주봉, 금난새, 등이 생각났던 엘휘봉. 비타님, 우리가 서재에서 하는 무엇이든 또 회고록으로!

수이 2022-04-07 20:22   좋아요 1 | URL
마지막 말씀 또 무조건 찬성!! 디디에 여기저기에서 막 담아갑니다, 오늘 좀 행복하네요.

공쟝쟝 2022-04-07 18:5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몰리님..! 회고록을 씁시다 💕

몰리 2022-04-07 19:21   좋아요 3 | URL
엘휘봉을 모델로, 씁시다!

공쟝쟝 2022-04-07 19:39   좋아요 2 | URL
ㅋㅋㅋㅋㅋ 맞아요 ㅋㅋㅋㅋ 맞아요!!! 휘봉씨 참 잘썼더라고요 ㅋㅋㅋㅋㅋ 제3세계 무산계급 여성인민도 알아보게 잘썼더라고 ㅋㅋㅋㅋㅋㅋㅋ

Joule 2022-04-08 10: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디디에 에리봉이면 ‘이미지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것들‘에서 곰브리치를 인터뷰했던 그 인터뷰어로군요.
보기 드물게 질문을 참 잘한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나요. 의외로 질문을 제대로 잘하는 인터뷰어 거의 없거든요.
이렇게 훌륭한 사람이었다니. 그러고 보면 이름이라는 게 참 중요해요. 디디에 에리봉, 그 당시에는 이름이 참 우스꽝스럽다고 생각했는데, 십 몇 년이 지나서도 어떻게 기억이 나네요. 겨우 한 권의 책을 읽었을 뿐인데.

몰리 2022-04-08 11:45   좋아요 2 | URL
저도 디디에 에리봉 이름 처음 들었을 때 어떻게 ˝봉˝은 프랑스 이름이어도 촌스럽게 들리는가, 했던 기억이 있어요. 그리고 잊지 못함... 한 번 들으면 잊지 못하는 이름, 에리봉. 푸코 전기도 아직 안 읽었는데 푸코 전기도 찾아보고 곰브리치 인터뷰도 찾아봐야겠어요. 이 책에서는 노동자 계급에 태어난다는 게 무슨 뜻인가, 계급이 ˝재생산˝된다는 건 어떤 것인가, 조금도 에두르지 않고 쉭쉭 (칼질 느낌으로) 말해요. 줄님, 우리 회고록 ㅎㅎㅎㅎㅎ (암튼... 씁시다!)

Joule 2022-04-08 16:14   좋아요 1 | URL
몰리 님이 하도 캠페인 하시니까, 저도 회고록 진지하게 생각해봤는데, 저에게는 무덤까지 가지고 가야 할 더티 런드리가 제법 있어서 회고록은 어렵지 않을까 하고 마음 접었어요.

몰리 2022-04-08 17:17   좋아요 0 | URL
하지만 더티 런드리를 제외하고, 아니 그걸 제외함에 대한 회고록은 어때요? 더티 런드리와 아예 무관한 건 아니지만 멀리 있고 말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말하면서 더티 런드리는 공백으로 두는. 이런 뻔한 방식 말고도 여러 실험들이 가능할 거 같은데 (아앜 진지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꼭 썼으면 좋겠어요. 심지어는 그 원고를 서랍에 넣어두거나 무덤까지 가져가더라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