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을 좋아하는 아이 덕분에 몇 권의 공룡 그림책을 보았다.
딱 맘에 맞는 책은 아직 없다.
<사라진 지구의 지배자 공룡>
공룡 책 치고는 좀 얇은데,
나는 이 그림들이 마음에 들었다.

<공룡 화보 100>
이래저래 무난한 책.
어차피 진짜 발음은 아예 다르겠지만
예전에 나는 파키'세'팔로사우르스로 읽어서, '케'가 영 어색하다.
대부분의 공룡 그림책들에서 '케'다.

<공룡의 세계> <공룡의 종류>
그림이 멋지긴 한데, 좀 심심해고 덜 자극적이어선지 아이가 잘 보지는 않았다.

<아주 놀라운 이야기 공룡>
내가 이 페이퍼를 쓰게 된 결정적인 이유가 된 책.
부모들이 올린 서평을 보면 다들 별 5개씩인데,
그 분들은 아이를 강하게 키우시나보다.
이건 그림이 잔인해서라기보다는,
앞다리 뜯어진 자국이 너무 매끄러운 게 마음에 안 들어 골랐다.
피도 이보다 더 많이 나야 하는 거 아닌가.
잡아먹히고 피 흘리고 사지 절단되는 장면들이 많다.
다른 책들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도 그렇고, 절대적으로도 그렇다.
전체 내용 중에서 이런 내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해볼까 하다가
계속 이러다가는 무슨무슨 학부모회에 들어가 검열관이 될까봐 그만뒀다.
아마르가사우르스는 책 소개에도 나오니까, 거기서 보시면 되고.
새끼가 부모 눈 앞에서 잡아먹히는 장면들이 몇 개 나온다.

그런데 아이한테 읽어주다보면, 전체적으로 문장이 좀 어색하다.
뭐랄까.
"데이노케이루스는 큰 손가락을 이용해 두꺼운 나뭇가지를 잡고 가지를 잡아당겨 어린잎을 맛있게 먹고 있어요."
"데이노케이루스의 거대한 앞발 화석만 처음 발견되었을 때에는 이 공룡의 앞발의 사용 용도에 대해 의견이 달랐어요. 학자들은 앞발의 용도를 나뭇가지를 잡아당겨서 나뭇잎을 먹을 때 사용한 도구라고 생각을 하거나 먹이를 먹을 때 이용했다고 생각해요."
문장이 뭔가 좀 안 맞는 느낌이다.
게다가 맞춤법이나 오탈자 교정도 뒷부분에서는 포기한 것 같다.
아이가 글자를 읽기 전에 집에서 치워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