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양화 도슨트 - 청소년을 위한 동양 미술 수업
장인용 지음 / 다른 / 2022년 1월
평점 :

대학교에서 '동양미술사학'이라는 수업을 듣기 전까지만 해도 나의 관심은 오로지 서양미술이었다. 방학이 되면 유럽에 가서 이런 저런 유명한 그림들을 꼭 감상해야지!-라고 마음 먹고 있었을 때 만난 동양미술의 매력. 그 때의 강렬했던 경험 때문에 한때 미술사학과 쪽으로 학업의 진로를 바꿔볼까 심각하게 고민하기도 했었지만, 현실에 떠밀려 결국 원래 선택했던 길 위에서 여전히 살아가고 있다.
그 후로도 동양미술 쪽보다는 서양미술 관련 책들을 더 많이 접하고 있는데, 어느 순간 '이래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조금 서양미술에 익숙해졌다고 나온 나의 오만인 걸까. 오래 전 수업을 들으며 바라보았던 매력적인 작품들. 그 감동과 가슴 벅참을 또 한 번 느껴보고 싶다고 열망하던 차에 만난 [동양화 도슨트]!! '청소년을 위한 동양 미술 수업'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데, 딱 내가 찾고 있던 책이었다. 동양미술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을 위한 입문서. 아이들 책을 함께 보면서 느낀 것은, 어지간한 지식 책은 어른 책보다 아이들 책이 더 쉽고 재미있다는 점이었다. 청소년 뿐만 아니라 성인이 읽어도 흥미로울 책!!
동양화와 서양화를 나누는 기준은 작품을 만든 사람이 어디 출신인가에 따라 나뉜다고 생각했는데, 그림을 그리는 도구, 즉 화구에 따라 구분된다고 한다. 하지만 동양화와 서양화를 보면 알 수 있듯 그 느낌은 전혀 다른데, 저자는 결국 그림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은 '그림을 그리는 시각'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동양화가 우리에게는 더 친숙하게 느껴져야 할텐데 서양화보다 난해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동양화에서는 문인화가 그림의 주류로 등장하면서 일찍부터 관념적인 것을 좇기 시작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서양화도 마찬가지겠지만, 그 시대의 배경과 화가의 생각을 깊이 알아야 그림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리라.
'선'과 '인간의 위치'를 중요하게 다루는 동양화와 '면과 색', '자연 공간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을 중시 여기는 서양화. 이 책에서는 동양화를 인물화, 화조화, 산수화, 문인화, 사군자, 풍속화, 민화로 분류하여 쉬우면서도 깊이 있는 세계로 안내한다. 역사와 예술은 긴밀하게 연결될 수밖에 없는데, 어떤 시대인가에 따라 그림의 주제와 방향도 바뀌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동양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 미술과 그 감상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언급되어 있다는 점이 무척 마음에 든다.

각각의 작품들 모두 저마다의 매력을 자랑하지만 역시 <산수화> 파트를 보면 그림에 압도당한다는 느낌을 받는다. 서양의 풍경화에 해당하는 동양의 산수화는 병풍의 장식이라는 하찮은 영역에서 시작했지만 결국 동양화를 대표하는 영역으로 자리잡게 되는데, 산수화가 빛을 보게 된 이유는 세상이 어지러워졌기 때문이다. 전쟁과 정치적 불안에서 벗어나고자 자연으로 눈을 돌린 사람들. 그림 안에서나마 평화를 얻고 싶었던 게 아닐까. 산수화의 시대를 연 것은 송나라이지만 금나라에 쫓겨 남쪽으로 옮겨가면서 화풍에도 변화가 생긴다. 그 후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에서 1,000년 동안 이어져온 산수화.
동양미술사학 수업에서도 산수화를 만난 적이 있는데 처음의 느낌은 역시 '어려워보인다' 였다. 그림을 봐도 '음, 자연이구나' 정도로만 생각했던 나는, 수업을 들으면서 그림의 하나하나를 뜯어보면 전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차차 그림 속으로 빠져들어가게 되었다. 이 책에서도 시점과 기법 등 산수화를 감상하는 포인트를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 앞으로의 그림 감상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코로나로 인해 박물관이나 미술관 관람이 제한되어 아쉽고 안타까웠는데, 이렇게 쉽고 재미있는 동양화 관련 책을 만나고나니 가슴이 뻥 뚫리는 듯한 기분이다. 세심한 구성과 친절한 해설로 우리 그림이 좋아지게 해주는 미술책. 이 책을 시작으로 좀 더 다양한 동양미술, 그리고 우리 미술에 관심을 갖는 시간을 늘려나가보자!!
**출판사 <다른>으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