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쾌 :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이현아 외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젓가락 주술이 갖는 힘의 원천, 바로 '규칙'이에요."
5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쾌: 젓가락 괴담 경연>. 이 책의 특징은 3국(일본, 타이완, 홍콩)의 5명의 작가의 단편을 싣고 있다는 점과 함께,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각 단편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순서대로 꼭 읽어야 스포를 당하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첫 번째 단편을 읽게 되었다.
84일동안 정해진 8가지 규칙을 지키며 소원을 빌면 젓가락님이 소원을 들어줄거야...
젓가락님, 오하시사마, 왕선군, 귀신신부...
각기 다른 나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고 있지만 비슷한 형태의 기묘한 의식을 통해 젓가락에 소원을 비는 사람들.
그들은 성별도 나이도 국적도 다 다른 사람들이지만, '소원'을 간절히 원할 의지가 매우 강렬한 사람들이었다.
오빠와 차별받으며 이유없는 폭력에 시달리고 있는 여동생, 이혼하려는 부모때문에 괴로운 아들, 생방송중 애인이 의문사한 여자, 민며느리로 사람답게 살기를 포기당한 여자....
"인간의 악의보다 더 무서운 건 없어요."
악의에 규칙이 더해져 소원(저주)는 현실이 되고...
그들의 꿈과 낙인이 공통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면서, 그 비밀과 저주를 풀 방법을 찾으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첫 번째 이야기 <젓가락님>.
아메미야는 누군가를 앞에 두고 본인의 어렸을 적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다.
'네코'라는 아이가 48일동안 특별한 젓가락을 사잣밥처럼 밥에 꽂으며 의식을 하루도 빠짐없이 치르고 있다.
이 행동이 특히나 튀었던 이유는 학교 점심 급식에서 이런 행동을 매일 하고 있었기 때문인데, 아메미야는 네코로부터 왜 그가 이렇게 하고 있는지를 듣게 된다. 젓가락님에게 들키지 않으면 원하는 소원을 이뤄준다는 것이었다.
아메미야도 결국 그 의식을 시작하게 되고, 그 이후 기묘한 꿈을 꾸게 된다.
한 교실에서 학생들이 한 명씩 죽어나가는 꿈...
두 번째 이야기 <산호뼈>
분신사바니 하는 귀신 놀이가 한창이던 그 시절,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과 젓가락을 바꿔치기하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놀이가 유행하고 있었는데,, 샤오청은 이런 놀이가 근거없음을 증명하기 위해 같은 반 남자아이의 젓가락을 몰래 가져오는 내기를 친구들과 하게 된다.
그 남자아이는 평범하지 않은 젓가락을 평범하지 않은 방법으로 가지고 다녔는데, 산호로 만든 붉은 젓가락을 줄과 연결해 목에 매달고 다니고 있었던 것.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젓가락 신에 의해 행복해지고 불행해지는 이야기를 들으며 샤오청은 오싹하면서도 믿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지만,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사로잡힌 남자아이와 그 엄마는 점점 더 젓가락에 집착하게 되는데,,,
세 번째 이야기 <저주의 그물에 걸린 물고기>
이번에는 홍콩. 리나와 함께 채널을 운영하던 네 사람중 한 명이 '귀신신부'의 저주에 휘말려 생방송 중에 죽게 되고, 나머지 세 사람은 용의자로 떠오른다. 범인은 밝혀지지 않고, 서로를 의심하는 와중에 리나는 '귀신신부'가 보낸 익명의 메시지를 받게 되고...
'귀신신부'는 누구지? 무슨 이유로 우리를 죽이려는 걸까?
네 번째 이야기 <악어꿈>
타이완의 작가 '나'는 젓가락 신선의 꿈에서 나오는 초등학교와 구조가 같은 B초등학교를 궁금해하는 한 기자와 함께 '마신자'의 저주로 없어진 아이들의 사건을 조사하게 되고 그 기자의 아들이 84일간의 젓가락 의식을 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의식의 저주에서 아들을 구하고 싶은 기자는 '나'에게 그 방법을 찾고자 했던 것. '나'의 이야기와 교차되는 한 여자의 과거는 왕선군과 연결되어 있었고...
일본 - 타이완 - 홍콩 - 타이완 - 홍콩으로 장소와 인물을 바꿔가며 쓰여지는 단편들.
순서대로 읽어야 스포당하지 않는다는 경고를 미리 들었었기에, 700여페이지에 달하는 이야기를 순서대로 읽어내려갔다.
1,2,3번째 이야기만으로는 '젓가락', '소원' 외에 큰 공통점이 느껴지지 않았지만...
4번째 이야기 '악어꿈'을 한 줄 한 줄 읽어내려가면서 소름이 쫙 돋는 나를 발견했다.
84일간의 젓가락 의식, 8명이 나오는 한 초등학교의 교실, 왕선군과 산호젓가락...
앞의 세 가지 이야기에서 나왔던 '규칙'들이 하나 둘 다시 등장하면서 하나의 이야기로 연결이 되다니!!
진정한 이야기꾼인 4번째 작품의 작가에게 경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망의 마지막 이야기에서는 4번째 이야기에 더해 귀신신부 그리고 젓가락신의 정체를 밝히며 대장정의 막을 내리게 된다.
이 이야기들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그것은 독자들의 몫인 것 같다.
하지만, 한 가지 내가 떠올렸던 생각은 인간의 의지만큼 무섭고 강한 것은 없다는 것이었다.
악의보다는 선의로 모든 이들이 자신이 행복할 수 있는 소원을 빌면 좋겠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