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쇼크 - 중2병도 두렵지 않은 사춘기 연착륙 프로젝트
이창욱 지음 / 맛있는책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오늘 너무 기분이 좋다. 통신장교......이놈이 진짜 좋은 일을 했어. 너희들도 항상 너희 아랫사람을 잘 챙겨야 돼. 그래야 진짜 멋진 사람이 되는 거야. 나는 너희들이 고마워. 군대에 오고 싶어서 온 놈은 몇 명 안되겠지만, 그래도 나라를 위해서 이렇게 와 주었잖아. 이게 얼마나 고맙고 감사한 일이냐? 고마우니까 내가 먼저 경례하는 거야. 군대에서 고개 숙여서 인사할 수는 없잖아. 경례해야지. 내 핸드폰 배경화면이 뭔지 알아?"

 지휘관은 주섬주섬 휴대폰을 꺼내 화면에 적힌 글자를 모두에게 보여 주었습니다. 낡은 폴더형 휴대폰의 작은 액정화면에는 "사랑과 배려"라는 글자가 빛나고 있었습니다. '기이하고 이해할 수 없는 지휘관'은 어느새 '인간미 넘치고 소탈한 인생 선배'가 되어 있었습니다. (61쪽) 

 

가부장적이고 폭력성향을 띄는 아버지들 대부분은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생 사회에서 받아 보지 못한 '존경과 대접'을 집안에서 '가장'혹은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누리려고 하는 것입니다. (104쪽)

 

현대 사회에서 아이들이 가져야 할 바른 가치관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치관1.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피해도 주지 말자.

가치관2. 나보다 약한 사람은 최선을 다해서 보호하고 배려하자.

가치관3. 세상에 공짜는 없다. 모든 일에는 항상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따른다. (142쪽)

 

이 세가지 가치관은 구글이나 애플 등 21세기 세계를 제패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인쟁상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이다.

목표가 너무 높을 경우 아이들은 자신감이 없어지고 위축감과 열등감에 휩싸인다고 한다. 아이를 위해 긍정적인 기대를 한다는 것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는 주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자신이 부모가 말하는 그 결과에 이르지 못하면 아이들은 스스로 자학하게 되고 열등감으로 인해 우울증이나 자살로 이어지기도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런 부분은 우리 부부가 잘하고 있구나~싶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아 우리가 심각한 잘못을 저지르고 있구나 싶은 자책감이 들었다. 아이인들 부모에게 원하는게 왜 없겠는가? 하지만 부모가 못할걸 말한순간 아이들은 미안해하고 사과를 한다. 그런것과 달리 부모들은 아이가 더더욱 높은 자리에 올라가고 더더욱 목표를 높이기만을 기대하고 부추기고 있다. 말로는 마음을 비웠다고 하면서도 정작 아이들에게 얼마나 큰 부담감을 주고 있는지 미안해진다. 이런 책을 보면 그러지 말아야지~하면서도 혹시 모르잖아? 라는 생각이 어느순간 슬금슬금 내 머리속을 장악하곤 한다. 아이가 아니라 부모인 내가 문제다.


책을 읽으면서 여러가지 나의 잘못된 부분들을 반성하고 있는데 아들아이가 마침 학교에서 돌아왔다.  미안한 마음에 평소의 싸움(아이가 오는길에 아이스크림을 사가지고 왔는데 자기돈으로 샀으니 돈을 달란다. 이럴경우 보통은 '너 용돈 많으니까 네 돈으로 사는 걸로 해! '그러면 아들은 또 지지 않고 '엄마는 맨날 나보고 내래? 나두 돈 없다구!' 하면서 서로 궁시렁 궁시렁 티걱태걱한다. 엄마도 이번주 돈 많이 썼는데 어쩌구 저쩌구..ㅡㅡ;; )을 접어두고 잘해주었다. 방긋 웃으며(가식적이지만^^:::) "그래 알았어." 라고 말하니 평화가 찾아온다.그리고 학교에서 있었던 일 몇가지를 보답하듯 이야기해주었다.


역시나 뭐든 미리 겪어본사람이 더 잘하고 전문가의 말을 들어서 나쁠게 없다. 요즘 지인중 이혼문제로 힘겨워하고 있는데 그 지인에게 이 책을 선물해주고 싶다. 나를 위하는 것이 곧 아이를 위하는 것이고 아이를 위하는 것이 곧 나를 위하는 것이니 말이다. 직접 상담소에 찾아와 학교 아이들 문제를 상담해줄것을 부탁한 체육부 선생님 이야기도 무척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