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독서 포트폴리오 만들기 입학사정관제의 정석
송태인.이성금 지음 / 미디어숲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입학사정관제와 자기주도학습 전형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독서활동이다. 새 제도에서 요구하는 독서는 어떤 것일까?  이 책은 그러한 독서활동과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입학사정관제에 맞는 독서법은 3단계로 나눌수 있다.

 

1단계는 teaching독서. 가장 기초단계로 책이 중심이 되어 책 속의 가르침을 따르는 책읽기 방법이다. 전형적인 우리가 알고있는 독서법이다.

2단계는 coaching독서. 책과 독자가 50: 50입장에서 상호 대등한 관계로 접근하는 독서법으로 1단계보다 더 주도적인 책읽기라고 한다.

3단계는 mentoring독서. 자기주도적인 독서법이며 독자의 꿈이 중심이 되는 책읽기를 말한다. 독자의 비전이 중심임으로 독자의 역량이 주가 되고 독자의 비전을 증빙하는 부차적인 자료이다. 

 

그러한 3단계를 담아낼수 있는 10개의 핵심 키워드를 독서활동을 통해 스스로 준비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보여준다. 10개의 키워드는 꿈, 직업, 전공, 인성, 봉사, 체험, 아이디어, 리더십,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한다. 이 10가지 주제는 다시 4단계 멘토링 학습을 통해 각 주제별 포트폴리오를 오나성하고 그 개별주제들이 모여 전체 비전포트폴리오를 완성해가도록 하고있다.

 

멘토링 단계들을 보면 1단계는 마음열기. 독서의 동기부여, 세상과 소통하면서 나의 문제의식을 느끼도록 글과 다양한 발문을 제시한다. 2단계는 링크하기. 본격적인 책읽기를 말한다. 3단계는 교감하기. 읽고 생각할뿐 아니라 체험을 통한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4단계는 창조하기. 앞의 단계들을 이용한 각자만의 비전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학생들의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역사학자 김수영, 반기문등의 책을 읽으며 꿈에 대해서 읽고 생각을 키워가기 연습을 한다. 내용을 요약하고 인상 깊었던 부분과 그 이유, 그리고 꿈과 관련해 자기 생각을 펼쳐나간다. 3단계인 체험 교감하기에서는 부모님과 인터뷰하기, 가장 가까운 선생님과 인터뷰하며 체화하고 교감하는 과정을 겪는다. 부모님의 청소년기 꿈, 꿈을 이루기 위한 과정, 꿈을 이루었는지 등에 대해서 질문을 하고 그것을 나와 연계시켜나가도록 한다. 그것들을 바탕으로 4단계인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

 

책을 읽게 된 동기, 그리고 그 사람들의 꿈과는 다른 나만의 꿈 적기. 책의 줄거리를 요약해서 적고 인상깊었던 부분을 적는다. 그리고 그 책을 읽고난후의 나는 어떤일들을 하고 싶은지와 이 밖에도 더 읽어보고 도움이 될만한 책들을 생각하고 정리한다. 처음에는 얼떨떨 어찌해야할지 감이 없겠지만 하나, 둘 예시된 학생들의 글들을 보면서 어떻게 적어나가야 할지 도움이 될것이다.

 

우리 아이들도 책을 많이 읽었고 읽는 편인데 얼마전 학교에서 선생님이 책을 많이 읽는 것에 비해 독후감은 그닥 잘 쓰지 못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나도 사실 그런 면에서 고민이 되었던 중에 만나 반가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