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경래 : 세상은 백성의 것이다 샘깊은 오늘고전 9
작자미상 지음, 윤기언 그림, 김기택 글, 강명관 해설 / 알마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장하고픈 멋진 양장본의 책이다. 시끌시끌한 사람을 뒤집어 엎고 싶은 사람이 어디 홍경래만 있겠는가..앞표지의 말이 멋지다. 세상은 백성의 것이다.

 

작자미상의 기록을 김기택이라는 저자가 다듬었다. 그리고 윤기언이라는 작가가 그림을 멋지게 그려주었다. 판화기법? 아니면 진짜 판화? 로 한 그림이 이 책의 가치를 그리고 홍경래의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저자의 머릿말도 읽을만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글이다. 어려운 일을 해내거나 큰 뜻을 이룬 사람들로부터 배운다는 말. 그리고 그들에게는 분명 남과는 다른 특별한 점이 있다는 것.

 

3.1운동은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치고 갇혔지만 일제의 강압적인 정치를 문화정치로 바꾸게 하고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아픔을 달래주고 희망을 주었으며 4.19혁명은 평범한 국민의 힘이 얼마나 놀라운지 큰지를 알려주었다는 말...

 

홍경래가 살았던 시대적인 배경은 조선 시대 후기 정조에서 순조에 이르는 시기로 양반 사이의 권력 다툼이 심했고 정치, 경제 , 사회의 변화도 컸다고 한다. 권력의 맛을 본 양반들은 더 많이 갖기를 원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강압적인 정책을 쓰고 백성들은 나몰라라 했던 상황이었다고 한다. 자기와 자기편만을 위해서 온갖 권모술수를 쓰는 그들과 대조적으로 백성들은 더욱더 가난해지고 힘들었다.  예나 지금이나 어찌 그리 닮아있는지...

 

이 이야기를 보다보니 사람들이 주위에서 하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권력도 없고 아무것도 없는 힘없는 백성들에게 권력이란 그리고 권력자란 무엇인가를 많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이야기들을 한다. 도대체 능력이 있으면 왜 그렇게 이제껏 정치를 하면서 돈도 없이 그렇게 힘들어하느냐? 능력있으니까 돈도 있고 권력이 있는것 아니냐? 그러니 권력자들을, 돈 있는 사람을 찍어주면 그 사람이 자기 배에 넘치게 채웠던 것처럼 우리에게도 콩고물이라도 떨어지지 않을까? 그러니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찍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말...정말 아찔하다. 없는 것이 죄가 아니라 없음으로 인해서 그런 생각을 하게 하는 그것이 바로 죄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정도이다. 자신의 없음에 무능함에 아주 인을 찍는 것이다.

 

그렇지만 권력자들은 부자들은 그렇지 않다. 시대의 변화속에서 땅을 크게 불린 부자들은 가난한 농민들에게 땅을 빌려주고 농사지은 것의 반을 가져가며 농민을 종처럼 부리는 것이다. 세금은 말도 안되게 뜯어간다. 그러한 것을 보던 홍경래는 힘없는 이웃을 위해 나서게 된다. 마치 얼마전 불일듯이 일어났던 촛불들이 생각나기도 한다.(지금도 끊임없이 타고 있긴 하지....) 국민들의 뜻과는 담을 쌓고 있는 그들의 답답함에 사람들은 점점 기운을 잃어가고 나의 목소리로 인해서 피해를 당하는 사람은 우리가 아니라 나라는 생각을 하면서 나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하나둘 발을 빼게 되는 것이다. 나 역시도 다르지 않다. 그러면서 얼마나 가슴이 답답하던지..그리고 시간이 지나고 사람들은 투표를 한다. 그리고 결과는? 그들이 권력자들이 원하는 대로 되었을까?

 

마치 홍경래의 난에서 홍경래가 들고 일어나 이 사람 저사람들을 모아서 같이 힘을 합쳐 세상을 바꿔 보려고 했다가 하나둘 발을 빼는것처럼, 우리들도 역시 그렇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발을 뺀다고 해서 생각이 바뀌지는 않는 듯하다. 발을 뺌과 동시에 생활속에서 또다른 개혁을 꿈꾸게 된다. 자기도 알게 모르게... 귀를 닫고 있는 배부른 귀막힌 권력자가 되려하거나 그러한 권력자들과 싸우기 위해서는 노련함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우회하는것처럼 말이다.

 

마지막으로 홍경래의 난이 실패한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은 앞으로 어떻게 할것인지 정확히 사람들에게 미래를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그것이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일생을 살아가면서 어떤 삶이 제대로 된 삶인지 과연 언제나 제대로 알고 살아가게 될까? 내가 보기엔 죽는 순간까지도 사람은 그 속에 생각이 변하지 않는한 절대로 변하지 않는듯하다. 가치관 말이다.  매일 매일이 이사람 저사람의 강단에 메달리거나 눈치를 보며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성의 시간을 가져야겠다.

 

아이들은 이 책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할지 문득 아이들과 이 책을 읽고 대화를 나누고 싶어진다. 진정한 대화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송용주 2025-06-29 1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은 인민의 것이고..권력은 오직 위대한 수령 한분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