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는 이상한 집착이 있는 거 같다. 쥐뿔도 아니면서 말이다.

이 책은 우선 제목이 눈에 팍 들어온다. 바람의 화원. 바람과 화원이라는 단어가 이상하리만큼 정을 만들어 내는 거 같았다.

아직은 김홍도나 신윤복처럼 세상을 변화시킬만한 능력을 갖추진 못했지만 그들의 삶의 한켠을 훔쳐본다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충분한 그 소임을 다하는 것이지 않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예술을 한다는 거? 꼬래 예술가라고 자체하는 모습? 등등 많은 글귀들이 머리속에서 어지럽게 떠돈다.

 

"그림이 단지 그림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현실의 기능을 수행했다는 사실이었다." 작가는 예술의 역할을 김홍도의 생각을 빌어 이렇게 표현하고 있는 듯 싶다. 예술이 흔히 있는 작자들의 위선과 타협해서 먹고사는 것처럼 혹평하는 사람들에게-기실 이 책에도 그런 내용 많이 나온다. 도화서를 주 무대로 해서 말이다.-예술의 역할을 말하는 건 아닐까...

 

요즘 한국문학에서-세계문학까지는 모르겠다- 뜨고 있는 장르가 팩션이다.팩트와 픽션의 합성어. 즉 팩션이란 역사적 사실과 작가적 상상력을 결합해 만든 문학작품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듯 싶다. 그 예로, 김훈의 칼의노래가 팩션의 시발이라고 평자들은 이야기한다.

이 책도 팩션이다.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을 놓고 작가는 많은 픽션을 만들어 냈다. 그리고 보란듯이 성공을 한 듯 싶다.

우선 재미있다. 약간은 루즈한 면도 없잖아 있는데 충분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기존의 질서를 깨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간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어렵고 힘든 일인가 보다.

김홍도와 신윤복이라는 조선의 두 거장의 실명을 배경으로 하는 이 소설을 통해 작가는 많은 말들을 하고 있다.

그 당시에 도화서 화원들은 그림을 그릴 때 색을 넣는 것을 지극히 천박한 그림이라고 생각했나보다. 그런데 윤복은 그림에 색을 넣고 싶어 했고 그 색을 넣어 여인을 그림으로 도화서 생도에서 축출될 처지에 놓였다. 그 형 영복이 그 동생의 천재성을 간파하고 홍도에게 자신이 그 그림을 그렸다고 이야기 하고 단청실로 쫓겨났다.

그리고 단청실에서 색에 대해 연구를 하면서 늙은 단청쟁이와 나누는 대화다.

 

"세상 모든 존재가 색의 덩어리 아닙니까. 나무를 본다고 할 때 우리는 나무에 어린 짙고 옅은 푸른빛을 보는 것이며, 지붕을 본다고 할 때 기와에 서린 검은 빛의 덩어리들을 보는 것입니다. 세상에 색 아닌 것이 어디 있으며 색 없이 존재하는 것이 무엇이 있겠습니까 사람은 머리카락과 눈동자의 빛깔과 살의 색을 얻은 후에야 비로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산은 산의 색을 강은 강의 색을 발현하는 것으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 아닙니까 그런데도 도화서 화원들은 그림에서 색을 지워버렸습니다. 색을 잃어버린 그림을 어찌 온전한 그림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먹과 여백으로만 이루어진 형상이 어찌 그 대상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겠습니까"

 

그림이나 글 또는 창작을 한다는 것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말들도 참 많다.

여기서는 화원-그림그리는 사람-이 하는 말이라서 이렇게 표현되지만 창작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도 함께 고민해 봐야할 화두이다.

 

"화원은 보이는 것을 그리는 자라고 배웠지만 윤복은 그 말을 믿지 않았다. 보이는 것은 단지 볼 수 있을 뿐이다. 화원이 그리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닐 ㅏ마음에 담은 것이라야 했다. 마음에 담지 못한 대상이라면 그 겉모습을 베끼는 데 불과할 것이다."라고 말이다.

그림을 보는 안목을 키워주었다. 아 그림을 이렇게도 보는구나!!

 

그러나 한가지 정말로 옥의 티인지 아니면 이 글을 읽는 내가 잘 못 이해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다들 책 사서, 아니면 서점에 가셔서 이곳을 한번 보시라

 

1권 220쪽을 말이다.

 

혹시 이 글을 출판사 관계자분들도 보신다면 얼른 이 곳을 펴보시라!!

아래에서 다섯째 줄과 세째줄에 있는 이름을 말이다.

 

2권으로 가서는 더 압권이다. 작가정 상상력이 뛰어나다고 해야 하나 괴팍하다고 해야 하나. 좀 황당스럽다.

책을 덥고 나서 충분히 그렇게 상상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김홍도를 부분색맹으로 그려내고 신윤복을 복수를 위한 여인으로 그려내는 것!!!

여장남자의 신윤복!!!

그래서 화풍에서도 여인이 빠지지 않고 조선의 화풍에 일대 변혁을 일으킨 여인???

 

그러나 가슴이 아프고 아리고 쓰리다못해 만신창이가 되지만 인정해야 할 말이 그 글귀를 읽는 내 가슴을 먹먹하게 했다.

윤복의 아버지가 윤복이 도화서에서 쫓겨난 다음에 윤복에게 한 말이다.

"나이가 들면 알게 될 게다. 현실은 차갑고 가혹하고 거짓말 같지. 하지만 발버둥을 쳐도 결국은 받아들 수밖에 없어. 그것이 현실이야 우리가 발붙이고 있는 이 세상 말이야."

우리는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그 현실을 뛰어넘기 위해 이 같은 책읽기를 열심히(?)하는 거 아닌가..

자신들의 꿈을 쫓으면서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 말이다.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신만의 철학적 뿌리가 견고해야 그 꿈을 이루기 싶다.

내가 내린 결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