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발, 스타일의 문화사 - 샌들, 부츠, 하이힐, 스니커즈에 담긴 시대정신과 욕망
엘리자베스 세멀핵 지음, 황희경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저자는 4,500년 전 신발부터 현대의 신발까지 13,000여 점에 이르는 세계의 신발을
전시하는 캐나다 토론토의 <바타 신발 박물관>의 수석 큐레이터로 신발의 역사를 통해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연구하는 역사학자이기도 하다.
신발은 가장 아래에 있어 잘 보이지 않는 것 같아도 그것을 신는 사람에 대한 모든 것을 가장
확실하고 정확하게 말해준다. 패션의 완성은 신발이라는 말이 그만큼 신발의 비중을 말해
준다. 일단 다양한 신발을 구경하는 재미부터 역사적인 이야기가 더해져 흥미진진하게
다양한 신발에 얽힌 이야기들 읽었다. 샌들, 부츠, 하이힐, 스니커즈에 담긴 시대정신과
욕망을 담은 신발은 신은 사람의 성별과 성격과 더불어 추구하는 가치까지 담아낸다.
"패션은 전략이다!"라는 이미 오랜 진리
여성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발레슈즈에 대한 로망을 갖는다. 신발의 좌우 구분이 없는
발레슈즈의 기원이 되었던 패셔너블한 구두형 샌들을 신을 필요가 있었던 발레 댄서들.
좌우 구분이 없는 신발은 두 개의 신발들이 없어도 가능한 이유 때문에 생산속도의 향상을
위해 한동안 유지되었다가 제조 기술이 좋아지며 구분되기 시작했다.
역사적으로 신발이 발가락을 그대로 드러내는 일은 여러 차례 번복됐다. 해변에서도
발을 드러낼 수 없었던 시기 끈을 묶는 형태의 면 소재를 사용한 코르 티크를 착용했다.
여성은 몸을 감추어야 한다는 오래된 문화적 요구로 인해 해변에서 이런 부츠형의 샌들을
신었다는 사실이 놀라우면서도 흥미진진하다.
책 속에는 다양한 삽화나 신발에 대한 자료가 풍부하게 수록되어 박물관에 직접 가서
관람하는 느낌을 방불케 한다. 신발이 디자인적인 면을 추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건강적
인 면을 고려했던 이유들까지 더해져 변천의 역사는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양말을 신는 것과 벗는것에 대한 여러 이견들까지 더해져 건강에 관해 항생제가 없던 시대
신발의 디자인과 설계는 건강과도 당연히 직결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알게 된다.
플랫폼과 웨지가 만들어낸 샌들의 혁신은 명품 브랜드의 디자이너들을 통해 다양한 형태
로 변형되어 오늘날에도 변함없는 인기를 끌고 있다. 지금까지도 우리가 종종 신곤하는
신발들의 기원이 이미 오래전부터 유행처럼 돌고 돌아 다시 통용된다는 것도 보인다.
남자들이 경멸하는 신발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경우가 있더라도 유행과 멋은 끊임없이
시도되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재료들로 진화해 간다. 패션은 그런 면에서 늘 도전이고
실험이기도 하다.
플랫폼 샌들에 덧씌워진 성적 이미지는 많은 논란을 유발했고 필요 이상으로 에로틱하게
해석되기도 했지만 기능적인 측면보다 역시 디자인이 주는 매력은 때로 과도한 디자인을
만들어냈다. 그 과정에서 성별의 구분이 뚜렷한 신발부터 예술적인 미의 가치가 높은 신발
들이 만들어졌다.
새틴 원단으로 만든 애들레이드 부츠는 보는 것만으로도 황홀함을 선사한다. 이런 신발을
신고 나가면 어디 땅을 마음 놓고 밟겠나 싶지만 실제로 발에 신어보기만 하는 용도로 만들
어진 신발이 실제로 있었다는 사실도 재미있다.
신발에 관한 역사와 그 문화에 얽힌 이야기들을 읽으며 단지 신발이 기능적인 면과 디자인
스토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신발만큼이나 다양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어서
인간사에 대한 이해가 한층 높아졌다. 더불어 인간의 솜씨에 대한 경외감이 들었다고 하면
좀 과장일까?
역사 속에서 많은 신발들은 인간의 생활 속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변화하고 발전해왔다.
진화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다. 종종 개인적으로도 신발을 좋아하고 모으는 취미를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종종 접하는데 사람들이 왜 신발에 중독되었는지에 대한 이슈도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고 용도에 따른 신발이 필요하게 되면서 하나의 취향으로 인정되어왔다.
그러다 보니 신발을 넣을 수 있는 신발 트렁크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취향은 또 하나의
문화가 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끝없는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낸 스타일의 역사 중에서 신발의 역사를 그야말로 폭넓게
다루고 있는 이 책은 신발의 스타일과 역사를 다루는 것에서 벗어나 인간의 역사를 다룬다.
신발 하나로 사람의 취향과 성향을 알아내듯 인류사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하나의
재미있는 키워드로서 기대보다 훨씬 방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지금까지 이렇게 흥미진진
한 역사의 키워드는 없었다. 강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