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아이가 되고 싶어요, 두 발로 걷는 개>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두 발로 걷는 개 꿈공작소 3
이서연 지음, 김민정 그림 / 아름다운사람들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요즘엔 그러고보니 개에 관한 책을 많이 보게 되네요.

내이름은 개

나는 개입니까

두발로 걷는 개

그러고보면 가장 친근한 동물이 개이기 때문에 우리 이야기들에는 개를 소재로 한 이야기들이

많이 출간 되는것 같아요.

 

전에 읽었던 두권의 개는 가볍지 않은 주제들을 다루었다고 한다면 이번 이야기는 오랫만에  

가볍게 읽을수 있는 전래동화 였답니다.

전래동화는 생각해보면 참 쉽게 읽을수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어린시절을 지내고  

한 아이의 엄마로서 접하는 전래동화는 그냥 가볍게 스토리만을 생각하게 되는 분야는 아닌것  

같아요.

이제서야 전래동화의 묘미를 알게 되었다고 하면 과장일까요?

전래동화가 전 세계적으로 연령에 제한없이 사랑을 받고 오랫동안 명맥을 유지하며 또 패러디  

한 이야기들이 속속들이 나오는 걸 보면 분명 가벼이 그냥 읽고 지나가는 이야기는 아닌것  

같습니다.

 

이 이야기속에는 전래동화의 구성요소가 잘 들어맞아 있습니다.

착한동생과 욕심장이 형.

그리고 약간은 허풍스러운 캐릭터 씨뿌리는 개

문제를 발단시켜주는 비단장수들.

선행과 악행, 그리고 보은의 결말까지 두루두루 예측이 가능한 전개가 이루어지긴 합니다.

 

이책을 읽고난 3학년 딸아이와 함께 요즘 국어 교과에서 배우는 속담과 연결하여 감상 나누기를

해보았습니다.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내지는 "뿌린대로 거둔다"라는 예상과 다르지 않은  

전개였지만 역시 이야기 나눠보는 소재로는 재미있고 또 철학적인 요소도 배제되지 않았네요.

 

이 이야기의 소개글을 읽어보니 두발로 걷는 개가 씨를 뿌리는 그 부분이 자연을 상징한다고  

하네요. 생각해보면 우리 주위의 소중한 자연물들에 대한 우리의 경각심을 일깨워 보는 계기가  

되었네요.

무조건 많은 것을 바라고 욕심 부릴것이 아니라 필요한만큼 소중하게 나눠쓰는 삶 또한 그만큼  

소중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만 잘사는 나라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잘 사는 삶은 작은 배려들이 모아서 이루어지는것이  

아닐까하는 거국적인 결말도 한번 생각해 보았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