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우리돌의 들녘 - 국외독립운동 이야기 : 러시아, 네덜란드 편 뭉우리돌 2
김동우 지음 / 수오서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에 남겨진 우리의 독립운동 흔적을 찾아 기록을 이어가고 있는 김동우 작가의 사진과 서술을 담아 가고 있는 뭉우리돌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이 나왔다.

<뭉우리돌>은 둥글둥글하게 생긴 큰돌로, 김구의 <백범 일지>에 저항정신을 상징하는 말로도 기록되어 있다. 해외 각지에서 뭉우리돌이 되어 조국의 독립운동을 이어갔던사람들의 묻힌 이야기와 흔적을 찾아 나선 작가의 기록은 이번에는 러시아와 네덜란드의 독립운동 이야기디.

불안정한 '이주민'으로 타국에서 노동력 착취의 대상이 되고, 해외에서 발행된 최초 순한글 신문은 일제의 압박으로 3개월여만에 폐간이 되는 수난을 겪었던 이들. 연해주에 한인 러시아 이주 140주년을 기념하는 한인 이준 기념비가 서태지의 헌정으로 세워졌다는 소식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의병들의 본거지로, 안중근 의사의 단지 동맹비가 있는 곳으로,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의 순국지가 있는 곳으로,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의 실제 모티프가 있었던 곳으로, 헤이그 특사들이 절절했던 사연과 홍범도 장군의 외손녀의 인터뷰까지.
작가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사진을 찍는 방식에서도 공간의 분위기를 담아내고자 숙고하여 섬세하게 취재와 촬영을 이어간다.



고국의 땅이 아닌 낯설고 외로운 곳에서 '서울 거리'로 이름 붙여진 이정표가 더 쓸쓸하다.

오랜만에 꺼내본 <뭉우리돌의 바다>편의 멕시코 이야기는 지금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정연두작가 의 백년여행기에서도 다뤄진다.
20세기 초 멕시코로 건너간 한인 디아스포라를 다루고 있는 전시는 멕시코에서 태평양을 건너와 제주도에 뿌리내렸다고 전해져 내려오는 백년초 이동 설화와 애니깽 Anniquin 농장에서 돌아올 수 없었던 이들의 백 년 여행기를 다각도로 다룬다.
전시 작가 정연두 작가의 말 "카메라를 통해 다른 이의 삶을 보는 것은 거울을 들여다 보는 것과 같다."라는 말에 그래서 더 공감하게 된다.



과거 없는 지금은 성립될 수 없고,

지금 없는 미래는 도래할 수 없다.

그 다른 시간대는 모두 같은 선상에서 하나의 선으로 연결돼야 온전히 한편의 서사를

완성시킨다. 구구절절한 사연들은 공유돼야 힘을 갖는다.

그 보이지 않는 에너지는 네가 누구인지, 내가 어디서 왔는지

우리가 왜 위대한지를 깨닫게 한다. <뭉우리돌의 들녘 Intro>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