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콘텐츠가 전부다 - 광고 품은 OTT부터 K-예능과 웹툰, 소셜 메타버스의 세계까지 최신 콘텐츠 트렌드 완전정복
노가영.김봉제.이상협 지음 / 미래의창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가오는 새해를 예측해 보는 트렌드 읽기와 더불어 이제 콘텐츠의 흐름을 읽는 것도

하나의 주요한 시대 읽기의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2020년을 필두로 점차 콘텐츠의 

흐름도 빠르고 구체적으로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미래경제의 중심이 물건이 아닌 소사이어티가 될 것이라던 저명한 전략 컨설턴트의 예언은 현실이 되었고 이제 커뮤니

개인의 시대로 자리 잡고 있는 과정에서 체감하는 채널의 다양화는 그야말로 콘텐츠

홍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과 1년 전의 콘텐츠 키워드를 올해와 비교해 보니 그 변화가 한눈에 들어온다.

워낙 빠르게 확산되는 과정의 한복판을 살다 보니 다양한 변화의 흐름에 휩쓸려가는

느낌에 객관적인 흐름을 파악할 새도 없었는데 이렇게 정리해 보니 이미 그 와중에도

변화의 흐름이 보인다.

개인의 취향이 모여 문화가 되고 트렌드를 만들고 산업을 움직이는 과정이 유독 우리

나라는 그 확산속도가 빠르다. SNS 시대를 살다 보니 자연스럽게 퍼져가는 속도가 

빠르게 확산된다.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꿈이 크리에이터가 등장한지도 이미 오래고, K-콘텐츠의 글로벌화는 그 변화를 더욱 빠르게 부추기는 효과를 보인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콘텐츠가 아니라 일반인들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또 그들을 인플루언서로 만들어 또 하나의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만들기도 하고 비즈니스 중심이 되어가는 

숏폼의 등장 등 그 장르를 구분하는 것조차 경계가 애매할 지경이다.

 


 

지난해 <2022 콘텐츠가 전부다>와 비교를 해봐도 훨씬 구체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로

자리잡은 것들이 눈에 들어온다. OTT(over the top)에도 중간광고가 가상 PPL로 

서비스 가입자에 따라 각기 다른 광고가 입혀지는 시대가 되었다. 'K- 콘텐츠 르네상

스'시대는 심지어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오히려 기회로 다가왔다는 사실도 놀랍다.

K 컬처의 글로벌 현상이 이제 한국의 잠재적인 분야들을 콘텐츠 화하는 과정으로 가고

있다. 콘텐츠 기획자나 크리에이터의 자질이나 덕목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플랫폼에 죽고, 콘텐츠에 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세상은 진정한 지구촌의 

모습이다. 예능 한편이 190여 개국에 동시에 배달되는 세상이라니!

 


 

 

요즘 숏폼이 대세라는 말을 종종 한다. 짧게 15초에서 60초, 길어도 몇 분을 넘기지 

않는영상 콘텐츠를 말하는데 이번에 미술관에서도 텍스트가 거의 없는 전시가 등장

했다. 해설을 하는 입장에서도, 관람객들 입장에서도 미술관의 전시와 숏폼의 시대, 

혹은 영상으로 정보를 습득하곤 하는 익숙한 일상과 동떨어져 생각하는 경향을 보이는 재미있는 현상을 목격한 요즘이라 얼마나 변화가 빠른 시대인지를 실감한다.

시대의 흐름이 이렇다 보니 평생직업이라는 개념이 무색해지고 'N잡러'가 많아졌다.

그만큼 안정적인 직업이라는 개념도 모호해지고 유연한 시대의 흐름을 얼마나 잘 

타고 있는지도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말이기도 하다. 플랫폼이 많아진 만큼 생존을

위한 한 우물의 시대는 자연스럽게 진작 끝이 났고, 유연함과 기민함이 가장 기본적인

가치 시대라고 하겠다.

요즘 진행 중인 미술관 전시의 메타버스 해설 프로그램이 마침 이 책에 소개되었다.

메타버스가 다양한 분야에서 체험 위주로 많이 활성화되었지만 해설 프로그램으로 

처음 참여해보니 생각보다 훨씬 실감 나고 재미있었다. 처음에는 낯설지만 실용성에

따라 금방 적응되는 것이 또 이런 콘텐츠 활성화의 가장 큰 덕목이라는 걸 실감한 순

간이다.

 


 

2022년과 비교해 보니 확실히 2023년에는 구체적인 변화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빠른 변화의 시대에 이렇게 콘텐츠의 흐름을 한눈에 읽고 나니 좀 더 일상에서 실용적

으로 적용하기 편리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는 트렌드와 함께 콘텐츠의 흐름도 

아는 만큼 보이는 시대가 되었다. 쏟아지는 콘텐츠 범람의 시대에 균형을 잡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