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신예찬 - 라틴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5
에라스무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신예찬은 풍자의 형식을 빌려 사람들의 풍속을 비판함으로 악습과 폐단을 교화하고

충고하고자 한 에라스무스(b, 1466-1536)의 역작이다. 1511년 출간되자마자 호응을 

얻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우신예찬은 하나의 긴 연설문으로 원문에는 장과 단락 구분이 없었으나 이 책에서는 60여 개의 장과 에피소드로 소개된다.

 


 

기독교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는 1509년 7-8월 영국에 있는 토머스 모어 별장에서 

7일 만에 <우신예찬>을 집필했다고 전해진다. 방대한 지식과 유머, 관용 정신을 담아

쓴 이 작품은 종교의 영향력과 힘이 최정점이던 시대에 우신(어리석음의 신)이 등장해

자신의 능력을 자화자찬하며 특권층과 사회 지도자들의 온갖 부패와 죄악을 풍자와

해학으로 풀어낸 내용이다.

우신예찬은 당시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폐습을 날카롭게 꼬집었던 탓에 1559년 금서목

록에 오르기도 했다.

 

"심각한 문제를 가볍게 다루는 것보다 경박한 일은 없고, 하찮은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는 것보다 우스꽝스러운 일도 없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나름대로 판단하겠지만, 내가 자아도취에 완전히 빠져있는 것이 아니라면

나는 어리석음을 예찬하되 결코 어리석지 않게 예찬했습니다."

<에라스무스가 토마스 무어에게 우신예찬을 헌정하며 보낸 글.>

 

스토아학파에 따르면 지혜로움은 이성을 따르는 반면에 어리석음은 정념이 하자는 

대로 한다고 한다. 결국 인간은 이성보다 본능에 충실하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하는 것

이 아닌지. 공직 선거에 출마해 대중에게 애걸하고 아양을 떨며 표를 얻고 박수갈채를

사냥하러 다니며 당선되면 마치 우상처럼 행동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이야기는 마치

요즘의 이야기라고 해도될 만큼 똑같아서 역시 사람은 세월이 지나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구나를 실감하는 대목이다.

 

 


 

v어리석음은 인간의 본성이며 학문은 재앙이다

v자연의 본능을 따라 살아가는 동물이 행복하다

모든 다른 동물은 자연이 정해준 한계 안에서 만족하고 살아가는 반면에 인간만이 

운명의 한계를 벗어나려고 애쓰기 때문에 인간이 가장 불행한 동물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는 우화는 500년 동안 여전히 이어져가고 있는 현재진행형인 건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