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비즈니스를 바꾸다 - 경험을 설계하고 트렌드를 만드는 공간의 힘
정희선 지음 / 미래의창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험을 설계하고 트렌드를 만드는 공간의 힘>

 

팬데믹은 일상의 제약과 더불어 변화의 기폭제가 되어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를 이끌어

냈다. 그 결과 공간의 쓰임에도 큰 변화가 자리 잡았고 여전히 진화 중이다.

워케이션 / 하우피스 / 원격근무 / 재택근무 / 홈코노미 / 디지털 노마드 등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에서 시시각각 일어나고 있는 변화에 관한 이야기들을 사례별로 살펴

보는 과정에서 알게 모르게 우리의 일상 패턴이 많이 변했다는 것이 새삼스럽게 다가온다.

낯선 시도는 혼란의 시기를 겪기도 하지만 새로운 시도가 있어야 변화도 있고, 발전도 있다.

Work와 Vacation 일과 여행을 겸하고, House 와 Office 집이 사무실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새로운 신조어는 다양한 시대적 변화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이제 정해진 자리에서 고객을 기다리거나, 업무를 보는 시대는 끝났다. 카페가 사무실로,

호텔이 집이나 사무공간으로 전환되고, 공간의 해체와 이동은 속도감이 붙어간다.

팬데믹은 우리에게 많은 불편을 가져왔지만, 변화와 발전의 모티브가 된 것은 분명하다.

이제 세계 곳곳에서 엔데믹을 선언하는 나라들이 많아졌다. 일상으로 돌아와도 코로나 이전

의 삶으로 완전 복귀가 아니라 개개인이 최고의 효율성을 내는 하이브리드방식으로의

전환이 예고되는데 주거부터 업무환경, 상업 환경, 나아가 앞으로 다가올 변화들에 대해

폭넓게 고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여행이나 이동에 제한이 생기며 대부분의 식당에서는 포장 판매를 시작했고, 비대면으로

처리하는 분야가 확장되었다. 그런 과정에서 공간은 자연스럽게 그 쓰임에 변화를 주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인터넷 통신 강국이라는 우리나라는 그래서 그 속도가 더 가속화되는데

한몫을 했다. 직장에 소속되지 않고 플랫폼을 활용해 자신의 재능을 판매하는 긱워커들의

분야도 자연스럽게 넓어졌다.

 

 


 

 

유휴공간으로 부상한 판매점과 대형마트의 역할의 변화나 확장은 새로운 소비패턴을 따라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비대면 생활이 빚어낸 삶의 변화들 속에는 효율성이

높아진 경우도 분명 많았고, 그 변화 과정은 역시나 속도만큼이나 혼란을 초래하기도 했다.

 

그런 트렌트의 변화 속에서 반가운 것은 도시집중형에서 점차적으로 교외나 근교로 분산되는

현상이지만 역시 도시 생활자로서 일정 거리 이상의 거주지나 근무지 변경은 역시 쉽지 않다.

결론적으로 이런 변화들 속에서 공간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적응하며 변화의 흐름을 읽는 것

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벌써 트렌드 코리아 2023을 예측해야 하는 시기가 왔다.

다양한 트렌트의 변화와 더불어 이런 세분화한 전문가의 분석은 현대를 사는 우리가 간과해

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이다. 공간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광범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