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우트 마인드셋 - 감정 왜곡 없이 진실만을 선택하는 법
줄리아 갈렙 지음, 이주만 옮김 / 와이즈베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 생소하긴 하지만 '스카우트 마인드 셋 The Scout mindset'은 '정찰병 관점'으로 승리를 위해 전투지의 실제 지형이나 적의 동향을 꼼꼼하고 정확하게 살피는 정찰병과 같이 자신이 바라는 대로 대상을 보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직시하는 태도'를 뜻하는 말이다.

인간은 자신의 실수를 합리화하고 진실을 외면하고 때로는 직시하기도 하는 복잡미묘함을 가졌다는 전제하에 자신을 속이지 않는데 성공했던 사람들의 사례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실을 왜곡 없이 직시하고, 정확한 상황분석을 하는 훈련을 통해 적용하는 방식으로 구성

된 이 책은 믿고 싶은 대로 보지 말고, 정찰병처럼 직시하라고 제안한다.

인생은 수없이 많은 판단과 결정으로 이뤄지고, 실재 인식이 왜곡되지 않게 주의할수록 더 나은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눈앞의 보상에 집착하는 전투병 관점은 '현재 중시 편향'에 따라 지나치게 단기성과를 중시하며 장기성과를 무시한다. 참을성보다 조급함이 우세한 결과다.

타인의 시선 때문에 자기 행복을 희생하게 만들기도 하는 사람들의 내면 심리. 합리적 판단을 위한 자기 인식능력 기르기가 이 책에서 주요한 골자로 작용하는 지점이다.

우리는 종종 확신이라는 고정 잣대의 위험에 빠지고 불확실성에 민감하게 방어하는 본능을 드러내지만 자기 기만에 해당하는 동기부여를 끊임없이 추구한다. 정찰병의 관점으로 의욕을 높이는 방법은 성공이 보장된다는 약속이 아니라 가치 있는 일에 대한 것을 기준으로 성공 여부와 별개로 자신의 선택을 신뢰하고 진실의 기반 위에서 장기적인

플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완성된다.

추구하는 목표가 무엇이든 거짓을 진실인 양 믿지 않고도 목표를 성취할 길이 있다는 것은 가능한 정확하게 현실을 파악하며 심리적인 안정감이 있는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다.

누구나 실패할 수 있지만 실패의 경험을 어떻게 개선해가느냐는 전혀 다른 결과를 유발한다. 실패의 경험도 자산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이 시점에서 다시 소환하는 정찰병 시점은 세상을 헤쳐나가며 접하는 변칙 현상을 퍼즐 조각으로 바라보며 수집한다는 것.

이런 과정들이 모여 더 넓고 깊은 세상을 이해하는 관점이 생성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우리가 굳게 믿고 있는 신념은 정체성이라는 부작용으로 작용할 수 가능성이 높다. 신념이 정체성과 결합할 때 생기는 진짜 문제는 판단력을 떨어뜨린다. 지식과 정보의 홍수 같은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는 신체 건강을 위한 운동을 하듯 편향된 신념이 고착화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소통하고 유연하게 세상과 마주해야 하는 것이 필요한 시대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