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처음 만나는 세계 - 메타버스, 블록체인, 암호화폐로 펼쳐지는 새로운 예술의 장 서울대학교미술관×시공아트 현대 미술 ing 시리즈 1
심상용 외 지음 / 시공아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미술계의 가장 핫이슈는 NFT(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어떤 스타일이나 장르와 무관한, 디지털 소스를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기술이다. 실제로 미술관 전시 작품에서도 주요 키워드를 차지하며 관련 책들이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는 추세다. 출판물의 추세만 보아도 요즘의 핫이슈들이 어떤 것인지 짐작이 될 만큼 눈에 띈 NFT에 대해 시공사와 서울대 미술관의 협업 시리즈 <현대미술 ing 시리즈>의 첫 번째 도서다.


2021년 3월 21일 크리스트 뉴욕지사에서 있었던 경매 건으로 NFT 미술은 미술계의 핫이슈로 등극했다. '비플'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던 크립토 작가 마이크 윈켈만의 JPG 파일 하나가

유서 깊은 미술품 경매사의 경매에서 6,930만 달러(약 870억 원)에 낙찰되며 미술계에 돌풍을 불러일으켰다. NFT는 미술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수집품, 게임, 메타버스, 기타 유틸리티 등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 아트뿐 아니라 여러 카테고리가 존재한다. 결국 NFT 시장의 주류가 미술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예상치로는 게임 시장이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지고 있다.

1904년 발견 당시 다빈치의 <살바도르 문디>는 위작으로 판명되었다가 1958년 영국의

소더비 경매에서 45파운드(약 7만 원)으로 매매되었다가 익명이 화가에 의해 복원작업이 진행되었고 다빈치의 진품임이 밝혀졌다. 여러 복잡한 경로와 시간이 흘러 결국 이 작품은 한화 5,700억 원에 아부다비 정부의 문화관광부로 낙찰이 되었다. 2021년 루이스가 NFT로 만들면서 <살바도르 문디>는 세간의 화제로 부상한다. 이번 미술관 히토슈타이얼의 작품에도 살바도르 문디가 등장해서 여러 가지 키워드로 현대 데이터 사회의 여러 이슈들을 전달한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