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하게, 큐레이터 - 뮤지엄에서 마주한 고요와 아우성의 시간들 일하는 사람 8
남애리 지음 / 문학수첩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하는 사람>시리즈로 출간된 큐레이터의 좌충우돌 미술관 일상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는 나에게는 친근한 직업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큐레이터, 학예사, 도슨트 그런 분야에 대한 구분이 애매모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종 해설을 들으시는 분들이 도슨트를 큐레이터로 알고 있는 경우가 다반사이기도 하다. 미술관이 점점 대중화되고 있는 요즘의 추세는 미술관의 다양한 직업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오기도 하는데 미술관의 규모에 따라 큐레이터의 업무 또한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미술관에 가서 전시를 관람하는 과정은 한없이 정적인 느낌이지만, 그 전시 하나가 준비되는 과정은 오랜 시간과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미술관이라고 하면 보통 규모가 큰 전시관을 떠올리지만 생각보다 소규모의 미술관이 대부분이고 그런 경우 큐레이터의 업무가 방대해질 수밖에 없다.


지역의 작은 미술관 현장에서 큐레이터로서 10년의 경험을 다양한 에피소드와 함께 소개한 이 책을 읽으며 공감되는 장면이 많았던 것은 미술관이라는 공간의 차이만 있을 뿐이지 일반 직장 생활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과의 교집합이 많았던 이유이기도 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업무분장과같이 미술관도 규모에 따라 업무분장이 달라질 수밖에 없을 테니까.



이 책의 소개 글에서 직업에 대한 정의를 읽고 밥벌이 수단으로서의 직업이 소명이 되었다는 부분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직업에 대한 만족도는 삶의 질을 바꾸어 놓기에 충분하고도 완벽한 조건이다.

그런 작가의 시선으로 마주한 미술관에서의 다양한 경험과 감상들은 미술관 일상이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나에게는 더 공감으로 다가왔다. 특히 도슨트에 대한 경험들이 그랬다.

관람객들이 미술관에 전시를 보러 가고, 종종 해설을 듣는 과정처럼 하나의 전시를 다양한 사람에게 해설하는 도슨트의 입장에서는 관람객에 따라 또 전달 방식이 조금씩 달라질 수밖에 없고, 다양한 피드백을 경험하게 된다. 책에서 소개한 관람객의 에피소드를 읽다가 괜히 마음이 찡했다.

종종 전시에, 혹은 작품에 감동을 느끼는 관람객들의 반응은 기획자가 아니라도 충분히 기분 좋은 감정의 이입이 생긴다.

기나긴 팬데믹으로 미술관의 전시 형태가 온 오프라인으로 확장되었지만 여전히 전시를 보는 맛은 미술관 현장에서 작품을 마주하는 순간이다. 미술관의 많은 전시는 작품을 통해 작가와 관람객의 소통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훨씬 흥미진진하고 신기한 과정이다.

시대와 세대를 넘어 예술이라는 장르를 통해 소통을 나눌 수 있는 미술관의 많은 전시들은 생각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의 협업의 결과물이다. 그리고 그에 호응하는 관람객까지.

큐레이터는 그 과정의 메신저 역할을 하는 사람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