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기, 몰입의 즐거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크리스틴 웨인코프 듀란소.필립 래터 지음, 제효영 옮김 / 샘터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적인 석학이자 <몰입Flow,1990>의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신간이다. <몰입>이라고 하는 동명의

제목의 책들이 한창 출간되기도 했었다. 나도 2018년에 황농문저자의 <몰입>을 첫책으로 읽고 기록

했었던 기억이있는데.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몰입에 대한 개념을 대중들에게 소개한 첫번째 학자이다.

황농문저자의 책에서는 몰입에 대해 Work Hard 와 Think Hard의 패러다임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일을

몰입하는 이야기 였다고 한다면 이 책에서는 몰입의 과정을 달리기의 과정에 비유해서 좀더 쉽고,

상세하게 많은 사례들과 함께 소개하고 있다. 꽤 묵직한 도서에 이론서라서 지루할거란 예상과는 달리

페이지가 생각보다 술술 넘어간다.

우리는 종종 인생을 마라톤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달리기의 과정에서 여러가지 굴곡의 과정은 우리의

삶과 참으로 닮아있음을 새삼 느낀다.

 

즐거움은 어떤일에 열정을 다해 적극적으로 참여할때 따라오는 결과다. 최고의 순간은 까다롭고,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무언가를 성취하기위해 자발적으로 자신의 신체, 혹은 마음을 한계수준까지

확장시킬때 찾아온다. 무슨일이든 성취의 과정이 쉬운일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의 고비를

넘기는 과정이 쉽지않기에 달리기의 과정과 비교하며 과정을 풀어가고있는데, 이 책의 많은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는것이 바로 <마음챙김>이다.

그러다보니 많은 철학자들의 이론을 소개하고, 사례들을 담고있는데 마음챙김은 요즘처럼 복잡한시대

에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기도 하다. 그래서 요즘엔 마음챙김에 관한 행사나, 도서들도 쉽게 보게된다.

그리스철학자 에픽테토스의 삶과 목표에 대한 이론또한 과한 욕심이 마음의 평온을 깨뜨리고,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한다는 점이다.

 

미하이칙센트 미하이는 즐거움이란 어떤일에 열정을 다해 적극적으로 참여할때 따라오는 것이고,

최고의 순간은 까다롭고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자신의 신체,

혹은 마음을 한계수준으로 확장시킬때 찾아온다고 설명한다. 자아를 실현한 사람들은 대체로 자기자신

과 삶과 타인의 의견에 개방적으며 경험을 소중하게 여기는데, 이때 중요한것이 바로 절정경험"이라는

것이다. 이때 바로 몰입의 가장 바람직한 방법들이 실현되는것이다.

자의식이 사라지고 일부러 애쓰지 않아도 일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기분이 든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과정에서 마음챙김이라는 단어를 또다시 떠올리게 되는데 중요한 순간에 긴장하기보다

편안한 마음가짐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이다.

몰입을 하기위한 가장기본은 마음속에 명확한 목표를 떠올리고 현재 자신의 능력이 과제를 능숙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는것이라고 소개한다. 결과에 집착하는 순간 몰입은 깨지고, 이미 마음의

균형을 잃는 것이다. 어떤일을 가장 훌륭하게 소화하는 과정에서는 그것과 사랑에 빠지는 일이라는걸

익히 들어왔는데, 역시 이론만큼 환상적인 순간을 만드는 일또한 쉽지않다.

책을 읽으며 재미있는 사례중의 하나가 세계의 모든사람들이 새해에 목표로 삼는것들이 무척 비슷하

다는것이다. 그런데 연말에 그 목표를 실천한 사람들의 비율이 높지않은 이유는 그 목표를 실천해 가는

과정에서 좀더 구체화하여 실행과정과 목표를 구체화해야 하는 과정을 놓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고보니 목표을 세우고, 실천과정에서 점차적으로 구체화해 나가는 일들은 목표를 세우는것보다

훨씬 어렵고 중요한 부분이라는 사실을 다시한번 깨닫는다.

단순히 달리기와, 몰입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는 책이지만,  300여페이지가 넘어가는 장문의

꼼꼼한 사례별 조언들은 그간 간과했던 소소한 부분들까지를 생각해보게 하는 구체적인 이론들이라

더 와닿는것 같다. 

독일의 심리학자이자 철학자인 에리히 프롬은 인생을 가치있는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스스로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무엇을 얻으려면 위험도 감수해야 하고, 실패도 감수할 만큼의 열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언가를 삶에 끌어들이고, 열정을 쏟을 대상을  찾고, 그것을 열의있게 꾸준히 추구해

나갈때 스스로가 방향이 될 수 있다.

과연 내 삶에서 그만큼 열정을 갖고, 몰입했던 일들이 뭐가 있었나 돌아보며 마음한켠이 짜릿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