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짓 - 연애의 모든 순간에 대하여
이정 지음 / 프리즘(스노우폭스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순간 사랑에 관한 책들이 내 성장?!단계와 맞지 않는것 같은 생각이 드는 순간이 있다.

사랑이라고 하면 젊은청춘들의 사랑이야기을 떠올리게 되고, 또 대부분의 책들은 그런 사랑에대한

한정적인 이야기를 소재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이기도 할 것이다.

책제목 <사랑;짓 >우연히 신간 책소개에서 눈에 띄었던 이 책에 솔깃해졌다.

뻔한 사랑이야기. 진짜 아니구나~ 이 책의 소개글을 읽으며 페이지를 넘기며, 청춘들의 풋풋한 사랑부터

우리의 삶에 녹아있는 사랑에 대한 진정한 통찰의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저자는 모든 사랑도 "진화"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세대별 단계별 실질적인 커플들의 사랑이야기의 경험들을 토대로 심리학적인 연구자료를 뒷받침했다고

표현하고 있는 지금 이 책을 그때도 읽었더라면 나는 첫사랑에서 승리를 쟁취했으려나?

뒤늦은 사랑은 이미 지나간 과거로서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냉정한 결론이 현실이지만

"관찰하고, 느끼고, 사랑하라"는 모토아래 실질적인 삶의 경험과 깨달음에 대한 유익했던 독서였다.

친밀감 + 열정 + 헌신혹은 배려 = 성숙한 사람

모든관계는 가족을 비롯해서 한 사람만의 노력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불타는 사랑이라

해도 그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 않다는 점을 책속에서도 근거로 제시한다.

사랑의 대상이 꼭 남녀관계가 아니라도 사람과의 관계는 일방적일 수 없다는 점이다.

이 책에서 가장 흥미진진했던 구성은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대목이다.

심박동이 빨라지는 동일한 조건에서는 놀랍게도 그 여파가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이다. 신체의 과학적인 증상이 내면의 판단력을 흐릿하게 만드다는 점은 마치 착시현상을 떠올리게도

한다.

젊은 시절에는 운명처럼 만나는 사랑을 꿈꾼다. 다투지 않고 늘 꽃길만 있을거라는 착각.

바로 그런 허상의 개념들이 사랑에 있어 가장 위험한 기대감과 증상들이다.

부족한 두 사람이 만나서 완성을 이루어 가는 것이라고 하는 사랑에 관한 명제를 떠올리게 하는 이유다.

다툼이 다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그간의 삶의 여러경험들을 통해 느낀적이 있다. 잠깐은 불편

할 수있어도 서로 다름에 대한 의견조율이나 다툼은 오히려 두사람간의 친밀도를 높여주는 가장 흔한

방법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정작 제대로 싸운적이 없는 커플이 한번 틀어지고 나면 돌이키는 방법을

영영 잃고 마는 경우도 종종 있다. 

 

"사람의 가능성과 사랑에 빠지지 말라." 좋아서 콩깎지가 씌운 상대의 가능성에 대한 흐릿한 판단에

의해 현재의 모습을 왜곡하여 판단하는 불찰들에 대해 조언한다.

사람의 본성은 잘 변하지 않는다는 점. 그런 사소한 불만들이 개선이 될거라는 희망적인 전제로 인해

상대를 억지로 바꾸려하거나 불평하는 일에서 부터 발생할 수 있는 트러블들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하

게하는 대목은 이 책에 주는 가장 중요한 조언들이라고 공감했던 대목이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를 치유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끌어가는 방법은 큰것이 아니라 위와같이

사소한 것들이다. 생각보다 사람들은 삶속에서 각박하고, 외로운 순간 약해지고 다운되기도 한다.

완벽하고 운명적인 사랑을 만난다고 해도 그 관계를 꾸준히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사소하지만 중요한

팁들과 이론들. 이 책이 주는 가장 중요하고 주옥같은 조언들이다.

사랑 참 어렵네! 아니고 사랑 그거 별거 아니네~ 할수 있는  사랑행동백서로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