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더 어릴적의 나는 세상의 모든 것은 반드시 환하고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람은 모름지기 밝고 눈부신 햇볕 아래서 당당하고 떳떳하게 모든 걸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고. 그럴 수도 있다, 가 아니라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고 믿었다. 엄청난 비약을 감수하고라도 당시의 나는 무엇인가를 감추는 것은 비겁함을 넘어서 곧 악의라고까지 생각했다. 당시의 내가 상대를 불문하고 자주 들이대던 말 중 하나가, 너 왜 말을 못해, 였으니까. 상대가 드러내는 머뭇거림이나 곤혹스러움을 비겁함의 징표로 해석하며 한껏 우월감을 느꼈던 나는 솔직함을 무기로 다분히 악랄했다. 그런데 요즘은 그처럼 견고하던 의지에 조금씩 틈을 보이며 진행되는 균열을, 몹시도 선명하게 느끼고 있다. 이젠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고 비약하기는 커녕 반드시 그래서는 안된다, 고 거꾸로 비약할 지경이다. 삶이 그렇듯 반듯하고 투명한 한 가지 루트로만 통하는 게 아니라는 어딘지 꺼림칙하면서도 부정하기 힘든 깨달음에 지배되고 있다. 어찌된 영문인지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사회적 공의에 관해 어린 시절보다 더욱 더 의심스러워하고 절망스러워 하는 지금의 나는, 공개와 진실보다도 비밀과 거짓말이야말로 물과 산소처럼 삶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인간적 영역은 아닐까, 하고 조심스럽게 나 스스로의 동의를 구해보는 것이다.  

머리 꼭대기의 고상함부터 발뒤꿈치의 누추함까지 모조리 드러낸다는 것은 타고난 솔직성과 용기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한편으론 빈약한 마인드를 드러내는 정신적 노출증이자 전부 아니면 무를 원하는 극단적 이기심이라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말해도 괜찮을까? 그렇다면 말하지 않는 편이 좋다. 반드시 말해야겠어. 세 번 쯤 생각해 보는 게 좋다. 곤란한 느낌이 드는 내용물은 성급히 쏟아내 보았자 악취 섞인 냉기로 주변을 얼리기밖에 더하겠는가. 더군다나 솔직했기에 나는 무죄가 되고 상대는 그 결과에 대해 뭐라고 할 수 조차 없다. 자백한 자는 진실의 속박에서 벗어나 구원받았으므로 쌔근쌔근 발을 뻗고 자겠지만 자백을 감당해야 하는 입장에선 손발을 오므린 채로 조용히 사면 절차를 밟아야 하는 것이다. 혹은 그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서 그 반대의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이해받으려 했든 그저 털어놓는 것에 위안을 받았든, 이해하고 싶었든 그저 진실을 알았다는 것에 안도를 했든, 결국 어떤 의미에서 지나친 솔직함은 양끝에 날이 선 곡괭이처럼 상대와 나를 향해 동시에 휘두르는 잔인한 폭력인 셈이다. 말하지 말지 그랬어. 듣지 말지 그랬어. 그것만큼 무용한 말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 그래서 지금은 백퍼센트 솔직한 상대를 사랑하는 일보다 오십퍼센트 알듯말듯한 베일에 싸인 상대를 이해하는 일이, 가끔은 더 편한 일일지도 모른다는, 전에 없던 생뚱맞은 생각을 하는 중이다. 개인적인 영역에 있어선 무엇이 더 공정한가, 보다 무엇이 나를 더 편히 숨쉬게 하는가, 가 더 중요한 것일 수도 있다는 그런 생각 말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6-07-26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든 걸 공개하는 사람은 없겠지요. 저도 나름 솔직하게 글을 쓰려고 하는데요, 다른 사람이 볼 가능성이란 저로 하여금 어느 정도의 검열을 하게 만들지요. 제가 좋은 사람으로 보이고자 하는 욕구란... 글구 사랑은 솔직한 사람이랑 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요???베일에 싸인 게 첨엔 신비해 보이겠지만, 예측이 안되서 말입니다 그냥 제 생각.

깐따삐야 2006-07-26 1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태우스님, 물론 저도 솔직한 사람이 좋은데 가끔 하지 않아도 될 말, 하지 않았으면 더 좋았을 말까지 해서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상처를 입히는 사람들도 있는지라 솔직함도 어느 정도껏이어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었답니다. 상대에 대한 배려 내지 존중으로 입을 다무는 사람이 있고, 오직 내 마음 편하자는 식으로 솔직함을 추구하는 사람이 있다면 전자가 좀더 낫지 않은가, 그런 생각이요. 사실은 저란 사람이 후자에 속하는데 조용히 있다가도 급작스런 직설화법으로 상대를 곤혹스럽게 하는 경향이 있어서 고쳐나가야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만 그런지는 모르지만, 솔직한 사람은 솔직한 말에 상처도 잘 받는답니다. 항상 부메랑을 던지고 있는 셈인데 참 아이러니지요. ^^

마태우스 2006-07-26 1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솔직한 것과 말을 막하는 건 다르다고 생각해요. 음, 님한테 그런 경향이 있으시단 말이죠. 자신의 실수를 공개하는 건 솔직, 다른 사람의 실수를 꼬집는 건 배려가 없는 것, 이렇게 정리하면 어떨까요

깐따삐야 2006-07-26 2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신의 실수를 공개하는 것을 곧 면죄부로 생각하는 뻔뻔함만 없다면, 그런 자기 본위의 솔직함만 아니라면, 솔직하다는 것은 여전히 미덕이에요. 그나저나 마태우스님이 정리해 주신 내용을 보니 저는 솔직하지도 못한데다, 배려도 없는 사람이네요. 이쿠!

blowup 2006-07-27 0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번쯤 저도 쓰고 싶었던 글이에요.
서재 어딘가에 저 제목으로 글을 쓰다 만 것도 있구요.^-^
깐따삐야 님의 글쓰기는 가벼운 놀림 속에 묵직한 펀치를 숨기고 있어요.
글, 참 잘쓰세요. 늘 생각하는 거지만.

깐따삐야 2006-07-27 0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mu님, 제가 두서 없이 써내려가느라 미처 표현하지 못했던 부분까지도 헤아려 읽어주시는 것이라 생각이 되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