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없어. 자식을 향한 모성애, <소나기>같은 소설에 나오는 수줍은 풋사랑. 그거 이외에 사랑이란 없어."

  웃풍이 찼던 자취방, 뿌연 형광등 아래서 Y가 했던 말이다. 당시에 그녀는 휴학 중이었다. 늘 지나치던 가게가 있었는데 가게 주인으로 뵈는 서른 즈음의 남자가 어느 날 그녀에게 데이트 신청을 한 모양이었다. 심심하던 차에 수작에 응해볼까, 하다가 그만두었다는 이야길 하며 그녀는 뜬금없이 저런 말을 했었다. 애송이 아니면 조로. 그 때 나는 그녀를 그렇게 판단했었다. 그리고 그녀를 좋아했었다.

  이틀 학교를 나가면 하루는 쉬어줘야 할 정도로 심신이 약했던 Y의 행방은 지금도 묘연하다. 그녀를 찾아볼 길이 없어 답답해 하던 하루는 인터넷 검색창에 그녀의 이름 석 자를 처 넣고 모든 링크들을 클릭했었다. 소용 없는 일이었지만 그렇게라도 그리움을 표현하는 게 그녀와 나를 향한 예의일 듯 싶었다. 이제 내게 남아있는 건 Y의 이름 석 자, 정리되지 못한 채 아무렇게나 꽂혀 있는 자잘한 메모들, 그리고 위에 쓴 말 뿐이다.

  그녀의 친구 E는 얼마전 떠나가려는 사람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한테 헤어지자는 말 하지 마. 너무 마음 아프니까.

  처음엔 발라드를 좋아하다가 팝을 듣게 되고 이후 락을 찾게 되더니 곧이어 재즈에 맛 들이고 결국 클래식에 눈을 뜬 다음엔 전통가요로 귀환하는, 세상과 점점 한통속이 되어가는 통속적인 일상 속에서 문득문득 떠오르는 Y는 신기루와도 같다. 속여도 좋고 속아도 좋아, 외롭지만 않다면. Y는 어디 있을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06-11-21 1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해보니...저도 몇몇 그리운 이름이 있네요...^^
반정도는 이미 이세상사람이 아니고 나머지 반정도는 생사불명을 모른다죠..

비로그인 2006-11-21 1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누군가에게 그런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신기루같은 사람, 계속 생각나지만 볼 수 없고 다다를 수 없는 사람.

깐따삐야 2006-11-21 1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피스토님, 어떻게 보면 일상이 되어주지 않고 일찍 떠나가줘서 다행이란 생각도 들어요. 보고싶은 얼굴이 없다면 오히려 더 쓸쓸할 것 같아요. 간사한 사람 마음. ^^

깐따삐야 2006-11-21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Jude님, 대개는 속이고, 속을 줄 알면서도 너무나들 외롭고 약해서 상대에게 언 발을 내밀기도 하죠. 잠시잠깐의 온기가 필요해서 말이죠. 그게 사람인 것 같아요. 우연찮게 신기루가 되어버린 사람도 있는 거지만 보통은 그냥 일상으로 남는거고 그 일상도 너무나 소중하잖아요. 보고싶은 얼굴만큼이나 지금 보고 있는 얼굴 또한 고맙고 귀하단 생각 들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