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팔코너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1
존 치버 지음, 박영원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4월
평점 :
두권의 왑샵 가문 이야기책에 이어 세번째 읽은 치버. 이이의 작품에 관해 별로 알지 못했고, 무엇보다 책 표지 그림이 너무 드러워서 후져서 <팔코너>는 읽지 않으려고 했었다가 어? 거기다가 품절 사태까지, 왠 품절? 거 읽고싶은 생각 안 들었는데 잘됐네, 이런 대쪽같이 곧은 마음가짐으로 잘 지내고 있다가, 친애하는 서재 동무님께서 아주 은근하게 권하시는 걸 이기지 못해 사서 읽고는, 아이고야, 어찌하여 아직까지 이 책을 모르고 살았던가, 그동안 안 읽고 지낸 세월이 아쉬운 바 컸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찍은 것이 중쇄가 아닌 중판인데도, 보시는 바와 같이 드런 후진 표지를 바꾸지 않은 것에 관해 여전히 불만이란 건 좀 밝혀야겠다.
세상에서 제일 분위기 살벌한 곳? 해병대 막사? 아니다. 단언컨데(이 말 무척 좋아했다가 광고에서 이병헌이 '단언컨데 메탈' 어쩌고 하는 바람에 잘 안썼다) 세상에서 가장 살벌한 동네는 남자 교도소. 내가 사는 동네의 조폭 아저씬 감방 안에서 드런 꼴 안 보겠다고 바늘로 위 아래 눈꺼풀을 꼬매버렸다는 전설적인 소문 났던 곳이 남자 교도소 내부다. 주요 등장인물 가운데 유일한 여자는 주인공 에제키엘 패러것과의 사이엔 이미 사랑의 흔적이라곤 남아있지 않는 미모의 아내뿐이다. 에제키엘 패러것. 2차대전 참전용사이자 대학교수, 그리고 마약중독자.
아참, <팔코너>에서 팔코너가 뭔지 아직 말씀드리지 못했다. 한 세계를 일컫는 말. 이곳에 들어오는 자, 희망을 버리라. 이 문장이 딱 들어맞는 곳. 교도소 이름이다. 누구한테도 등을 찔릴 위험이 있어 절대 뒤돌아서면 안 되는 곳. 교도관에 의한 폭행과 인권유린이 아무렇지도 않게 벌어지지만 호소할 수도 없는 곳. 어느새 남자를 깊이 사랑하게 되는 곳. 으때, 살벌하지? 더구나 <쇼생크 탈출>처럼 교도소 안엔 누군가가 독방에 갇히고 줘 터지는 댓가로 야노비츠와 마티스가 노래하는 모차르트도 들리지 않는다. 이 노래. 아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