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메로스의 딸 ㅣ 시대의 여성 시리즈
로버트 그레이브스 지음, 한지원 옮김 / 잔상 / 2025년 3월
평점 :
.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 말고 우리말 번역서가 한 권도 없을 줄 알았던 로버트 그레이브스를 우연히 검색해보았더니 두 권짜리 <그리스 신화>와 한 권이 더 있었다. 바로 <호메로스의 딸>. 더 생각할 것 없이 세 권 모두 손에 들어오는 대로 즉시 읽었다. 이제 다시 그레이브스를 읽으려면 또 얼마나 기다려야 할지 모르겠다. 내가 좋아하는 그레이브스는 신화학자, 고전학자가 아닌 소설가 로버트 그레이브스였다. 재미있게 잘 읽었다.
호메로스는 불멸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작가로 몇 천년이 넘게 이름을 날리고 있다. 나도 이 두 영웅전을 까까머리 중학생 시절 부터 제법 읽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책 바로 전에 <그리스 신화>를 읽고 트로이 전쟁과 후일담 이야기에 다양한 버전이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이 책에 의하면 일단 호메로스가 <일리아스>의 바탕이 되는 최초의 작품 또는 서사시를 썼고, 당시엔 기록문학이라기보다 구비문학인 측면이 많았으니 숱한 음유시인이 <일리아스>를 노래하면서 나름대로 조금씩 윤색을 한 것이 대를 잇다 보니 각양각색으로 여러 버전이 탄생했다고.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세상 모든 나라의 고문학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이때 누대에 걸쳐 <일리아스>를 노래하면서 세상에 알린 음유시인 또는 가객들을 “호메로스의 아들들”이라 칭했으며, 우리가 지금 읽고 있는 <일리아스>는 호메로스의 원전이라기보다 이 호메로스의 아들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각색된 버전 가운데 하나라고 그레이브스는 단정한다. 심각한 거 아니다. 당연한 걸 마치 새롭게 알려준다는 식으로 단정했을 뿐이다. 세월이라는 녹은 무엇이든지 변하게 만드는 것이니까.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내가 여태 상상도 하지 못한 의견을 개진한다.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는 근본적으로 성격이 완전히 다른 작품이라는 주장. 호메로스의 작품 말고 알기 쉽게 영화를 생각하자. 탄탄한 허벅지로 섹스어필한 매력을 뿜뿜 내뿜었던 브래드 피트가 아킬레우스 역을 한 <트로이>. 턱 밑에 옴폭 팬 보조개에 야만적 남성성을 자랑하던 고 커크 더글러스가 오디세우스 역을 한 <율리시스>. 커크 더글러스의 <율리시스>는 중딩 때 미아삼거리에 있던 대지극장에서 재개봉 영화로 봤는데, 이 영화가 브래드 피트의 <트로이>보다 더 수컷스러웠다고 기억한다. 내용도 그렇잖아? 마녀 키르케와 1년간 동거하고, 칼립소하고는 무려 7년 동안 살았다니 말이지.
하지만 그건 내 생각이고, 그레이브스는 <일리아스>가 남성을 위한 남성의 시라면, <오디세이아>는 <일리아스>보다 적어도 150년 뒤에 쓰여진 여성을 위한 여성의 시라고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오디세이아>는 호메로스의 작품이 아니라는 뜻. 누가 썼느냐 하면, 후대 음유시인, 가객들의 노래를 거치면서 호메로스가 거론하지 않은 영웅들의 새로운 모험담을 추가해 거대한 불굴의 명작 <일리아스>를 만들었다면, <오디세이아>는 (아가멤논을 비롯한 영웅들의) 비극적인 귀향 이야기에서 소외되었던 오디세우스의 후일담을, <일리아스>가 쓰인 뒷날, 사실은 한 세기 넘어 멀고 먼 훗날 어느 이름을 알리지 않은 작가가 썼을 것으로 가정했다. 가정했다고? 그렇다. 허구라는 의미. 그레이브스가 신화학자, 고전학자이면서 꽤 근사한 소설가라서, 이런 가정은, 자기가 보기에 <오디세이아>가 매우 여성적인 작품이라 이걸 쓴 작가는 남성이 아니라 여성일 수도 있다고 여겨, 호메로스의 작품을 대를 이어 노래한 가객들을 “호메로스의 아들들”이라고 한 것에 대비해 <오디세이아>의 진짜 작가를 “호메로스의 딸”이라 했다.
물론 픽션 작품인 <호메로스의 딸>에서 그레이브스는 오디세우스의 정실부인이자 가모장제 사회 이타카의 실질 지배자였던 페넬로페에 대한 다양한 버전 가운데 예상 외의 것을 선택한다. 트로이아와의 전쟁 중에 아랫도리를 함부로 놀린 죄로 신의 노여움을 받은 영웅들. 고국에 홀로 남은 이 영웅들의 아내들 역시 아프로디테의 돌봄을 받아 남편 못지 않은 불륜 사업에 뛰어들었으니 대표 선수로 클뤼타임네스트라와 더불어 페넬로페를 꼽았던 것. 클뤼타임네스트라와 아이기스토스의 불륜담은 워낙 유명해 말을 보태는 건 새삼스러운 일이지만, 여태 정절의 표상으로 전세계의 선량한 시민들이 굳게 믿어온 페넬로페도… 뭐라고?
아시다시피 전쟁이 끝나고 10년이 가까워 오도록 돌아오지 않는 오디세우스. 오디세우스는 전쟁에 이기기는 했어도 폭풍우 치는 에게해를 건너지 못하고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받아 배가 침몰, 어복에 장사 지냈다고 알려졌다. “어복에 장사 지내다”는 사전에 나오는 말이다. 어복은 물고기 뱃속. 죽어서 거기다 장사를 지냈으니 물에 빠져 물고기 밥이 됐다는 말씀. 이렇게 여긴 이타카와 주변 도서의 도시국가에서 유력한 미혼남자, 홀아비들이 오디세우스의 궁전에 모여들어 서로 청혼을 했으니 청혼자의 수가 무려 50명이 넘었다. 이때 페넬로페-오디세우스 사이의 아들 텔레마코스가 적어도 10대 후반, 페넬로페도 아무리 적게 봐도 30대 중반, 당시 기준으로 중년 여성이었음에도. 그럴 정도로 부유했으며 페넬로페와 혼인을 하면 저절로 이타카의 왕좌에 오르게 되는 것이라 셈에 밝은 무역국가 그리스 남자들은 혹시나 했겠지.
하지만 페넬로페가 미쳤냐, 함부로 혼인을 하게. 삼십대 중반, 이제 침대 위의 엑스터시를 제대로 아는 농익은 단계에 접어든 페넬로페 여사는 쉰 명이 넘는 청혼자들을 한 명도 빼지 않고 야심한 밤에 개별 면담을 진행해 몸과 마음의 궁합을 보기에 이른다. 양과 염소의 맹장 끄트머리, 즉 충수를 깨끗하게 씻은 다음에 소금물에 불려 현대의 콘돔을 대신했어도 그만 덜컥, 아이를 배고 말았고, 애를 지우기 위해 보름달이 뜬 야밤에 장독대에 올라 짜디짠 조선간장 한 종지를 벌컥벌컥 들이켰지만 삼신 할매의 뜻이 그러하지 않아 새로 아들을 하나 낳았건만 이게 누구 아이인 줄 알아야지. 그리하여 뒷말하기 좋아하는 인종들이 말을 퍼뜨리기를 그게 반은 염소, 반은 인간인 판 신이라 했다.
그래도 모래시계는 계속 아래로 떨어져 드디어 오디세우스가 이타카에 상륙을 해 이 허무맹랑한 지경을 충분히 이해한 다음에, 청혼자이자 그로 하여금 오쟁이지게 만든 원수들인 50명의 미혼남자 혹은 홀아비들을 전부 도륙하고 페넬로페를 친정으로 쫓아내 버렸다. 그러나 한 많은 청춘시절을 보내다가 아버지를 찾을 수 있을까 싶어 찾아 나섰다 맨손으로 돌아오던 아들 텔레마코스와 마주친 오디세우스. 이들 사이를 가로막고 있던 건 20년 세월이 아니라 짙고 짙은 안개. 눈에 뵈는 게 없던 텔레마코스는 앞에 선 늙은이가 자기 집 재산을 거덜내고 있는 청혼자 50명 가운데 한 명인 줄 짐작하고 창을 던져 심장을 꿰고 말았다. 그렇게 오디세우스는 허망한 삶을 접는다.
이게 로버트 그레이브스가 이 “픽션” 책에서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오디세이아>의 결말이다.
우리가 아는 <오디세이아>는?
지명이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중요하지 않은 것이니 그냥 넘어가자.
칼립소와 7년을 살다가 정신을 차리고 이타카로 떠난 오디세우스. 칼립소와 만나기 전에 외눈박이 거인 아들 퀴클롭스를 죽인 일 때문에 원래는 그리스 군을 지원했던 포세이돈의 미움을 사 마지막 항해 중에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시칠리아 섬의 서쪽 끄트머리 드레파논에 있는 알키노오스 왕국으로 쓸려 온다. 대신 오디세우스가 아니라 “아이톤”이란 이름의 크레타 섬 타라 출신 이방인. 여기까지는 주인공 이름만 다르지 <오디세이아>와 같다. 때마침 빨래하러 냇가에 온 알키노오스의 공주 나우시카가 그를 발견해 먹을 것과 옷을 주는 것도 마찬가지. 딱 여기까지만 같다.
알키노오스의 왕 알페이데스와 아레테 왕비 사이에는 순서대로 아들-아들-딸-아들-아들이 있었는데 맏이 라오다마스만 이웃나라 공주한테 장가들어 살고 있었으나 여태 아이를 생산하지는 못했다. 둘째 할리우스는 살인과 시신훼손의 누명을 써서 아버지한테 추방을 당해 먼 나라의 실력자로 살고 있다. 셋째가 <호메로스의 딸>인 나우시카. 넷째 클리토네우스는 우리가 아는 <오디세이아>에서 텔레마코스 역을 담당한다. 막내는 이제 젖 떨어진 유소년.
이 나라에 반역의 세력이 있어서 왕자 라오다마스가 아내의 목걸이를 구하기 위하여 길을 나설 때 쥐도 새도 모르게 죽여 바다 속에 빠뜨려버렸고, 왕이 아들을 찾아 나선 동안에 공주 나우시카한테 청혼한 112명의 남자들이 의회의 승인을 받아 날이면 날마다 왕가의 재산으로 잔치를 벌이며 나우시카의 결혼 결정을 기다린다. 정적들은 나라를 비운 왕의 시해를 공모하고 있어서, 나우시카가 혼인을 결정한 순간 상대가 왕위를 꿀꺽 삼키게 설계되어 있었다. 이를 모두 알고 있는 나우시카와 동생 클리토네우스는 집안의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 유모 에우리클레이아와 더불어 이들을 도륙낼 계획을 세운다. 그리하여? <오디세이아>의 클라이맥스처럼 일찍이 헤라클레스가 사용했으며 트로이 전쟁에서 필록테테스가 전쟁 유발자 파리스의 목숨을 거둔 활을 정의의 이방인이자 알고보니 나우시카의 외사촌인 아이톤이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가 했던 그대로 과녁을 뚫고, 적들의 심장을 꿰뚤어 무려 112명 가운데 눈치 빠른 한 명을 제외한 111명을 살육한다.
이후 나우시카는 자신이 경험한 일을 마치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가 겪은 것처럼 <오디세이아>를 썼으니, 그리하여 나우시카는 자칭 “호메로스의 딸”이라는 말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