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의 말 ㅣ 위픽
천희란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9월
평점 :
.
내가 절대로 돈 주고 사서 읽지 않는 시리즈가 위즈덤하우스에서 내고 있는 위픽 시리즈다. 근데 도서관에서 보이면 아무 부담 갖지 않고 빌려 읽는다. 이 책도 단편 하나 달랑 실어놓고 정가 1만3천원, 10퍼센트 할인가 11,700원 받는다. 아무리 좋게 생각해도 별 영양가 없이 길기만 한 ‘작가의 말’까지 포함해서 1백쪽 분량. 손바닥 만한 크기에 글자도 널럴하게 박여 있어 시작하면 순식간에 다 읽어 치운다. 인터넷 쇼핑의 매력 가운데 하나, 아무것도 모르고 한 권 주문했다가 열폭하는 거. 이런 독후감 전체 공개로 쓰면 누군가 왕림하셔서, “독자님은 문학을 돈으로만 생각하시네요.” 이렇게 댓글을 남기고는 한다. 예전에는 “저는 문학보다 돈이 훨씬 더 좋은데 당신은 아닌가요?” 이렇게 답글을 썼는데, 이제 또 비슷한 댓글이 달리면 “당신도 백수 되어 봐!” 라고 쓸 예정이다.
천희란은 1984년에 출생해 저 한 시절 우리나라의 가장 위대한 문학의 산실이었던 서라벌 예술대학의 맥을 잇는 중앙대학 문예창작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2015년 현대문학에 추천 완료인지, 신인 추천인지로 데뷔한 소설가다. 첫번째 소설집 《영의 기원》과 경장편 (나는 이놈의 ‘경장편’이 뭘 말하는 건지 도무지 모르겠는데 하여간 경장편) <자동 피아노>를 가장 애정하는 거 같다. 소설집은 모르겠고, <자동 피아노>의 독자 서평을 읽어보다가 화들짝 놀랐다. <자동 피아노>의 책소개를 보면 “자기 자신에 갇힌 인물의 끝없이 분열하는 목소리가 죽음을 음악처럼 연주하는 작품으로 죽음에 대한 욕망과 충동, 이에 맞서는 삶에 대한 열망을 집요하게 그려낸다.”라고 했다. (알라딘 책 소개)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작품 속에 다양한 죽음/자살의 방식이 묘사되어 있고, 죽음/자살에 대한 욕망과 시도 같은 것도 마찬가지 아닌가 싶다. 그러면 오늘 읽은 <작가의 말>의 독후감은 대단히 조심해야 할 듯하다. 천희란은 <자동 피아노>에 달린 백자평을 <작가의 말> 속에서 거의 그대로 인용한다. “독자서평”에 달린 글 속에서도 인용했는지 모르겠는데 그걸 확인하느라 무려 58개의 독자가 쓴 서평을 읽어볼 마음은 없다.
“누군가는 그 책이 ‘작가의 말’과 함께 읽어야 완성된다고 했고, 다른 누군가는 ‘작가의 말’을 읽고서야 그 책을 이해했다고 했다.” (p.68)
읽어보지 않아서 짐작으로 말하자면 이런 의미로 <작가의 말>은 <자동 피아노>의 같은 악장 속 변주 주제거나 카덴차일 텐데 문제는 이걸 연주하는 작가의 상태가 우울과 자살, 죽음의 충동에서 아직도 완전히 벗어나지 않은 것 같다는 점이다. 게다가 자기 작품의 독자 서평까지 꼼꼼하게 확인한다고 스스로 고백했으니 독자 입장에서 자기 생각을 솔직하게 확 까발릴 수는 없는 일이다. 그래 책을 읽어가면서, 오랜만에 도서관이 아닌 집에서 읽는 관계로 페이지마다 태그까지 붙여가며 집중을 하다가, 독자서평 운운하자마자 다시 태그 다 뗐다. 함부로 주둥이 털지 말아야지. 미리 자기 습성을 이야기해준 작가가 고마울 지경이었다.
근데 이건 이야기해도 되겠지. <작가의 말> 뒤에 따라붙은 ‘작가의 말’을 왜 그리 길게 쓸까? <자동 피아노>에서도 그랬다는데 글 쓰는 사람이 적어도 책 한 권에서 말할 건 본문에 다 담아야 하는 거 아닐까 싶다. 여기서도 피아노 이야기. 피아니스트 김선욱과 그가 연주한 슈베르트의 D.960 소나타. 작가 자신, 개인한테는 김선욱의 D.960이 기념할 만할 수 있지만 그 후에 따라붙은 몇 줄의 결말을 쓰자고 그리 많은 분량을 쓰는건 오버 같다. 그렇다고 음악과 연주에 관한 천희란 만의 특색있는 묘사도 없다. 당연하지. 음악이란 것이 원래부터 “자연을 모방하지 않고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connotation 예술형식”이니까. 악보와 디테일을 짚어주지 않은 채 지금 들은 음악이 왜 아름다운가를 설명하다 보면 결국 시인 김정환이 쓴 <내 영혼의 음악> 꼴 나는 법이다.
천희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작가가 좋아하는 피아노 소나타 장르 기준으로, 즉 세상의 모든 피아노 소나타의 연주시간을 인간의 수명으로 쳐서, 작가가 제일 좋아한다는 D.960의 연주시간 만큼 살다 갔으면 좋겠다. 아프지 말고, 아니 조금만 아프고 덜 불행하게, 축약 연주 말고 원래 악보 연주 기준으로.
나는 내가 읽은 천희란의 작품에 대한 내 솔직한 심정을 (작품 속에서이기는 하지만)우울과 죽음과 자살에 천착하는 천희란이 볼 수 있는 장소에서는 밝히고 싶지 않다. 별점도 마찬가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