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사로 가는길 범우문고 219
이상보 지음 / 범우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 먼 먼 시절, 중학교 1학년이었을 적, 부모가 읽던 잡지쯤에 이상보의 수필 <갑사로 가는 길>이 있다. 그리고 그것보다 더 멀리 대전인가 공주에서 한 밤에 택시를 타고 부모와 함께 동학사인지 갑사인지 비포장길을 달리던 기억도 있다. 그때 동학사에서 갑사로 넘어갔던가, 갑사에서 동학사로 넘었는가도 가물가물하다. 당간지주와 남매탑 앞에서 어린 내가 차려 자세를 하고 부모와 함께 찍은 사진이 앨범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흑백이었었나, 색 바랜 초기 컬러 사진이었나 그것도 정확하지 않다. 가을이었고, 산을 넘어 숙소에 도착해 우연히 만난 두 젊은 등산객이 굵직한 살모사를 잡아 껍질을 벗기고 휘발유 버너에 푹푹 끓여 기름이 뽀얗게 뜨는 곰국을 끓였던 건 확실하다. 계룡산 남매탑 앞에서 탑에 관한 전설을 이야기해주던 이는 국문과 나와 여고에서 교사를 하던 어머니가 아니라 아버지였다. 아마 그래서 중학교 올라가 우연히 잡지에서 찾아 읽은 <갑사로 가는 길>이 그토록 오래 기억에 남았었던 건 아닌지. 수필의 내용은 다 잊고 오직 제목일지언정.
  이상보의 수필집 《갑사로 가는 길》을 본 순간 망설이지 않고 샀다. 조금쯤 설레는 마음으로. 내가 여태 재미있게 읽은 수필집은 사실 몇 권 되지 않는다. 문일평이 찬란한 산문으로 만든 《화하만필》, 이어령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과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양주동의 《문주반생기》, 변영로의 《명정 사십년》 정도. 김소운의 《목근통신》과 이상의 《권태》, 무라카미 하루키의 《먼 북소리》는 이 목록에 들지 않는다. 《먼 북소리》는 읽다가 버렸다는 걸 굳이 밝힐 필요는 없을지도 모르지만. 한 마디로 수필이란 장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갑사로 가는 길》의 기억이 워낙 추억으로 저며, 사서, 이제 읽었고, 실망했다. 그냥 기억만 하고 있을 것을.
  이상보는 1927년생이다. <갑사로 가는 길>를 발표한 해가 1972년. 나는 이 수필집에서 1970년대 이전의 수필을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대다수의 수필이 1990년대와 2000년대, 주로 김영삼 집권 시기에 몰려있다.
  그리고 <갑사로 가는 길>. 내가 여태 가슴을 저며 하고는 했던 갑사로 가는 길은 이상보의 글 속, 동학사에서 남매탑을 거쳐 갑사로 넘어가는 길이 아니라, 야심한 밤에 택시를 대절해 거의 완전한 어둠을 뚫고 달리던 기억 속의 비포장도로였던 거다. 아마 이상보와 같이 부모와 나도 동학사에서 출발해 갑사로 넘어갔을 것이다. 그럼에도.

 

  차라리 읽지 말 것을. 그냥 마음속에 갑사 가는 길, 이라는 하나, 가상의 글을 담고 있는 편이 더 좋았을 것을.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oolcat329 2021-12-17 09:2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갑사라는 절이 있군요. 찾아보니 꽤 큰 절 같은데 한 번 가보고 싶네요.
어머니께서 여고 국어선생님이셨군요. 폴스타프님 독서는 어머니의 영향이 크셨을거 같아요.

근데 마음 속 추억이 변색되서 저도 안타깝습니다😢


Falstaff 2021-12-17 10:05   좋아요 3 | URL
옙. 계룡산에서는 갑사와 동학사가 제일 유명하지요.
저 시절 갑사는 담장도 없던 아주 작은 절이었답니다. 건물도 대웅전하고 그저 작은 요사체, 쇠로 만든 당간지주 정도였습니다. 지금 저도 검색해 찾아보니 많이 커졌군요.
대웅전과 지금이름으로 갑사강당이라는 건물이 흥미롭네요.
지붕의 형식이 맞배지붕입니다. 앞쪽과 뒷쪽의 기와가 서로 등을 맞대고 있다는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주로 고려 시절에 많이 사용하던 방식으로 강건하고 우직한 느낌이 납니다. 조선으로 넘어가면 화려한 팔작지붕 형식으로 바뀌는 게 보통입니다만, 대웅전은 정유재란 이후 16세기에, 강당도 조선 후기에 지었으면서도 맞배지붕 형식을 적용했군요.
하여튼 절이란 절은 다 중수, 불사, 신축으로 화려해지는 것에 반비례해서 정감이 사라져가 아쉽습니다.

ㅎㅎㅎ 제 독서는 어머니 쪽보다 아버지 쪽에 더 영향을.... ^^;;

coolcat329 2021-12-17 10:14   좋아요 3 | URL
아 예전엔 작은 절이었군요. 갑사라는 이름에 걸맞게 강건 우직한 절이군요.
맞배지붕! 찾아보니 우리나라 한옥에 지붕이 여러종류가 있네요. 팔작지붕, 모임지붕 등등...
그냥 다 같은 지붕인줄 알았는데 이렇게 알고 보니 너무 달라보입니다.

맞배지붕 참 심플하면 우직한 느낌이에요. 지붕공부도 재밌네요 😁

아버지께서 책을 좋아하셨군요.👍

Falstaff 2021-12-17 12:01   좋아요 2 | URL
요샌 잘 안 다니는데, 꽤 쫄쫄거리면서 다녔습니다.
옛 건물 같은 데 가면 안내판 있잖아요. 거기 보면 지붕 양식, 공포, 기둥 등등 여러 건축용어가 나옵니다. 그걸 유심히 관찰하면서 다니니까 따로 배우지 않아도 왠만큼은 알겠더라고요.
제 선친은 책을 많이 읽으셨습죠. 제 서재 타이틀 ˝책일 읽거나 술을 마신다˝ 여기까지가 늘 얘기하시던 모토! 였습니다.
술꾼에, 구라꾼이시기도 했습죠. ㅋㅋㅋㅋㅋ

coolcat329 2021-12-17 13:20   좋아요 2 | URL
폴스타프님이 아버지를 닮으셨군요! 저는 집안에 책을 읽는 사람이 없어 이렇게 부모나 형제가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 보면 부러워요.

앞으로는 어디 가면 안내판 좀 봐야겠네요. 어딜 가도 어디를 갔다왔는지도 모를 때도 있어요 ㅠ

그레이스 2021-12-17 11: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대학때 갔던적 있어요
계단때문에 힘들었던...
생각보다 갑사에서 받는 느낌이 없어서 실망했던...
어려서 그랬나봐요 ㅎ

Falstaff 2021-12-17 11:59   좋아요 2 | URL
<갑사로 가는 길>을 1972년에 발표했는데요, 이 작품에서도 산길에 계단이 많다고, 허벅지에 알 밴다고 툴툴거리는 장면이 있답니다. ㅋㅋㅋ

행복한책읽기 2021-12-17 14:3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지두 제목으로만 아는 책인데요. 유명했잖아요. 폴스타프님이 실망했다니, 지는 잊겠습니다^^;; 그나저나 서재의 달인 축하드려요. 자냥님과 더불어 리뷰 달인이세용. 제가 엄청 샘 나하는 거 혹 아세요??? ㅋㅋ

Falstaff 2021-12-17 14:49   좋아요 2 | URL
옙. 그냥 옛날 이야기 한 편이더라고요. 이거 중고도 아니고 새 책 산 건데 말입니다. ㅋㅋㅋ
아휴, 저를 샘내시다니요. 아무 것도 아닌데요. 요즘 부쩍 비행기 많이 타고 있어서 겁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