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입] 베토벤 : 현악 사중주 전곡집 [8CD]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작곡, 부다페스트 사중주단 (Budapes / SONY CLASSICAL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1958~61년 스튜디오 녹음.
오랜 동안 베토벤의 후기 현악사중주를 들어봐야 하겠다는 일종의 부채감을 갖고 살던 적이 있다. 후기 사중주 음반은 과르넬리 사중주단, 부다페스트 사중주단의 40년대 녹음, 바릴리 사중주단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전설적인 이 음반, 모두 여덟 장의 CD에 베토벤의 전곡을 담아 할인가 30,500원에 발매한다는 소식을 이제야 듣고, 생각 하고 말고가 없이 단박에 사서 들었다. 물론 그동안 이 녹음을 구입할 기회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가격이 마음 약한 사람 심장마비 걸릴 수준이어서 이왕 40년대 녹음이 있는 바에 조금 기다려보자고 했다가 오늘날까지 왔던 것이다. 그간 음반 구입을 많이 망설여 왔었나보다. 2010년에 염가반으로 최초 발매를 한 것을 10년만에야 알았으니.
어느 날, 아무 생각 없이 이어폰을 꼽고 드보르자크의 피아노 오중주를 선택하려다 손가락을 잘못 움직여 베토벤의 14번 현악사중주를 들으며 출근을 하고 있었다. 이 때 들었던 음원이 바릴리 사중주단의 녹음. 당시까지 듣기는 가끔 들었지만 남들이 좋다 하니까 그냥 좋은 곡인가 싶었던 것이 갑자기, 고막의 진동을 통해 가슴을 콱 찌르듯이 절절하게 들리기 시작했다. 그때가 막 50세가 된 추운 날 아침이었다.
나는, 다른 글도 잘 쓰지 못하지만, 음악을 듣고 느낀 감정을 글로 쓰는 일을 제일 힘들어 한다. 음악 공부를 조금 했으면 약간의 전문용어를 섞어서 어떤 이유 때문에 지금 듣고 있는 음악이 마음에 와 닿는지 훨씬 잘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쉽게도 내게 그런 기회는 한 번도 없었다. 문학도 마찬가지이기는 하지만 그나마 나은 것이 대학 2학년 시절까지 교양국어 같은 걸 통해 글을 읽는 방법 정도는 깨우칠 수 있었잖은가. 더군다나 음악이라는 장르는 문학이나 회화, 조각, 무용 등 다른 예술과 달리 자연이나 삶을 모방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정서에 호소할 수 있어 현악사중주를 들으며 청자가 느끼는 감정, 감동, 흥분 같은 것을 구체적인 단어로 묘사하는 일이 진짜 어려울 수밖에 없는 거 같다.
이렇게 음악을 묘사하는 단어, 특히 형용사의 부족은 숱한 필자들로 하여금 공허한 수사로 음악을 표현하려는 시도를 그치지 않고 하게 만들었다. 단어의 부족 현상에 열을 받은 한 시인이 스스로 두껍고 겁나게 비싼 화려 장정의 책을 낸 바 있으나 허망한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나는 지금 부다페스트 사중주단이 1958년부터 61년까지 컬럼비아 레코드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여덟 장의 CD를 듣고 감상을 쓰려는 순간의 난감함을 고백하려고 한다. 그것도 다른 작품도 아니고 쉰 살에 접어들고서야 비로소 듣기를 허락한 베토벤의 (특히 후기) 사중주에 관해. 음악이란 무엇일까. 악보를 읽는 것만이 진정하게 작곡가와 소통하는 길이다. 우리가 음악이라 생각하고 듣는 것은 작곡가와 청자 사이에 연주자라는 매개가 끼어들어 작곡가가 오선지에 그린 악보를 그들이 해석한 결과물을 듣는 일이다. 그것도 또 녹음을 듣는다면 소리를 재생하는 기계가 한 번 더 개입을 한 것. 내 귀로 여태까지 들어본 모든 기계는 특별히 현악기의 음색을 완벽 ‘비슷하게’ 들려주지 못했다.
거기다가 여태까지 가장 훌륭한 녹음이라고 단정하고 지내던 바릴리 사중주단의 베토벤 현악사중주와 극명하게 다른 방식으로 해석해 연주하는 부다페스트 사중주단의 연주를 듣고, 독후감이 아닌 소감을 쓰려하니 여태까지 A4 용지 한 장 분량 동안 변죽을 울리고도 시작도 하지 못했다. 그렇게 음악을 들은 소감을 쓰는 일이 어렵고, 그것도 가장 유명한 연주단의 두 연주를 비교할 수밖에 없는 난감한 벽이 앞을 가리고 있기도 하다.
그러지 말고, 이렇게 얘기해보자. 부다페스트 사중주단의 58~61년 연주에 비하면 바릴리 사중주단의 연주가 더 말랑말랑하다. 평온하다. 침잠한다. 느리다. 사색적이다. 단색이다. 소박하다. 은은하다. 천상의 기분이다. 곡을 내게 헌정한 느낌이다. 더 1 바이올린 위주라서 비올라와 첼로의 반주역할이 크다. 내가 듣기로는.
주로 12번부터 16번 사중주와 <대푸가>를 후기 작품으로 구분하고 요즘 내가 제일 자주 듣는 곡들이다. 이 가운데 가장 좋아하는 15번 3악장을 연달아 들어보면 이런 의견에 동의하실 줄 믿는다. 물론 호오를 분명하게 이야기해보라고 강요하면 그동안 귀에 익어서 그런 줄은 모르겠으나, 내 취향으로는 바릴리 사중주단의 연주가 더 편하다고 말하겠지만, 확실한 건 부다페스트의 이 음반도 바릴리에게 최고의 자리를 양보할 마음이 조금도 없을 거란 정도로만 이야기하자.
언제나 음악을 문자로 말하는 건 어렵고 어렵다.
부다페스트 사중주단, 베토벤 현악사중주 15번 3악장
* 이렇게 전곡 녹음을 구입하면 좋은 것이, 여간해 듣지 않는 숨겨진 곡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 베토벤의 현악사중주는 초기 작품 가운데 몇 몇 곡 속에 정말로 “숨겨진” 낭만성이 놀랄 만하다.
* 음악이란 것이 신기한 이유 가운데 하나가, 왜 이 연주가 좋은지 이야기하기는 무척 곤란하지만, 한 번 진짜(라고 청자가 느낀 연주)를 들은 후에 다른 연주단의 연주를 들으면, 그게 주관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단번에 ‘에이, 이건 아니다.’ 하는 감정이 확 든다는 거. 그래서 보편적으로 특정 작품에 관해 소위 ‘명반’이 탄생하는 것일 게다.

위에서 얘기한 바릴리 현악사중주단의 베토벤 현악사중주 전곡집.
나는 전곡이 아니라 개별 CD들로 후기 곡들과 일부 중기곡만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