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소설을 더 이상 안보기로 하고..

친한 친구가 강추를 했던 소설인지라..

거기다가 인더풀까지 주는 덤 행사에 매력을 느껴서 또 다시 샀다.


그래 이제 인정하자. 일본은 중독성이 있음을

우울하고 시간 없을 때 보는 소설이.. 바로 일본 소설이다.

딱 좋다. 빠르게 읽을 수 있어서..

아 나 책 읽었어!

하는 자부심을 줄 수 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 소설들은 왜 이리 무거운지.. T.T)

그리고 쉽다.

쉬워서.. 또 읽게 되는 마력이 있다.


공중그네도 어찌나 쉽고 빠르고 재밌던지..

이라부 종합병원 지하에 위치한, 신경과 의학박사 이라부.

그 반쯤 미치광이 같은 행동이 컨셉인지, 진실인지 알 길 없는 괴짜.

사람에게 주사 놓는 장면에 집착하는 변태.

늘 짧은 치마만을 입는 간호사가 당신의 정신병을 치료한다.

(누가 누구를 치료하겠다는 것인지...)


치료방법은 단 하나..

나를 인정하고 바꾸면 된다.

선단공포증의 아쿠자도..

권위적인 장인의 가발을 비웃고 싶었던 예의 바른 의사샘도..

자꾸만 그네에서 떨어져 공중 그네사도..

자신을 인정하면 세상이 좀더 쉬워진다.

그렇지만 자신을 인정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스스로에 대한 환상과 기대를 모두 내려놓기란..

미치광이가 되는 것보다 어려운 일인 것 같다.


그래서 이라부가 필요하다.

모두 노를 외치는데 예스라고 말하는 사람 말이다.

이 정상과 비정상의 중간에 위치한 이라부는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거울이 된다. 그리고 스스로를 인정하고 바꾸게 되는 기폭제가 된다.


그들은 참 좋겠다.

이라부 같은 의사를 만나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