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트릭 유니버스 공학과의 새로운 만남 18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명남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리뷰를 쓰기 전에 알라딘 사람들은 이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궁금해서.. 한번 리뷰를 쓱 읽었다. 극단적인 평가가 엇갈린 책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좀 씁쓸했다.

이 책은 참 오래 기다렸던 책이다.
E=mc2의 저자 데이비드 보더니스의 책이라니..

아무도 설명하지 못하는
그러나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에너지는 질량과 속도의 제곱의 곱이라는 우주 삼라만상의 해답을 알려준 사람이 아닌가??
더군다나 책을 덮고 나면 무엇을 읽었는지 머리만 띵한 과학서적이 아니라, 대충 이.해.될 수 있게 만들어준데다가 읽는 내내 엄청난 재미를 안겨 준 작가의 책이니 기대하는 것이 당연했다.

데이비드 보더니스란 사람은 대단한 사람임에 틀림없다.(아마 번역하신 분의 노고도 치하하고 싶다) 읽는 내내 각주(이 책은 각주조차 없다. 그만큼 어려운 단어 사용을 자제한듯 싶다) 를 찾아보고 싶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모르는 단어 때문에 네이버 검색창을 두들기지 않아도 이 책을 읽기 어렵지 않다.

거기다가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을 파괴하는 인물 소개도 그렇다. 전보의 발명자였던 모르스나, 99%의 노력으로 모든 것을 이뤄낸(?) 에디슨에 대한 일화 등이 그렀다. 읽는 내내 작가가 전기를 우리에게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200여년의 전기 역사에서 큰 자취를 남겼던 인물들을 찾아서 복원하는(물론 작가적 상상력도 한자리를 차지했다) 그 노력에 찬사를 보낼 만 하다.

그래서 이 책은 재밌다.
'전기'라는 영화를.. 이른바 '구라빨' 이 센 사람에게 줄거리를 들은 느낌이다.
그건만으로도 충분히 이 책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내가 얻은 것은 이것 뿐이었을까?
이 책은 재밌음에도 불구하고 나에게 유익하기도 했다.

물론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전화기는 인간의 소리를 전기 신호를 바꾸어 전달하는 매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지.. 알 수 없었다. 또 유비쿼터스가 가능하게 된.. 무선 시대를 충분히 즐기고 있었지만, 컴퓨터 안에 장치된 작은 무선 랜이 어떻게 그 커다란 정보를 받아 내는지도 궁금했다. 이 책은 이런 생활 속 우리가 익히 쓰고 있는 장치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개념을 알려준다.

가끔..아니.. 아마 이 책의 기억이 가물가물 할 때 쯤이면 또..
난 전기가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전선을 타고 우리 집까지 오는.. '힘'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난  나에게 전기는..
세상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이고.. 우리가 텅 비어 있다고 여기는 공간에도 존재하며 또한.. 내 안도 존재하는.. 그런 운동성을 지닌 힘이다. 

읽는 이에 따라서 천차만별..
스펙트럼을 가져다 주는 책..
일렉트릭 유니버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