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의 전설
미하엘 엔데 지음, 비네테 슈뢰더 그림, 김경연 옮김 / 보림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모모, 네버엔딩스토리의 작기인 미하엘 엔데의 소설이다.
그의 이야기를 파스텔톤의 삽화로 받쳐줘서..
뭐랄까?
소설이 스며든다고 표현하면 맞을까?
읽고 정리되서 단상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에 삽화의 이미지로 촉촉하게 스며드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책이다.

보름달의 전설은 두 남자의 만남으로 시작된다.

한 남자는 하얀 색의 이미지다.
고귀하고 정결한 이미지다.
그는 성직자였고 사랑하던 여자가 자신의 가난과 고행을 이겨내지 못하고 떠나자, 세속적인 것은 모든 것이 무상하다는 것을 깨닫고 수행을 떠난다. 수행의 끝은 숲속의 한 동굴. 그는 거기서 세속적인 모든 것을 버리고 세상을 돌아가게 하는 힘과 구원에 대해서 탐구하기 시작한다 . 그런 그가 다른 남자를 만난다.

나머지 남자는 붉은 색의 이미지다.
세속적이고 솔직함을 지닌 색.
그는 사랑하는 여자를 욕보인 귀족을 살해해 도망자의 신분으로 떠돌았으며 산적이 되었다가   그 곳에서도 적응하지 못하고 세상의 끝과 같은 동굴에 도착하게 된다.

하얀 성직자는 붉은 도적을 아들로 삼았으며..
붉은 색의 도적은 하얀 성직자를 스승으로 섬겼다.
그들은 너무나 달랐지만, 성직자는 인내심을 가지고 성직자의 죄를 회개하도록 가르쳤으며.. 도적은 성직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지만 존경하고 진심으로 따랐다.
성직자는 도적에게 보름달이 뜨는 날은 자신을 찾아오지 말것을 당부하는데 이유를 묻는 도적에게 성직자는 그날은 가브리엘 대천사가 자신을 찾아오는 날이고, 아직 회개하지 못한 도적은 그를 영접할 수 없다고 말한다. 도적은 스승의 말에 따라 보름에는 스승의 동굴을 찾지 않았다. 스승의 곁에서 늘 평화롭고 안식을 찾던 동물들의 이상한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면 말이다. 스승이 변해간다는 것을 깨달은 도적은 보름달이 뜨는 날, 동굴에 숨어 들었고.. 가브리엘 대천사를 화살로 쏜다.
화를 내며 도적을 꾸짓는 스승은 자신이 가브리엘 대천사로 믿었던 것이 오소리 였음을 깨닫는다. 평생 수행으로 덕을 닦으신 스승에게 보이는 가브리엘 대천사가 자신의 눈에도 똑같이 보였다. 그건 분명 잘못된 것이다.. 시위를 당긴 연유에 도적은 이렇게 대답한다.

'본래 무일물'이라는 부처님 말씀이 있다.
원래 아무것도 없다는 이 말은 인간의 집착을 경계하는 말씀이라고 한다. 스승은 자신의 수행과 덕에 집착했기 때문에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잠시동안 집착에 대해서 생각해봤다.
집착은 무언가의 결여되었기 때문에.. 부족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집착은 거기서 비롯되지 않는다.
내가 이것을 가져도 된다는 자신감. 마땅히 그것을 받아야 한다는 오만함이.. 집착을 가져오는 것 같다.

마치 스승이 자신의 수행과 덕에 오만함을 보였기에 오소리의 술수에 너무나 쉽게 넘어간 것 처럼.. 말이다.

내가 집착 하는 건 무엇인가?
그리고 나는 어떤 오만함에서.. 집착하게 되는 것인가??

한동안 생각할 것이 많게 만드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